[[분류:통일신라]][[분류:한국의 옛 행정구역]][[분류:전라북도]][[분류:한국의 옛 수도]] [include(틀:9주 5소경)] [include(틀:역대 한국의 수도)] || [[파일:통일 신라의 지방 행정 구역.jpg|width=100%]] || || 통일 신라의 9주 5소경 || == 개요 == 통일신라의 행정구역체계였던 [[9주 5소경]]의 주 중 하나로 지금의 [[전주시]] 및 그 주변 지역에 해당된다. 전주시 명칭의 유래. 신라 기준으로 기원은 555년 현재의 [[창녕군]]인 비자벌에 설치된 '''하주(下州)'''이며, [[대가야]]가 멸망한 후인 565년 옛 가야의 [[다라국]]이었던 [[합천군]]으로 옮겨져 '''대야주(大耶州)'''로 개칭되었다. 642년 [[대야성 전투]]의 패배로 [[경산시]]로 옮겨져 잠시 '''압량주(押梁州)'''가 되었지만[* 이때 압량주 군주(軍主)가 된 사람이 바로 [[김유신]]이다.] 백제 멸망 후 합천군 일대를 회복하며 661년 다시 '''대야주(大耶州)'''가 되었으며, 663년 백제의 거열성을 점령한 뒤 '''거열주(居烈州)'''가 되었고 685년 최종적으로 옛 백제 영토인 [[전주시]]에 옮겨져 '''완산주(完山州)'''가 되었다.[* 이와 동시에 옛 가야 영토가 [[강주]]로 떨어져나갔다. 신라 당시의 하주를 정신적으로 계승한 것은 강주지만, 어쨌든 군사적 목적으로의 하주는 완산주가 계승했다.] 지금의 [[완산구]], [[완주군]] 명칭은 여기서 유래. 지금까지 쓰이는 [[전주]](全州)라는 이름은 [[경덕왕]] 때 중국식으로 지은 것으로 신라시대에도 [[전주(동음이의어)#s-2.2|전주]]와 완산주 명칭이 혼용되었다. [[견훤]]이 [[후백제]]의 수도로 삼기도 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전주(동음이의어), version=67, paragraph=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