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명언]][[분류:카이사르의 내전]] [include(틀:다른 뜻1, from=VENI VIDI VICI, other1=트라이비의 미니 1집, rd1=VENI VIDI VICI(트라이비), other2=CRAVITY의 정규 1집 PART 1의 수록곡, rd2=, rd2_1=VENI VIDI VICI(CRAVITY), other3=VANNER의 미니 1집, rd3=VENI VIDI VICI(VANNER))] [목차] == 개요 == [[라틴어]]: Vēnī. Vīdī. Vīcī.[* 고전 라틴어: 웨니 위디 위키, 고전 라틴어 한국어 표기: 베니 비디 비키, 교회 라틴어: 베니 비디 비치] [[이탈리아어]]: Venni. Vidi. Vinsi. [[에스파냐어]]: Vine. Vi. Vencí. [[프랑스어]]: Je vins, Je vis, Je vainquis.[* 구어에서 많이 사용되는 복합과거 시제를 써서 "Je suis venu, J'ai vu, J'ai vaincu."라고도 한다.] [[영어]]: I came, I saw, I conquered[* 간결함을 살리기 위해 Won(Win)으로 의역하는 경우도 있다.]. 기원전 47년,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폰토스 왕국]] 국왕 [[파르나케스 2세]]를 [[젤라 전투]]에서 간단히 이기고 나서 원로원에 보낸 편지의 전문이다. 각각 venire, videre, vincere의 [[1인칭]] [[현재완료형]][* 단 라틴어의 현재완료형은 영어의 현재완료 시제가 아니라 과거형에 대응되는 시제이다. 이러한 이유로 라틴어 현재완료형을 과거형으로, 미완료과거형을 반과거로 부르는 곳들도 있다.]으로, [[간결체|쓸데없는 서술을 과감히 생략하면서도]] 인상깊은 핵심만은 남기고, 게다가 의도적으로 [[운율]]까지 맞춘 카이사르 특유의 위트와 문장력이 드러난 명언이다. 직역하면 "(내가) 왔다, 봤다, 이겼다."와 같은 간단한 문구이다.[* 원문 veni, vidi, vici는 모두 단독으로도 문장 종결형으로 쓰일 수 있는 형태이므로 한국어로도 일반 종결형으로 쓰는 게 적절하다.] 그러나 이런 식으로 번역하면 1인칭 주어가 생략되기에 '-노라'를 사용했다. '-노라'('ᄂᆞ+오+다')의 구성 성분 중 '-오-' 부분이 [[중세 한국어]]에서 1인칭 일치소[* 유동석의 1995년 서울대 박사논문 "국어의 매개변인 문법"[[https://primoapac01.hosted.exlibrisgroup.com/permalink/f/1l6eo7m/82SNU_INST21486336510002591|#]]에 따르면, 영어에서 주어가 3인칭이면 동사에 -es 를 붙이듯, 중세 한국어에서도 1인칭 주어에 일치하여 동사에 -오 를 붙였다.]이었음을 고려하면 '1인칭' 현재완료형이라는 면을 적절하게 살렸다고 볼 수 있을 듯. 하지만 'ᄂᆞ'는 현재형이었는데도 '-[[었]]-'이 붙은 걸 보면 '-노라'가 이미 고풍적인 의미로 굳어진 후의 일이긴 하다. 중세 한국어 때의 용법대로면 'ㅆ도다' 형태이다.[* 따라서 제대로 중세 한국어 식으로 번역하면 "왔도다, 봤도다, 이겼도다"가 되어야 한다.] 아무튼 그 덕에 멋들어진다. == 상세 == "[[주사위는 던져졌다]](Ālea iacta est)", "브루투스, 너마저(Et tu, Brute)"와 함께 카이사르의 가장 유명한 명언이다. 저 둘은 후대의 창작이란 설이 있으나,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는 명백히 카이사르가 한 말이다. 이 문장은 정적인 [[폼페이우스]]를 깎아내리려는 의도로도 사용되었다. 폼페이우스는 파르나케스의 아버지인 [[미트리다테스 6세]][* [[술라]], [[루쿨루스]], 폼페이우스 등 당대 로마 최고의 명장들을 상대로 오랫동안 전쟁을 벌였다.]를 상대로 오랫동안 전쟁을 벌인 뒤에야 굴복시켰는데, 카이사르 자신은 그 아들인 파르나케스를 너무도 간단하게 물리쳐서 별로 자랑할 거리도 없었다는 의미다.[* 물론 파르나케스와 미트리다테스의 군사적인 역량 차이가 꽤나 있었음은 부정할 수 없다. 미트리다테스는 확실히 군사적인 재능이 있었다. 다만 불운하게도 대진표가 최악이었다.] 사실 폼페이우스'''도''' 전임자들 덕에 큰 어려움 없이 미트리다테스를 굴복시키긴 했다. 대신 전임자들 업적을 죄다 잘라먹고 휘황찬란하게 자랑하긴 했다.[* 물론 이 때문에 흔히 하는 오해가 '''[[파르살루스 전투]]때 [[폼페이우스]]를 이기고 한 것'''이라 것이다. 하지만 파르살로스 전투의 정황상 저런 보고가 나올 수 없다. 똑같은 승리인데도 불구하고 파르살로스 전투와 폰토스의 승리는 분위기도 다르고 전투 상대와 보고 상대가 다르기 때문이다. [[폼페이우스]]의 죽음과 관련해서 카이사르가 보여준 태도를 보면 어떤 느낌인지 짐작이 갈 것이다.] == 패러디 == === 실제 역사 === [[제2차 빈 공방전]]에서 승리한 후 [[폴란드-리투아니아]] 국왕 [[얀 3세 소비에스키]]는 [[교황]]에게 이런 편지를 보냈다고 한다. >Vēnī. Vīdī. Deus vīcit. >왔노라. 보았노라. 하느님이 승리하셨노라. [[무적함대]]를 격퇴한 후 [[영국인|잉글랜드인]]들은 [[스페인군]]을 이렇게 조롱했다고 한다. >Vēnit. Vīdit. Fūgit. >왔노라. 보았노라. ([[영국 해군|잉글랜드 함대]]의 위용을 보고는) 도망갔노라. === 창작물 === [[투니버스]]에서 [[카툰 네트워크]]의 작품들이 방송되던 시절에 나온 [[죠니 브라보]] 더빙판에서는 주인공 죠니가 여자들에게 작업을 걸다가 두들겨 맞고 차이면서 왔노라, 보았노라, 뒈졌노라라고 말했다. [[미라큘러스: 레이디버그와 블랙캣]] 시즌3 16화 <진실 혹은 거짓> 편 중, [[마리네뜨 뒤팽쳉]]이 정체를 숨기기 위해 쥐 미라클스톤을 사용해 멀티마우스로 임무를 끝내고 레이디버그[* 사실 여우 미라클스톤으로 만든 신기루다.]에게 미라클스톤을 돌려줄 때 이 대사를 한다. [[겁쟁이 강아지 커리지]] 중 지구가 운석을 얻어맞고 1000년 뒤로 시간이 날아가버리는 에피소드에서는 [[커리지]]가 바나나 시민을 구하려고 성벽을 박살내면서 이 대사를 한다. [[로데오 스탬피드]]에서 황제팽귄의 설명이 수영했노라, 뒤뚱거렸노라, 정복했노라! 이다 [[폴아웃: 뉴 베가스]]에서 [[카이사르의 군단]] 편을 들 경우의 마지막 퀘스트 제목 역시 이것이다. [[라니우스]]가 준다. 재미있는 것은 이 말을 꺼낸 뒤 군사를 진군시키는 건 카이사르가 아니라 라니우스이다. [[세틀러 시리즈]] 2번째 작품의 부제이기도 하다. [[헬로 카봇]]에서 카봇 삼총사가 나올 때 이 대사를 쓴다. [[테일즈 오브 데스티니2]]의 전투 승리 BGM중 하나. 제법 높은 그레이드 획득 조건을 만족하고 승리할 경우 나온다. [[고스트 버스터즈]]에서는 '''"왔노라, 보았노라, 녀석을 조졌노라.(We came, we saw, we kicked its ass!)"'''로 나왔다. [[아스테릭스]]에서 카이사르도 해당 대사를 말한다. 극장판인 Asterix Versus Caesar(1985)에서는 로마군 대장도 이 대사를 하는가 했더니 항복하노라라고 아스테릭스에게 칼을 넘기고 후다닥 항복해버렸다. [[고유성]]이 1986년 새소년 재창간호에 연재를 시작한 SF만화에서도 지구로 쳐들어온 카리스마라는 외계인들이 하던 말이 "왔노라 보았노라. 그 다음에 뭐냐?"라고 말하고 다른 외계인이 알게 뭐야? 그냥 죄다 "부수노라?"라고 말한다. [[Fate/Grand Order]]의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Fate 시리즈)|카이사르]]의 보구 대사로 "나는 왔노라! 나는 보았노라! 그렇다면 다음은 이기는 것뿐!"이라 나온다. 덤으로 배경에도 대사가 표시되는데 양쪽 다 라틴어가 아닌 일본어다. 이는 한그오나 미그오, 중그오에서도 마찬가지다. 로마와 관련된 명언 답게, [[토탈 워 시리즈]] 중, 로마가 등장하는 작품들인 [[로마: 토탈 워]], [[토탈 워: 로마2]], [[토탈 워: 아틸라]] 중 도전과제가 있는 뒤의 두 작품에서도 도전과제로서 등장한다. 획득 조건은 '''자동 전투를 진행하지 않고, 수동전투로만 게임을 진행해서, 모든 전투를 승리하고 캠페인을 완수하는 것'''이다. 텅텅 빈 도시의 빈집털이까지 전부 수동전투로 수행해야 하기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 다행이라면 캠페인 난이도 제한이 없기에 쉬움 난이도로 진행하는 방법도 있겠다. 그 외에도, 그 업적과 비슷한 느낌의 업적들이 존재한다. 토탈 워: 로마2에서는 아쉽게 업적을 놓친 사람들을 위한, 승패 조건만 바뀐 업적들도 있고(자동전투 없이 10패 이하/딱 1패) 이 문구를 영어로 풀어 쓴 I came, I saw, I conquered 라는 업적이 있는데 이쪽은 단순히 캠페인에서 군사 승리를 달성하면 획득할 수 있다. 토탈 워: 아틸라에서는 도전과제 자체도 2개로 쪼개져있고, 업그레이드판 업적도 존재한다. 똑같은 이름(Veni, Vedi, Vici!) 의 도전과제가 2개 존재하는데, 하나는 캠페인에서 기본 목표만 달성하면 가능한 소승리 조건을 달성하면 획득 가능하고, 다른 하나는 소승리보다 많은 조건을 충족해야하는 대승리 조건을 만족해야만 획득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판 업적으로는 카이사르의 환생(Caesar Reborn)이 있는데, 큰 틀은 무패 대승리와 다르지 않다. 한가지 큰 차이점이라면 일종의 [[철인#s-2|철인 모드]]인 전설 난이도에서 진행을 해야한다는 점이다. 매 전투를 시작할 때 마다 강제로 저장되는데다, 자체 난이도도 높기때문에 난이도가 급상승한다. [[쿠키런: 킹덤]]에서 [[페스츄리맛 쿠키]]가 이겼을 때의 대사 중 하나로 '''"왔습니다... 보았습니다... 벌하였습니다...!'''"로 나왔다. 고우영 십팔사략에서 위진남북조 시대의 전진의 부견이 비수대전을 앞두고 '''"왔노라, 보았노라, 이길것 같노라!'''"라고 하며 이 명언을 패러디했다. 그러나 결과는 전진의 대참패였다. == 여담 == [[말보로]] [[담배]]의 로고를 잘 보면, 라틴어로 'VENI VIDI VICI'라고 명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지코]]의 앨범 에 수록된 곡, 역시 이 문장을 오마쥬한 것이다. 특이한 점은 지코는 이 곡에서 'VENI VIDI VICI'를 고전 라틴어 발음 그대로 '웨니 위디 위키'로 제대로 발음한다. [[부산]] [[자갈치시장]] 버전으로 '오이소, 보이소, 사이소'가 있다. 같은 [[동남 방언]] 사용지역인 [[마산]] 어시장이나, 부산 사람이 많이 이주한 [[일본]] [[오사카]]의 츠루하시 [[코리아타운]]에도 입구에도 써 있다. [[닥터후]] 뉴 시즌 4 에피소드 2에서는 [[폼페이]]에 도착한 [[도나 노블]]이 [[타디스]]의 언어 번역 체계를 설명해준 [[10대 닥터]]의 말을 믿지 못하고 [[12대 닥터|상]][[피터 카팔디|인]]에게 'VENI VIDI VICI'라고 말하자 '켈트어는 모른다'고 손사래치는 장면이 나왔다.[* 그런데 사실 영어는 게르만어파이므로 켈트어와는 관계없는 언어다. 같은 인도유럽어족에 속하기는 하지만, 영어와 러시아어가 다르듯 둘이 완전 다른 언어이다. 오히려 켈트어는 라틴어에 가깝다.] VENI, VIDI, [[비자카드|VISA]]라는 배리에이션도 있다. 한국어로는 "왔노라, 보았노라, '''질렀노라!'''" [[VVVVVV]]에서 가장 악랄한 구간으로 여겨지는 구간의 이름으로 등장한다. 가끔은 저 대사의 중간부분을 왔노라, '싸웠노라', 이겼노라 처럼 싸웠노라로 오해하기도 한다. 예를들면 조PD의 빅토리 2010이다. 대중적으로는 "베니, 비디, 비치"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카이사르가 살던 시대에는 V를 U와 동일하게 [u]로 읽었고 C 역시 [k]로 읽었기 때문에 "웨니, 위디, 위키"로 발음이 되었을 것이다. [[저스디스]]의 첫 정규 앨범 '''《[[2 MANY HOMES 4 1 KID]]》'''에는 [[팔로알토]]와 [[오케이션]]이 피처링한 'Veni, Vidi, [[bitch|Bitch]]'라는 노래가 있다. [[SHOW ME THE MONEY 9]]의 [[머쉬베놈]], [[미란이]]의 [[VVS]] 무대에서 머쉬베놈이 '왔노라, 봤노라, 결국 이겨냈노라'며 곡을 끝낸다.[* 마지막 이겼노라(Vici)를 이겨'''냈'''노라(Superare)로 바꿔 곡 제목인 VVS와 맞춘 것이다.] [[CRAVITY]]의 정규 1집 PART 1 《[[The Awakening: Written In The Stars]]》에 수록곡으로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 라는 제목처럼 CRAVITY의 당찬 의지를 담은 <[[VENI VIDI VICI(CRAVITY)|VENI VIDI VICI]]> 라는 노래가 있다. [[Ja Rule]]의 1999년도에 발매한 첫 앨범의 이름도 이 구절에서 딴 [Venni Vetti Vecci]다. [[NXT]]의 [[지오바니 빈치]]가 입장할 때, VENI, VIDI, VINCI라는 자막을 띄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