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런던의 대학)] ---- ||<-3><#fff>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1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1a1a1a, #1a1a1a, #000000)" {{{+1 {{{#fff '''Royal College of Art'''}}}}}}[br]{{{#fff '''왕립예술대학'''}}}}}} || ||<-3> {{{#!wiki style="margin: 10px 0px 10px" [[파일:왕립예술대학 문장.png|width=80%]]}}} || ||<-3><#000000> {{{#fff '''대학 정보'''}}} || ||<|2> '''역사''' || '''설립''' ||[[1837년]]: 관립디자인학교 [[1896년]]: 왕립예술대학 [[1967년]]: 왕실 헌장 {{{-1 ([[엘리자베스 2세]])}}} || || {{{#white '''개교'''}}} ||[[1837년]] {{{-1 ([age(1837-01-01)]주년)}}} || ||<-2>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2> '''소재지''' ||[include(틀:국기, 국명=잉글랜드)] [[런던]][br]{{{-2 (Kensington Gore, London SW7 2EU, UK)}}} || ||<-2> '''총장'''[* Chancellor. 영국 대학의 명목상 수장. 왕립예술대학 운영에 관한 실질적인 권한은 부총장에게 있다.] ||[[조너선 아이브|조너선 아이브 경]] {{{-2 KBE}}}[br]{{{-2 (Sir Jonathan Ive)}}} || ||<-2> '''부총장'''[* Vice-Chancellor. 왕립예술대학의 실질적 수장.] ||폴 톰슨 {{{-2 FRSA}}}[br]{{{-2 (Paul Thompson)}}} || ||<-2> '''로열 비지터'''[* Royal Visitor. 왕실 출신의 감독관으로 대학 내무에 관여할 수 있다.] ||[[찰스 3세]][br]{{{-2 (His Majesty The King Charles III)}}} || ||<|2> '''재단''' || '''규모''' ||8,950만 파운드 ^^({{{-1 2021/22}}})^^ || || '''발전기금''' ||2,850만 파운드 ^^({{{-1 2022}}})^^ || ||<-2> '''재학생''' ||2,575명 ^^({{{-1 2021/22}}})^^ || ||<|3> '''교직원''' || '''총원''' ||575명 ^^({{{-1 2021/22}}})^^ || || '''교원''' ||190명 ^^({{{-1 2021/22}}})^^ || || '''직원''' ||385명 ^^({{{-1 2021/22}}})^^ || ||<-3> {{{#fff '''언어별 명칭'''}}} || ||<-3> {{{#000,#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러시아어|{{{#white,#black 러시아어}}}]]''' || Королевский колледж искусств || ||<-2> '''[[아랍어|{{{#white,#black 아랍어}}}]]''' || الكلية الملكية للفنون || ||<-2> '''[[히브리어|{{{#white,#black 히브리어}}}]]''' || הקולג' המלכותי לאמנות || ||<-2> '''[[일본어|{{{#white,#black 일본어}}}]]''' || ロイヤル・カレッジ・オブ・アート || ||<-2> '''[[중국어|{{{#white,#black 중국어}}}]]''' || 皇家艺术学院 || }}}}}}}}}}}} || ||<-3> {{{#fff '''링크'''}}} || ||<-3> {{{#0e3034,#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웹사이트''' ||[[https://www.rca.ac.uk/|[[파일:왕립예술대학 아이콘.png|width=22]] {{{#000000,#white '''공식 홈페이지'''}}}]] || ||<|5> '''소셜 미디어'''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RCA, 크기=22)] {{{#black,#white '''트위터'''}}} || ||[[http://facebook.com/RCA.Londo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black,#white '''페이스북'''}}}]] || ||[[https://www.instagram.com/royalcollegeofart/|[[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black,#white '''인스타그램'''}}}]] || ||[[https://www.youtube.com/RoyalCollegeofArt1|[[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black,#white '''유튜브'''}}}]] || ||[[https://www.linkedin.com/school/royal-college-of-art/|[[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2]] {{{#black,#white '''링크드인'''}}}]] || || '''학생회''' ||[[https://www.rcasu.org.uk/|[[파일:RCASU.png|width=22]]]] || }}}}}}}}}}}} || ||<-3> '''교표'''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br][[파일:왕립예술대학 로고.png|width=88%]][br][br]}}} || ||<-3> '''위치'''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Royal College of Art, 너비=100%, 높이=130)]}}} || [목차] [clearfix] == 개요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CA-Kensington.jpg|width=100%]]}}} || ||<-2> {{{#white '''왕립예술대학 소개 영상'''}}} || ||<-2>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000,#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Xd9X9NQTRU, height=280)]}}} || }}}}}}}}} || 왕립예술대학('''{{{#000000,#fff Royal College of Art}}}''', 약칭 {{{#000000,#fff '''RCA'''}}})은 [[영국]] [[런던]]에 위치한 세계 최상위권 명문 [[예술대학]]이다. 세계에서 유일한 예술 전문 [[대학원대학]]이자 미술, 디자인, 건축, 패션, 방송, 애니메이션 등 시각 문화 전반으로 명성이 높은 세계 초일류 예술대학이다. 아울러 네임 밸류, 브랜드, 학생의 수준 등 다방면에서 평판이 우수한 교육 기관 중 하나로 평가받아 전 세계 미술·디자인·미디어계 지망생들의 꿈의 대학이자 메카로 불린다. == 역사 == === 관립디자인학교 === 왕립예술대학의 역사는 1837년에 개교한 관립디자인학교(Government School of Design)에서 시작했다. 19세기 당시 영국 내에는 독창적인 디자이너가 드물어 대부분의 산업가들이 해외에서 제작된 디자인을 구매하거나 도용하는 일이 만연했다. 이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한 정부 산하 예술산업특별위원회는 디자인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1837년 영국 상무원을 통해 [[런던]]의 서머싯 하우스에서 관립디자인학교를 설립했다. 그 후로 학생 수가 점차 늘어나다가 1853년 관립디자인학교는 기존의 건물보다 더 큰 말버러 하우스로 이전했고 1857년에는 현재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의 전신인 사우스 켄싱턴 박물관이 위치했던 장소로 한 차례 더 옮겼다. 같은 해 학교 측은 보통미술양성소(Normal Training School of Art)로 교명을 변경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1863년 국립미술양성소(National Art Training School)라는 새로운 명칭으로 바뀌었다. === 왕립예술대학 === 1896년 9월 당시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은 수많은 미술 및 디자인 인재를 배출한 국립미술양성소의 공적을 치하하는 의미로 학교 측에게 왕립예술대학(Royal College of Art)이라는 교명을 하사했다. 또한 이전까지는 미술과 디자인을 교육하는 교사들을 길러 내는 교육대학의 역할에서 학생들에게 실용적인 미술과 디자인을 가르치는 일반 대학의 역할로 전환되었다. 왕립예술대학은 1930년대부터 그래픽 디자인, 산업 디자인, 패션 디자인 등을 가르치기 시작했으며, 1950년대부터는 영화, 방송, 애니메이션 등의 미디어 관련 수업을 교육하기 시작했다. 1962년 대학 측은 켄싱턴에 위치한 다윈 빌딩으로 이전했고, 1967년 왕립예술대학은 왕실 헌장을 받음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학위를 수여할 수 있는 정식 대학 지위로 승격되었다. == 상징 == === 문장 === || {{{#!wiki style="margin: 10px 0px 10px" [[파일:왕립예술대학 문장.png|width=90%]]}}} || || '''▲ 왕립예술대학의 문장''' || 역사적으로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왕립예술대학이라는 교명을 하사받았기 때문에 여왕 재위 시절의 [[영국 왕실]] 문장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중앙의 타원형 방패는 세 개의 문장으로 구분되는데 좌상단과 우하단은 [[잉글랜드 왕국]]의 국장, 우상단은 [[스코틀랜드 왕국]]의 국장, 좌하단은 [[아일랜드 왕국]]의 국장에서 유래한 것이다. 그 주위에는 [[프랑스어]]로 '악한 일을 하는 자에게 재앙이 온다(Honi soit qui mal y pense)'라는 가터 훈장의 표어가 쓰여 있다. 방패 양옆에는 동물들이 서 있는데, 좌측에는 사자로 잉글랜드 왕국을 상징하고 우측은 유니콘으로 스코틀랜드 왕국을 상징한다. 사자가 쓰고 있는 관은 영국 국왕의 공식 왕관인 [[성 에드워드 왕관]]이다. 방패 문양의 주변 도안은 스코틀랜드 왕국의 국장과 유사한데 기본적인 틀은 스코틀랜드 왕국의 것을 유지하되 잉글랜드 왕국의 상징들을 부가했다. 국장 아래에는 프랑스어로 '신과 나의 권리(Dieu et mon droit)'라는 [[영국]] 및 영국 왕실의 표어가 새겨져 있다. === 로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br][[파일:왕립예술대학 로고.png|width=88%]][br][br]}}} || || '''▲ 왕립예술대학의 로고''' || 교명 Royal College of Art가 쓰여 있는 로고는 본 대학의 시각커뮤니케이션 전공 학과장인 네빌 브로디 교수와 그가 이끌고 있는 리서치 스튜디오의 손에서 탄생했다. 로고의 글꼴은 캘버트브로디체(Calvert-Brody)로 [[영국 왕실]] 문장 속 서체인 캘버트체를 바탕으로 디자인되었다. 해당 로고는 2013년 1월에 처음 공개되었다. 로고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https://www.rca.ac.uk/news-and-events/news/the-royal-college-of-art-relaunches-identity/|Royal College of Art Relaunches Identity]]를 참조. == [[/대학원 및 연구소|대학원 및 연구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왕립예술대학/대학원 및 연구소)] == 석사 제도 == === 학기 === || '''학기''' || '''학기 명칭''' || '''기간''' || || '''1학기''' || Term 1 || 9월 초~12월 중순 || || '''2학기''' || Term 2 || 1월 초~4월 중순 || || '''3학기''' || Term 3 || 5월 초~8월 중순 || 왕립예술대학은 1년 3학기제로 운영된다. 학기는 영어로 Semester가 아닌 Term이라고 호칭한다. 각 학기당 기간은 약 13주지만 전공에 따라 정규 학기 이외의 기간(즉, 방학 기간)에도 수업과 시험을 진행할 수 있다. 1년에 약 10개월 반이 학기 기간이고 나머지 1개월 반 정도가 방학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학기마다 4일 간 일종의 자율학습 기간인 Independent study week가 포함되어 있다. 대학원 특성상 전체적으로 많은 학업량이 요구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각 학 Term 1과 Term 2 사이, 그리고 Term 2와 Term 3 사이에 약 2주 정도의 막간 방학이 있음에도 계속 학업 및 과제를 수행하는 학생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 [[/학위과정 및 전공|학위과정 및 전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왕립예술대학/학위과정 및 전공)] === 학비 === 전공마다 다소간 학비 차이가 있으며 전반적으로 2023년 영국인은 1년에 14,175~15,750파운드[* 한화 약 2,400~2,610만 원], 유학생은 33,600~36,750파운드[* 한화 약 5,577~6,100만 원]이다. 이는 대한민국 대학은 물론 다른 주요 영미권 대학과 비교해서도 비싼 편이다. 학비는 대부분의 영미권 대학과 마찬가지로 영국인(Home Student)인지, 유학생(International Student)인지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영국인 판단 조건은 다음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 * [[영국 시민권]] 또는 영국 영주권 소유자 (예 : 영국 영주권이 있는 한국인) * 대학에 입학하기 직전, 9월 1일 기준[* 1월에 시작하는 전공이라면 1월 1일 기준으로 한다.] [[영국]], [[아일랜드]], 영국 해외 영토 및 [[왕실령]]에서 3년 이상 살았을 것 == 캠퍼스 == === 켄싱턴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CA지도1.png|width=100%]]}}} || ||<-2> {{{#white '''켄싱턴 캠퍼스 지도'''}}} || ||<-2> {{{#white '''켄싱턴 캠퍼스 사진'''}}} || ||<-2>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000,#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CA_Darwin.png|width=100%]]}}} || ||<#000000> '''{{{#white 다윈 빌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CA_Stevens.png|width=100%]]}}} || ||<#000000> '''{{{#white 스티븐스 빌딩}}}''' || }}}}}}}}} || [[런던]] [[켄싱턴]]에 위치한 캠퍼스. 다윈 빌딩과 스티븐스 빌딩 두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사적인 의미가 강한 곳이다. 캠퍼스 주변에는 세계 최대의 응용미술 및 디자인 박물관인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 명문 이공계 중심 대학인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그리고 영국 최고의 음악 공연장인 로열 앨버트 홀 등이 있다. 켄싱턴 캠퍼스의 상징이자 왕립예술대학의 대표적인 건물 중 하나인 다윈 빌딩은 영국의 유명 건축가 헨리 토머스 캐드버리브라운에 의해 설계되어 1962년에 완공되었다. 건물명은 [[찰스 다윈]]의 손자이자 영국의 대표 [[모더니즘]] 화가인 로빈 다윈의 이름에서 딴 것이다. 건축학, 현대미술큐레이팅, 문예창작, 디자인사학, 그리고 대부분의 디자인 전공 등이 해당 캠퍼스에서 진행된다. === 배터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CA지도2.png|width=100%]]}}} || ||<-2> {{{#white '''배터시 캠퍼스 지도'''}}} || ||<-2> {{{#white '''배터시 캠퍼스 사진'''}}} || ||<-2>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000,#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CA_Rausing.jpg|width=100%]]}}} || ||<#000000> '''{{{#white 라우징 빌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CA_Studio.jpg|width=100%]]}}} || ||<#000000> '''{{{#white 스튜디오 빌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CA_Dyson.jpg|width=100%]]}}} || ||<#000000> '''{{{#white 다이슨 빌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CA_Sackler.png|width=100%]]}}} || ||<#000000> '''{{{#white 우 빌딩과 새클러 빌딩}}}''' || }}}}}}}}} || [[런던]] [[원즈워스]]에 위치한 캠퍼스. 약 4,960평(15,500m²)의 면적으로 교내에서 가장 넓은 캠퍼스이며 현재 대학의 중심지로 자리잡았다. 배터시 캠퍼스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스위스 건축가 [[헤르초크 & 드 뫼롱]]에 의해 설계되었고 약 1억 3,500만 파운드[* 한화 약 2,067억 원]를 들여 신축 계획을 착수해 2022년에 완공되었다. 각각의 건물명은 캠퍼스 건립을 위해 도움을 준 사람들의 이름을 딴 것이다. 예술인문학, 회화, 사진학, 판화, 조소, 산업 디자인 계열의 디자인 전공 등이 해당 캠퍼스에서 진행된다. === 화이트 시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hiteCity.jpg|width=100%]]}}} || ||<-2> {{{#white '''화이트 시티 일부'''}}} || ||<-2> {{{#white '''화이트 시티 캠퍼스 사진'''}}} || ||<-2>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000,#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CA_GardenHouse.png|width=100%]]}}} || ||<#000000> '''{{{#white 가든 하우스 정면과 측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CA_GardenHouse.jpg|width=100%]]}}} || ||<#000000> '''{{{#white 가든 하우스 후면}}}''' || }}}}}}}}} || [[런던]] [[풀럼]]에 위치한 캠퍼스. 화이트 시티는 과거 [[BBC]] 방송국이 있었던 자리에 다양한 기업과 상점, 그리고 고급 아파트들이 입주함으로써 대대적으로 재개발된 대형 복합 단지인데, 이중 본 대학의 캠퍼스는 가든 하우스라는 건물에 자리잡고 있다. 본교 학생들을 위한 스튜디오, 워크숍 공간들이 많으며 대학 측에서 제공하는 협업, 전시회와 같은 여러 기획 행사들이 이루어진다. 화이트 시티 캠퍼스는 2017년에 완공되었고, 애니메이션, 커뮤니케이션학, 디지털디렉션 등의 전공이 해당 캠퍼스에서 진행된다. == 평가 == [[QS 세계 대학 랭킹]] 미술 및 디자인 부문에서 2015년부터 현재까지 단 한 번도 세계 1위를 놓치지 않고 있는 대기록을 보유하고 있을 정도로 자타공인 세계 최고의 명성을 지니고 있다. 미술, 디자인, 미디어 등 시각 문화 전반으로 영국은 물론 세계에서 가장 권위적인 예술대학 중 하나로 손꼽힌 만큼 미술·디자인·미디어 산업계에 끼친 영향력은 장대하다. 본 대학 출신들은 미술계는 물론이거와 각종 의류 브랜드, 자동차 기업, 영화·애니메이션 제작사, 심지어 공공시설까지 다방면의 분야에서 활동을 했는데, 이들은 대표적으로 [[아우디 콰트로]], [[애스턴 마틴 DB7]], [[포르쉐 911]], [[포드 카]], [[재규어 XK8]] 등의 자동차, 영화 [[시계태엽 오렌지]]의 상징적인 포스터, 록 밴드 [[롤링 스톤스]]의 입술 모양 로고 등의 이미지, [[탑건(영화)|탑건]], [[에이리언 시리즈]], [[틀:블레이드 러너 시리즈|블레이드 러너 시리즈]], [[마션(영화)|마션]] 등의 영화, 그 외에도 [[다이슨|먼지 봉투 없는 진공 청소기]], 영국의 버스 정류장과 신호등 표준 디자인 등을 탄생시켰다. 대학이 제공하는 교육의 질과 학생들의 사회 진출도 우수하다. QS 세계 대학 랭킹에 따르면 학업적 우수 부문에서는 100%, 고용주 선호도 부문에서는 93.5%를 기록했다. 이와 더불어 90%의 학생이 왕립예술대학의 교육 시스템에 매우 만족한다고 답했고, 전체 졸업생 중 95%가 자신의 전공을 살려 취업을 했다. == 출신 인물 == * [[김태완(디자이너)|김태완]] * 데이비드 멜러[* 영국의 산업 디자이너. 영국의 버스 정류장, 신호등 표준 디자인을 제작.] * [[데이비드 호크니]] * 루이즈 공주 * [[리들리 스콧]] * 바바라 헵워스[* 영국의 대표적인 모더니즘 조각가.] * [[박관우(미술가)|박관우]] * 수지 템플턴[* 영국의 애니메이션 제작자. 2008년 [[제80회 아카데미 시상식]] [[아카데미 단편 애니메이션상|단편 애니메이션 부문]] 수상작 피터와 늑대(Peter and the Wolf)를 제작.] * [[알란 릭맨]] * [[이강(디자이너)|이강]] * [[이안 칼럼]] * 제임스 다이슨[* 영국의 산업 디자이너 및 기업인. [[다이슨]]의 설립자 및 現 수석 엔지니어.] * [[조너선 아이브]] * 줄리아 포트[* 영국의 애니메이션 제작자. [[카툰네트워크]]의 애니메이션 시리즈 [[핀과 제이크의 어드벤처 타임]]과 [[Summer Camp Island|썸머 캠프 아일랜드]]를 제작.] * 켄 그린리[* 영국의 산업 디자이너이자 왕립예술대학 재직 교수. [[쌍용 무쏘]]와 [[쌍용 코란도/2세대|뉴코란도]]를 포함한 각종 자동차들의 개발 과정에 참여했다.] * 크리스토퍼 베일리[* 영국의 패션 디자이너. 前 [[버버리]] CCO.] * [[토니 스콧]] * [[토마스 잉엔라트]] * 토마스 헤더윅[* 영국의 건축가. [[뉴욕시|뉴욕]] 허드슨 야드에 위치한 베슬(Vessel)을 설계.] * [[피터 슈라이어]] * 헨리 무어[* 영국의 대표적인 추상 조각가.] == 기타 == * 세계적으로 유명한 예술대학인지라 다양한 국가에서 온 학생들이 많다. 이로 인해 영국 내 다른 대학교들과 비교해서 전반적으로 유학생 비율이 높은데, 전체 학생의 약 70%가 유럽, 아시아 등지에서 온 유학생이다. == 관련 문서 == * [[예술대학]] * [[대학원대학]] * [[영국/교육]] * [[국외 소재 대학교 일람/영국]] * [[대학 서열화/외국/영국]] * [[유학/국가별 정보/영국]] * [[외국 유학 장학금]] [[분류:왕립예술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