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王宿川斷層''' '''Wangsukcheon Fault''' [[파일:external/tifaneria.dothome.co.kr/3543893401_ByIR1iTG_2014-06-16.png]] 사진에서 빨간색이 왕숙천단층이다. [목차] == 개요 == 왕숙천단층은 강원도 [[철원군]] [[서면(철원)|서면]]에서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까지 이어지는 [[단층]]이다. 지명인 [[왕숙천]]은 [[포천시]] [[내촌면(포천)|내촌면]]에서 발원하는 하천이다.[* 최근 남양주에서 개발중인 [[왕숙신도시]] 역시 여기서 명칭을 따왔는데,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이 신도시와 [[별내신도시]], 진접읍 등 '''[[남양주]] 북부의 신도시들이 다 이 단층의 영향권이다.''' ] 왕숙천단층의 연대는 20만~30만년으로 추정된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9%95%EC%88%99%EC%B2%9C_%EB%8B%A8%EC%B8%B5|위키백과를 참조]] 한국에서는 굉장히 긴 단층임에 속하는데, 이에도 불구하고 연대가 굉장히 젊게 나온 4기층 이라고 한다. 따라서 수도권에도 [[2016년 경주 지진]] 정도의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전문가들 또한 지진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 단층을 계속 지켜봐야 한다고 한다. 이 단층은 꽤 최근에 발견되고, 연구까지 하였으나 보고서가 공개되지 않았는데 연구책임자가 배포 제한을 직접 요청했기 때문이라고 한다.[[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299186|#]]--정부가 양산단층을 공개 하지 않은걸 보면 같은 이유일 지도 모른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57&aid=0001022428|#]]-- [[47번 국도]]가 이 단층을 그대로 따라간다. == 같이보기 == * [[https://ko.wikipedia.org/wiki/%ED%95%9C%EB%B0%98%EB%8F%84%EC%9D%98_%EB%8B%A8%EC%B8%B5|한반도의 단층 목록 (위키백과)]] * [[신갈단층]] * [[양산단층]] * [[추가령 구조곡]] [[분류:단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