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음이의어, rd1=왕(동음이의어))] [include(틀:황실/왕실)] [목차] [clearfix] == 개요 == >군왕은 백성이 함께하면 편안하고 백성이 도와주면 강성하며, 백성이 비난하면 위태로워지고 백성이 등을 돌리면 멸망한다. >(百姓與之卽安 輔之則強 非之則危 背之則亡) >----- >[[전한]] 한영(韓嬰)의 <한시외전>(韓詩外傳) >주여, 당신의 권능을 왕에게 다시 그것을 [[태자|왕의 아들]]에게 주소서. 그들이 당신의 백성을 정의로 다스리게 하소서 >----- >[[문명5]] 신과 왕 >사무엘은 이렇게 말하였다. "너희를 다스릴 왕의 권한은 이러하다. 그는 너희의 아들들을 데려다가 그의 병거와 말을 다루는 일을 시키고, 병거 앞에서 달리게 할 것이다. 그는 너희의 아들들을 천부장과 오십부장으로 임명하기도 하고, 왕의 밭을 갈게도 하고, 곡식을 거두어들이게도 하고, 무기와 병거의 장비도 만들게 할 것이다. 그는 너희의 딸들을 데려다가, 향유도 만들게 하고 요리도 시키고 빵도 굽게 할 것이다. 그는 너희의 밭과 포도원과 올리브 밭에서 가장 좋은 것을 가져다가 왕의 신하들에게 줄 것이며, 너희가 거둔 곡식과 포도에서도 열에 하나를 거두어 왕의 관리들과 신하들에게 줄 것이다. 그는 너희의 남종들과 여종들과 가장 뛰어난 젊은이들과 나귀들을 끌어다가 왕의 일을 시킬 것이다. 그는 또 너희의 양 떼 가운데서 열에 하나를 거두어 갈 것이며, 마침내 너희들까지 왕의 종이 될 것이다. 그때에야 너희가 스스로 택한 왕 때문에 울부짖을 터이지만, 그때에 주께서는 너희의 기도에 응답하지 않으실 것이다." >---- >[[성경]] [[사무엘기]] 8장 11~18 '''왕'''([[王]])은 [[고대]]부터 현재까지 한 나라의 [[군주]], [[임금]]을 뜻하는 가장 대표적인 [[한자]]다. [[갑골문]]에선 王은 아래 변이 넓고 위는 [[도끼]] 모양을 하고 있다. 고대 중국에선 [[도끼]]가 [[권력]]을 상징했기 때문에[* 이는 중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모든 고대 국가들이 비슷했다. 고대에서 도끼, [[낫]], [[칼]] 등은 '언제든지 나의 목을 벨 수 있는자', 즉, '''언제든 나의 생명을 앗아갈 수 있는 자'''라는 의미였다.] 도끼를 최고의 권력을 가진 왕의 상징으로 썼다. 이외에도 갑골문의 모양 해석에는 몇몇 이설이 있는데[* [[사람]]이 땅 위에 서 있는 모습이라는 설, 士 자의 분화자 설, 土 + 一/上 설 등. 사실 王자의 음이 도끼의 상형문자인 戉(도끼 월) 자와 음이 멀어서 도끼의 상형자라고 단정 짓기는 어렵다.], 대표적으로 중국 [[한나라]]시대의 학자인 [[허신]](許愼)은 갑골문을 보지 못했기에 [[전서]](篆書) 등 이미 원형에서 많이 변형된 후세의 자체만 보고 하늘과 사람 사이([[二]])의 중간에 위치하여([[一]]) 하늘과 [[백성]]을 연결하는 것(|)을 뜻하는 말로서 하늘의 명으로 만민을 통치하는 존재라고 풀이했다. 갑골문을 찾기 전까지는 이 허신의 해석이 널리 쓰였으나 갑골문이 나와 그 진짜 의미가 드러났다. 즉 '[[높으신 분|권력을 가진 높은 분]]'이라는 뜻. 추가로 원래 [[한자문화권]]의 전통에서는 [[그리스 로마 신화]] 등 [[다신교]] 세계관에서의 '~~의 [[신]]'이란 개념은 '신'이 아니라 '왕'이라고 부른다. [[우라누스]]의 이름을 딴 행성을 천'''왕'''성으로([[넵투누스]]의 이름을 딴 해왕성, [[플루토]]의 이름을 딴 명왕성 등도 같다.) 번역한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원래 한자 신([[神]])은 영어의 God보다는 [[Ghost]]에 가까운 [[개념]]이다. [[명나라]] 때 중국에 입국한 [[가톨릭]] 선교사들이 [[그리스도교]]의 절대자를 신으로 번역하지 않고, [[천주]]로 번역한 것도 이러한 이유다. 물론 신(神)이라는 글자에 God의 의미도 없지는 않았지만, [[유일신]] 종교의 절대자 뉘앙스는 절대로 아니었고 애니미즘적인 [[정령]], 산신 등에 쓰는 말이었다. 당장 민간에서 [[제사]]를 지낼 적에도 [[조상]]의 자리를 '''신'''위라고 부른다. 한자에서 절대자의 뉘앙스를 가지는 말은 천([[天]])이나 황([[皇]]), 또는 제([[帝]])이지 신(神)은 아니다. == 왕국의 국가원수 국왕 == 일반적인 정의는 [[왕국]]의 [[군주]]. 흔히 사람들이 생각하는 왕이다. 보통 '국왕'이라고 칭한다.[* 이론적으로는 황후, 황태자, 황태후의 황을 왕으로 교체해 왕후, 왕태자, 왕태후라는 단어를 쓰는 것처럼 똑같은 규칙을 통해 왕제(王帝)가 되겠지만 [[외왕내제]]의 경우를 제외하고 왕과 제를 연칭한 경우는 없다.] 훌륭한 업적을 세운 성군의 경우는 [[대왕]]이라고 부른다. [[유럽]] 역사에서 '대왕'은 위대한 왕을 부를 때 쓰는 단어일 뿐이었지만, [[한국사]]에선 위대한 왕을 부를 때뿐만 아니라 실제 군주의 칭호 자체가 '대왕'인 경우가 많았다.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고려]], [[조선]] 왕조가 '대왕'을 자국 군주의 정식 칭호로 사용했고, 신라와 백제 역시 자국의 임금의 정식 칭호를 '대왕'이라고 했다. [[황제]]의 개념이 여러 왕국들이 부대껴 하나의 문화권을 형성하게 되면서 일종의 대빵을 만든 것처럼, 왕의 개념 역시 일반적으로 여러 부족들이 통합해 여러 부족장들의 수장을 정하게 되면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실제 역사에서 왕의 권력은 초창기에는 그리 강하지 않은 경우가 많고, 왕이 여타 부족장이나 귀족들과 대립하면서 [[왕권]]을 강화하고 차츰 권위와 위상 또한 강해지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세상의 모든 왕이 사라지더라도 [[체스]]판의 왕과 [[트럼프]]의 왕 4명, 그리고 [[영국 국왕]]은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는 말이 있다. [[가말 압델 나세르]]가 이끄는 장교단의 [[쿠데타]]로 쫓겨난 이집트 국왕 [[파루크 1세]]가 "20세기에는 각국의 [[왕실]]이 사라질 것이나 5명의 왕만은 건재할 것이니 트럼프의 왕 넷[* 스페이드, 다이아몬드, 하트, 클로버.]과 영국의 왕이다"라고 했다.[* 사실 영국의 왕도 그 전에 [[올리버 크롬웰]]에 의해 잠시 없었던 적이 있었다.] == [[왕(작위)|작위로서의 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왕(작위))] == [[왕/캐릭터|창작물에서 왕인 캐릭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왕/캐릭터)] == 호칭 == 한국의 역사에선 왕을 뜻하는 고유의 일반명사들이 있었는데 다음과 같다. || 국가 || 호칭 || || [[고조선]] || [[단군]] || || [[고구려]] || 개차(皆次) || || [[백제]] || [[건길지]], [[어라하]] || ||<|5><:> [[신라]] || [[거서간]](居西干) || || [[차차웅]](次次雄) || || [[이사금]](尼師今) || || [[마립간]](麻立干) || || [[매금]](寐錦)[* 충주고구려비와 봉평신라비에서 등장. 마립간의 다른 표기로 보기도 한다.] || || [[가야]] || [[한기]](旱岐)[* [[사비회의]] 당시 참석자 기록을 봐선 가야 안에서 크고 강한 나라의 임금은 왕(王), 작은 나라의 임금을 한기(旱岐)로 부른 것으로 추정된다.] || || [[발해]] || [[가독부]](可毒夫) || [[한반도]]의 국가들이 왕이라는 칭호 자체를 쓴것은 기원전 323년 경 [[고조선]]이 시초이지만 이후로도 상당기간 동안 자체적인 칭호와 같이 쓰였던듯한데 중국식 표현인 왕(王)이라는 칭호가 일반화 된 신라 중대([[통일신라]]), [[고려]]시대부터는 왕 칭호만 쓰게 되었다. === 언어별 명칭 === 해외에서의 왕을 뜻하는 일반 명사는 다음과 같다. ||<-2>
'''언어별 명칭''' || || [[한국어|{{{#373a3c,#ddd '''한국어'''}}}]] ||[[임금]],[* [[순우리말]]] 왕 || || [[한자|{{{#373a3c,#ddd '''한자'''}}}]] ||[[王]](왕) || ||<|3> [[그리스어|{{{#373a3c,#ddd '''그리스어'''}}}]] ||[[바실레프스|βασιλιάς(vasiliás, 바실리아스)]] || ||[[바실레프스|Βασιλεύς(basileús, 바실레프스)]],[* 중세 그리스어에서는 [[황제]]도 뜻한다. 현대에서는 역사 용어로만 쓰인다.] ἄναξ(ánax)([[고전 그리스어]]) || ||qa-si-re-u(미케네 그리스어) || ||<|6> [[독일어|{{{#373a3c,#ddd '''독일어'''}}}]] ||[[König|könig(쾨니히)]] || ||Kine([[오스트로바이에른어]]) || ||König, Keunig([[저지 독일어]]) || ||Künning(중부 프랑켄 방언) || ||Keenich([[펜실베이니아 독일어]]) || ||kuning, cuning(고대 고지 독일어) || || [[라틴어|{{{#373a3c,#ddd '''라틴어'''}}}]] ||[[렉스|rex/rēx(렉스)]] || || [[러시아어|{{{#373a3c,#ddd '''러시아어'''}}}]] ||[[차르|царь(car', 차르)]], коро́ль(korólʹ), князь(knjazʹ) || ||<|2> [[루마니아어|{{{#373a3c,#ddd '''루마니아어'''}}}]] ||[[레제#s-6|rege(레제)]] || ||vãsilje, bãsilãu(아루마니아어) || || [[마인어|{{{#373a3c,#ddd '''마인어'''}}}]] ||[[군주의 칭호|raja(라자)]], datu(다투), perabu, syah, malik, padsyah, narapati || || [[몽골어|{{{#373a3c,#ddd '''몽골어'''}}}]] ||[[칸|ᠬᠠᠨ(хан, 항)]], хаан(khaan), ван(van) || || [[베트남어|{{{#373a3c,#ddd '''베트남어'''}}}]] ||vua, quốc vương([[國]][[王]]) || || [[산스크리트어|{{{#373a3c,#ddd '''산스크리트어'''}}}]] ||[[군주의 칭호|राजा(raja, 라자)]], केसरी(kesarī), भूपति(bhūpati) || || [[세부아노어|{{{#373a3c,#ddd '''세부아노어'''}}}]] ||[[하리|hari(하리)]] || || [[수메르|{{{#373a3c,#ddd '''수메르어'''}}}]], [[히타이트|{{{#373a3c,#ddd '''히타이트어'''}}}]] ||[[루갈|𒈗(lugal 루갈)]] || ||<|5> [[스페인어|{{{#373a3c,#ddd '''스페인어'''}}}]] ||[[레이|rey(레이)]] || ||[[레이|ריי/rey(레이)]]([[라디노어]]) || ||[[레이|rei(레이)]]([[아라곤어]]) || ||[[레이|rei(레이)]], re([[아스투리아스|아스투리아스어]]) || ||[[레이|rei(레이)]]([[로망스어군|에스트레마두라어]]) || ||<|4> [[아랍어|{{{#373a3c,#ddd '''아랍어'''}}}]] ||ملك(malik, 말리크), [[술탄|سلطان(sulṭān, 술탄)]] || ||ملك(malek)([[이집트 아랍어]]) || ||مَلِك(malik)([[아랍어 방언|히자즈 방언]]) || ||𐩣𐩡𐩫(mlk)(고대 남아랍어) || ||<|2> [[암하라어|{{{#373a3c,#ddd '''암하라어'''}}}]] ||[[느구서 너거스트|ንጉስ(nəgus), ንጉሥ(nǝguś, 느구스)]] || ||ንጉሥ(nəguś)(그으즈어) || ||<|2> [[에스페란토|{{{#373a3c,#ddd '''에스페란토'''}}}]] ||reĝo(레조) || ||rejulo([[이도]]) || ||<|4> [[영어|{{{#373a3c,#ddd '''영어'''}}}]] ||[[킹|king(킹)]] || ||keeng([[스코트어]]) || ||cyning([[고대 영어]]) || ||kyng, king([[중세 영어]]) || ||<|6> [[이탈리아어|{{{#373a3c,#ddd '''이탈리아어'''}}}]] ||[[레|re(레)]] || ||re([[코르시카어]]) || ||rré([[로망스어군|나폴리어]]) || ||[[레|re(레)]], rei([[사르데냐어]]) || ||[[레|re(레)]]([[프리울리어]]) || ||[[레|re(레)]], reghi([[시칠리아어]]) || || [[인도유럽조어|{{{#373a3c,#ddd '''인도유럽조어'''}}}]] ||[[렉스|rḗḱs(렉스)]] || || [[일본어|{{{#373a3c,#ddd '''일본어'''}}}]] ||[[오|[ruby(王, ruby=おう)](오)]], [ruby(国王, ruby=こくおう)](kokuō), [ruby(王様, ruby=おうさま)](ōsama, 오우사마) || || [[중국어|{{{#373a3c,#ddd '''중국어'''}}}]] ||[ruby(王, ruby=wáng)], [ruby(国王, ruby=guówáng)], [ruby(國王, ruby=guówáng)]([[정자(한자)|정자]]) || || [[카탈루냐어|{{{#373a3c,#ddd '''카탈루냐어'''}}}]] ||[[레이|rei(레이)]] || || [[태국어|{{{#373a3c,#ddd '''태국어'''}}}]] ||ราชา(raa-chaa), กษัตริย์(gà-sàt), ราช(râat) || ||<|3> [[튀르키예어|{{{#373a3c,#ddd '''튀르키예어'''}}}]] ||Kral, Padişah || ||𐰴𐰍𐰣(qǧn¹ /qaɣan/)(고대 [[튀르키예어]]) || ||شاه(şâh), قرال(qrāl), قرال(kral), ملك(melik)([[오스만어]]) || ||<|4> [[페르시아어|{{{#373a3c,#ddd '''페르시아어'''}}}]] ||[[샤|شاه(šâh, shah(ʃɑː), 샤)]], پادشاه(pâdšâh, pâdešâh), کیا(kia), تاجور(tāǰvar) || ||шоҳ(šoh), подшоҳ(podšoh)([[타지크어]]) || ||𐏋(XŠ /xšāyaθiya/)(고대 페르시아어) || ||𐭬𐭫𐭪𐭠(mlkʾ /šāh/)(중세 페르시아어) || ||<|6> [[포르투갈어|{{{#373a3c,#ddd '''포르투갈어'''}}}]] ||[[헤이#s-2|rei(헤이)]] || ||rei([[갈리시아어]], [[미란다어]], 카보베르데 크레올어) || ||alê(앙골라 크레올어) || ||alé(안노본 크레올어) || ||re(크리스탕 크레올어) || ||arê(프린시페 크레올어) || ||<|6> [[프랑스어|{{{#373a3c,#ddd '''프랑스어'''}}}]] ||[[루아|roi(후아, 루아)]][* 표준 발음의 실제 발음은 '''후아'''에 가깝다. '[[루아]]'는 비수도권에서 사용되는 방언 발음.] || ||roy(고대 프랑스어) || ||roi, rei(중세 프랑스어) || ||rwa(루이지애나 크레올어) || ||lerwa(세이셸 크레올어) || ||hué(카니푸라 크레올어) || || [[핀란드어|{{{#373a3c,#ddd '''핀란드어'''}}}]] ||kuningas || || [[히브리어|{{{#373a3c,#ddd '''히브리어'''}}}]] ||מסלם(mélekh) || ||<-2><^|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기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북게르만어군|{{{#373a3c,#ddd '''고대 노르드어'''}}}]] ||konungr, kongr || || [[고대 동슬라브어|{{{#373a3c,#ddd '''고대 동슬라브어'''}}}]] ||король(korolĭ), цѣсарь(cěsarĭ) || || [[고전 이집트어|{{{#373a3c,#ddd '''고전 이집트어'''}}}]] ||nswt(/nijˈsiːwat/ → /niˈsiːwaʔ/ → /ʔənˈsiːʔəʔ/ → /ʔənˈsiːʔ/)(상이집트 왕), bjtj(/biˈjatVj/ → /biˈjatVj/ → /βəˈjat(ə)/)(하이집트 왕), ḥqꜣ m(/ħɛkɑ/, heqa) || || [[고트어|{{{#373a3c,#ddd '''고트어'''}}}]] ||𐌸𐌹𐌿𐌳𐌰𐌽𐍃(þiudans) || || [[교회 슬라브어|{{{#373a3c,#ddd '''교회 슬라브어'''}}}]] ||ⱌⱑⱄⰰⱃⱐ/цѣсарь(cěsarĭ) || || [[구자라트어|{{{#373a3c,#ddd '''구자라트어'''}}}]] ||[[군주의 칭호|રાજા(rājā, 라자)]] || || [[그린란드어|{{{#373a3c,#ddd '''그린란드어'''}}}]] ||kunngi || ||<|2> {{{#373a3c,#ddd '''기아나 크레올어'''}}} ||rwè || ||rei(기아나-비사우 크레올어) || || [[나바호어|{{{#373a3c,#ddd '''나바호어'''}}}]] ||naatʼáanii || || [[나와틀어|{{{#373a3c,#ddd '''나와틀어'''}}}]] ||tlahtoāni || ||<|2> [[네덜란드어|{{{#373a3c,#ddd '''네덜란드어'''}}}]], [[아프리칸스어|{{{#373a3c,#ddd '''아프리칸스어'''}}}]] ||koning(코닝) || ||wa(안틸레스 크레올어) || || [[네팔어|{{{#373a3c,#ddd '''네팔어'''}}}]] ||[[군주의 칭호|राजा(rājā, 라자)]] || || [[노르만어|{{{#373a3c,#ddd '''노르만어'''}}}]] ||rouai(저지식), roué(대륙식), rwe(사크 방언) || || [[노르웨이어|{{{#373a3c,#ddd '''노르웨이어'''}}}]] ||konge || ||<|2> [[나일사하라어족|{{{#373a3c,#ddd '''누비아어'''}}}]] ||ⲟⲩⲣⲟⲩ(고대 누비아어) || ||ūru(노비인어) || || [[달마티아어|{{{#373a3c,#ddd '''달마티아어'''}}}]] ||[[라|ra(라)]] || ||<|2> [[덴마크어|{{{#373a3c,#ddd '''덴마크어'''}}}]] ||konge || ||konung(고대 덴마크어) || || [[둥간어|{{{#373a3c,#ddd '''둥간어'''}}}]] ||вон(von) || || [[라오어|{{{#373a3c,#ddd '''라오어'''}}}]] ||ລາຊາ(lā sā), ກະສັດ(ka sat), ຣາຊາ(rā sā) || || [[라트갈레어|{{{#373a3c,#ddd '''라트갈레어'''}}}]] ||kieneņš, karaļs || || [[라트비아어|{{{#373a3c,#ddd '''라트비아어'''}}}]] ||karalis, ķēniņš || || [[북캅카스어족|{{{#373a3c,#ddd '''레즈긴어'''}}}]] ||король(korol’) || || [[로망슈어|{{{#373a3c,#ddd '''로망슈어'''}}}]] ||retg || || [[로힝야어|{{{#373a3c,#ddd '''로힝야어'''}}}]] ||raza || ||<|2> [[롬어|{{{#373a3c,#ddd '''롬어'''}}}]] ||thagar, kraj, raj || ||král, krályo(블라흐 방언) || || [[룩셈부르크어|{{{#373a3c,#ddd '''룩셈부르크어'''}}}]] ||Kinnek || || [[아나톨리아어파|{{{#373a3c,#ddd '''뤼디아어'''}}}]] ||𐤡𐤠𐤯𐤯𐤬𐤳(battos), 𐤲𐤠𐤷𐤪𐤷𐤰𐤳(qaλmλus) || || [[리투아니아어|{{{#373a3c,#ddd '''리투아니아어'''}}}]] ||karalius || || [[마라티어|{{{#373a3c,#ddd '''마라티어'''}}}]] ||[[군주의 칭호|राजा(rājā, 라자)]] || || [[마오리어|{{{#373a3c,#ddd '''마오리어'''}}}]] ||kingi || || [[오스트로네시아어족|{{{#373a3c,#ddd '''마카사르어'''}}}]] ||karaeng || || [[마케도니아어|{{{#373a3c,#ddd '''마케도니아어'''}}}]] ||крал(kral) || || [[만주어|{{{#373a3c,#ddd '''만주어'''}}}]] ||ᠸᠠᠩ(wang, 왕) || || [[말라가시어|{{{#373a3c,#ddd '''말라가시어'''}}}]] ||mpanjaka || || [[말라얄람어|{{{#373a3c,#ddd '''말라얄람어'''}}}]] ||രാജാവ്(rājāvŭ), അരചൻ(aracaṉ) || || [[몰타어|{{{#373a3c,#ddd '''몰타어'''}}}]] ||re || || [[몽어|{{{#373a3c,#ddd '''몽어'''}}}]] ||huab tais(중앙 후이수이 방언) || || [[카르트벨리어족|{{{#373a3c,#ddd '''메그렐어'''}}}]] ||მაფა(mapa) || || [[미얀마어|{{{#373a3c,#ddd '''미얀마어'''}}}]] ||ဘုရင်(bhu.rang), မင်း(mang:), [[군주의 칭호|ရာဇ(raja., 라자.)]] || || [[바스크어|{{{#373a3c,#ddd '''바스크어'''}}}]] ||errege || || [[바시키르어|{{{#373a3c,#ddd '''바시키르어'''}}}]] ||батша(batša) || || [[베네토어|{{{#373a3c,#ddd '''베네토어'''}}}]] ||re || ||<|2> [[베르베르어|{{{#373a3c,#ddd '''베르베르어'''}}}]] ||agllid(실하어) || ||agellid(커바일어) || || [[벨라루스어|{{{#373a3c,#ddd '''벨라루스어'''}}}]] ||каро́ль(karólʹ), [[차르|цар(car)]] || || [[발트핀어군|{{{#373a3c,#ddd '''벱스어'''}}}]] ||kunigaz || || [[벵골어|{{{#373a3c,#ddd '''벵골어'''}}}]] ||[[군주의 칭호|রাজা(raja, 라자)]], বাদশাহ(badśah) || || [[발트핀어군|{{{#373a3c,#ddd '''보디어'''}}}]] ||kunikaz, kunikõz || || [[볼라퓌크|{{{#373a3c,#ddd '''볼라퓌크'''}}}]] ||hireg || || [[부랴트어|{{{#373a3c,#ddd '''부랴트어'''}}}]] ||хаан(xaan) || || [[불가리아어|{{{#373a3c,#ddd '''불가리아어'''}}}]] ||[[차르|Цар(car, 차르)]], крал(kral) || ||<|2> [[브르타뉴어|{{{#373a3c,#ddd '''브르타뉴어'''}}}]] ||roue || ||roe(고대 브르타뉴어) || || [[서게르만어군|{{{#373a3c,#ddd '''빌라모비체어'''}}}]] ||kyng || || [[사모아어|{{{#373a3c,#ddd '''사모아어'''}}}]] ||tupu(투푸) || ||<|4> [[사미어|{{{#373a3c,#ddd '''사미어'''}}}]] ||gånågis(룰레 사미어) || ||gonagas(북부 사미어) || ||kunâgâs(이나리 사미어) || ||koonǥõs(스콜트 사미어) || || [[오스트로아시아어족|{{{#373a3c,#ddd '''산탈어'''}}}]] ||ᱨᱟᱡᱽ(rajᱽ) || || [[세르보크로아트어|{{{#373a3c,#ddd '''세르보크로아트어'''}}}]] ||[[차르|Цар(car, 차르)]] || || [[오스트로아시아어족|{{{#373a3c,#ddd '''세마이어'''}}}]] ||rajak || ||<|2> [[소르브어|{{{#373a3c,#ddd '''소르브어'''}}}]] ||kral(고지 소르브어) || ||kral, kralik, krol([[고어]])(저지 소르브어) || || [[소말리어|{{{#373a3c,#ddd '''소말리어'''}}}]] ||boqor || || [[소토어|{{{#373a3c,#ddd '''소토어'''}}}]] ||morena(모레나) || || [[쇼나어|{{{#373a3c,#ddd '''쇼나어'''}}}]] ||mambo(맘보) || || [[스반어|{{{#373a3c,#ddd '''스반어'''}}}]] ||ნეფე(nepe) || || [[스와티어|{{{#373a3c,#ddd '''스와티어'''}}}]] ||응웬야마 || ||<|2> [[스와힐리어|{{{#373a3c,#ddd '''스와힐리어'''}}}]] ||mfalme || ||nfalume(음와니어) || || [[스웨덴어|{{{#373a3c,#ddd '''스웨덴어'''}}}]] ||kung, konung([[고어]]), drott || || [[슬로바키아어|{{{#373a3c,#ddd '''슬로바키아어'''}}}]] ||kráľ || || [[슬로베니아어|{{{#373a3c,#ddd '''슬로베니아어'''}}}]] ||kralj || || [[슬라브어파|{{{#373a3c,#ddd '''슬로빈키아어'''}}}]] ||krȯ́u̯l, krȯl || || [[순다어|{{{#373a3c,#ddd '''순다어'''}}}]] ||raja || || [[신디어|{{{#373a3c,#ddd '''신디어'''}}}]] ||سُلطانُ(sultānu), بادشاھ || || [[싱할라어|{{{#373a3c,#ddd '''싱할라어'''}}}]] ||[[군주의 칭호|රජ(raja, 라자)]] || ||<|2> [[아람어|{{{#373a3c,#ddd '''아람어'''}}}]] ||מַלְכָּא(malkā, 말카)(유대-바빌로니아 아람어) || ||ܡܠܟܐ(malkā)([[시리아어]]) || ||<|2> [[아르메니아어|{{{#373a3c,#ddd '''아르메니아어'''}}}]] ||թագավոր(tʿagavor), արքա(arkʿa) || ||թագաւոր(tʿagawor), արքայ(arkʿay)(고대 아르메니아어) || || [[북캅카스어족|{{{#373a3c,#ddd '''아바르어'''}}}]] ||паччахӏ(pač̄aḥ) || ||<|2> [[아삼어|{{{#373a3c,#ddd '''아삼어'''}}}]] ||ৰজা(roza) || ||[[군주의 칭호|ৰাজা(raja, 라자)]], ৰাই(rai)(초기 아삼어) || || [[아이누어|{{{#373a3c,#ddd '''아이누어'''}}}]] ||aekotenishpa/アエコテニシパ || || [[아이마라어|{{{#373a3c,#ddd '''아이마라어'''}}}]] ||malku || || [[아제르바이잔어|{{{#373a3c,#ddd '''아제르바이잔어'''}}}]] ||kra, məlik, şah, padşah || || [[티베트버마어파|{{{#373a3c,#ddd '''아통어'''}}}]] ||[[군주의 칭호|raja(라자)]] || || [[아이티 크레올어|{{{#373a3c,#ddd '''아이티 크레올어'''}}}]] ||wa || || [[아이슬란드어|{{{#373a3c,#ddd '''아이슬란드어'''}}}]] ||konungur, kóngur || || [[데네예니세이어족|{{{#373a3c,#ddd '''아파치어'''}}}]] ||nantʼán(서부) || || [[알바니아어|{{{#373a3c,#ddd '''알바니아어'''}}}]] ||mbret, mret(게그 방언) || || [[우랄어족|{{{#373a3c,#ddd '''에르자어'''}}}]] ||инязор(injazor) || || [[에스토니아어|{{{#373a3c,#ddd '''에스토니아어'''}}}]] ||kuningas, kunn([[속어 유행어 관련 정보|속어]]) || || [[에웨어|{{{#373a3c,#ddd '''에웨어'''}}}]] ||fiaŋutsu || || [[북게르만어군|{{{#373a3c,#ddd '''엘프달리아어'''}}}]] ||kunungg || || [[오리야어|{{{#373a3c,#ddd '''오리야어'''}}}]] ||[[군주의 칭호|ରାଜା(raja, 라자)]] || || [[오세트어|{{{#373a3c,#ddd '''오세트어'''}}}]] ||паддзах(padʒax) || || {{{#373a3c,#ddd '''오지브웨어'''}}} ||ogimaa, gichi- ogimaa || || [[오크어|{{{#373a3c,#ddd '''오크어'''}}}]] ||rei || || [[왈롱어|{{{#373a3c,#ddd '''왈롱어'''}}}]] ||rwè, roy([[고어]]) || || [[요루바어|{{{#373a3c,#ddd '''요루바어'''}}}]] ||oba || || [[우가리트|{{{#373a3c,#ddd '''우가리트어'''}}}]] ||𐎎𐎍𐎋(mlk) || || [[우즈베크어|{{{#373a3c,#ddd '''우즈베크어'''}}}]] ||qirol, shoh, korol, podshoh, xon || || [[우크라이나어|{{{#373a3c,#ddd '''우크라이나어'''}}}]] ||коро́ль(korólʹ), [[차르|цар(car, 차르)]] || || [[월로프어|{{{#373a3c,#ddd '''월로프어'''}}}]] ||bûr || || [[위구르어|{{{#373a3c,#ddd '''위구르어'''}}}]] ||پادىشاھ(padishah), شاھ(shah), خان(xan) || || [[유픽|{{{#373a3c,#ddd '''유픽어'''}}}]] ||uss'utali || || [[이디시어|{{{#373a3c,#ddd '''이디시어'''}}}]] ||מלך(meylekh), קיניג(kinig) || || [[이보어|{{{#373a3c,#ddd '''이보어'''}}}]] ||eze || || [[인테르링구아|{{{#373a3c,#ddd '''인테르링구아'''}}}]] ||rege || || [[일로카노어|{{{#373a3c,#ddd '''일로카노어'''}}}]] ||[[아리|ari(아리)]] || ||<|2> [[자바어|{{{#373a3c,#ddd '''자바어'''}}}]] ||prabu, [[군주의 칭호|raja(라자)]], ratu || ||haji, ratu(고대 자바어) || ||<|2> [[조지아어|{{{#373a3c,#ddd '''조지아어'''}}}]] ||მეფე(mepe, 메페), ხელმწიფე (xelmc̣ipe) || ||მეუფე(meupe)(고대 조지아어) || || [[좡어|{{{#373a3c,#ddd '''좡어'''}}}]] ||vuengz || || [[줄루어|{{{#373a3c,#ddd '''줄루어'''}}}]] ||inkosi 5 or 6 || || [[체로키어|{{{#373a3c,#ddd '''체로키어'''}}}]] ||ᎤᎬᏫᏳᎯ(ugvwiyuhi) || || [[체와어|{{{#373a3c,#ddd '''체와어'''}}}]] ||mfumu || || [[체첸어|{{{#373a3c,#ddd '''체첸어'''}}}]] ||ӏела(ʿela), паччахь(paččaḥ) || || [[체코어|{{{#373a3c,#ddd '''체코어'''}}}]] ||král || || [[추바시어|{{{#373a3c,#ddd '''추바시어'''}}}]] ||король(korolʹ), патша(patša) || || [[카자흐어|{{{#373a3c,#ddd '''카자흐어'''}}}]] ||хан(xan), король(korolʹ), патша(patşa) || || [[칸나다어|{{{#373a3c,#ddd '''칸나다어'''}}}]] ||[[군주의 칭호|ರಾಜ(rāja, 라자)]] || || [[오스트로네시아어족|{{{#373a3c,#ddd '''캄베라어'''}}}]] ||maramba || || [[북캅카스어족|{{{#373a3c,#ddd '''캅카스 알바니아어'''}}}]] ||üwx || || [[케추아어|{{{#373a3c,#ddd '''케추아어'''}}}]] ||qhapaq || ||<|6> [[켈트어파|{{{#373a3c,#ddd '''켈트어파'''}}}]] ||rí([[아일랜드어]]) || ||*rīx(rix, 릭스)[* 부족장도 뜻한다. [[베르킨게토릭스]], [[둠노릭스]] 등 고대 [[갈리아]]의 부족장의 이름은 릭스(rix)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라틴어]]로 왕을 뜻하는 [[렉스|rex(렉스)]]와 마찬가지로 [[인도유럽조어|원시인구어]]로 왕을 뜻하는 rḗḱs가 어원이다.]([[갈리아어]]) || ||ree([[맨어]]) || ||rìgh([[스코틀랜드 게일어]]) || ||brenin([[웨일스어]]), brenhyn, brenhin, breenhin(중세 웨일스어) || ||mytern, my'tern, myghtern([[콘월어]]) || || [[코모로어|{{{#373a3c,#ddd '''코모로어'''}}}]] ||mfalume 1 or 2(은주아니 코모로어) || || [[코사어|{{{#373a3c,#ddd '''코사어'''}}}]] ||inkosi 5 or 6 || ||<|2> [[콥트어|{{{#373a3c,#ddd '''콥트어'''}}}]] ||ⲃⲁⲥⲓⲗⲉⲩⲥ(basileus), ⲟⲩⲣⲟ(ouro)(보하이라 방언) || ||ⲃⲁⲥⲓⲗⲉⲩⲥ(basileus), ⲣⲣⲟ(rro)(사히디 방언) || ||<|2> [[쿠르드어|{{{#373a3c,#ddd '''쿠르드어'''}}}]] ||شاھ(şah), مەلیک(melîk)(소라니 방언) || ||paşa, qiral, melik, şah(쿠르만지 방언) || || {{{#373a3c,#ddd '''쿠순다어'''}}} ||moŋ || || [[크메르어|{{{#373a3c,#ddd '''크메르어'''}}}]] ||ស្ដេច(sdac), ព្រះមហាក្សត្រ(prĕəh mĕəʼhaaksat), ហ្លួង(luəng), ជននាថ(cŭən niət), រាជ(riəc), រាជា(riəciə) || || [[슬라브어파|{{{#373a3c,#ddd '''크난어'''}}}]] ||קרל(krl) || || [[키르기스어|{{{#373a3c,#ddd '''키르기스어'''}}}]] ||король(qorolʹ), падыша(padışa), кан(qan) || || [[키쿠유어|{{{#373a3c,#ddd '''키쿠유어'''}}}]] ||mũthamaki 1 || || [[타밀어|{{{#373a3c,#ddd '''타밀어'''}}}]] ||மன்னன்(maṉṉaṉ), அரசன்(aracaṉ), [[군주의 칭호|ராஜா(rājā, 라자)]], கோ(kō) || || [[북캅카스어족|{{{#373a3c,#ddd '''타바사란어'''}}}]] ||паччагь(pač̄ah) || || {{{#373a3c,#ddd '''타오스어'''}}} ||taláyna || || [[타타르어|{{{#373a3c,#ddd '''타타르어'''}}}]] ||король(qorol’), патша(patşa), падишаһ(padişah) || || [[텔루구어|{{{#373a3c,#ddd '''텔루구어'''}}}]] ||రాజు(rāju) || ||<|2> [[토하라어|{{{#373a3c,#ddd '''토하라어'''}}}]] ||wäl([[토하라어]] A: 아그니 방언) || ||walo([[토하라어]] B: 쿠차 방언) || || [[투르크멘어|{{{#373a3c,#ddd '''투르크멘어'''}}}]] ||şa, patyşa, korol || || [[투바어|{{{#373a3c,#ddd '''투바어'''}}}]] ||хаан(xaan) || || [[티그리냐어|{{{#373a3c,#ddd '''티그리냐어'''}}}]] ||ንጉሥ(nəguś) || ||<|2> [[티베트어|{{{#373a3c,#ddd '''티베트어'''}}}]] ||རྒྱལ་པོ(rgyal po) || ||འབྲུག་རྒྱལ་པོ(드루크걀포)([[종카어]]) || || [[파슈토어|{{{#373a3c,#ddd '''파슈토어'''}}}]] ||[[술탄|سلطان(sultan, 술탄)]], شاه(šāh), پادشا(pādšã) || || [[이탈리아어파|{{{#373a3c,#ddd '''팔리스크어'''}}}]] ||rex || || [[팔리어|{{{#373a3c,#ddd '''팔리어'''}}}]] ||भूपालो(bhūpālo) || || [[펀자브어|{{{#373a3c,#ddd '''펀자브어'''}}}]] ||[[군주의 칭호|ਰਾਜਾ(rājā, 라자)]] || || [[페니키아어|{{{#373a3c,#ddd '''페니키아어'''}}}]] ||𐤀𐤃𐤍(ʾdn), 𐤌𐤋𐤊(mlk, 말리크) || || [[페로어|{{{#373a3c,#ddd '''페로어'''}}}]] ||kongur || || [[폴란드어|{{{#373a3c,#ddd '''폴란드어'''}}}]] ||król || ||<|3> [[프리지아어|{{{#373a3c,#ddd '''프리지아어'''}}}]] ||kening(서프리지아어) || ||köning(북프리지아어) || ||Köönich(자터란트 프리지아어) || || [[피지어|{{{#373a3c,#ddd '''피지어'''}}}]] ||tui || || [[필리핀어|{{{#373a3c,#ddd '''필리핀어'''}}}]] ||datu(다투) || || [[하와이어|{{{#373a3c,#ddd '''하와이어'''}}}]] ||aliʻi, mōʻī || || [[하우사어|{{{#373a3c,#ddd '''하우사어'''}}}]] ||sarki || || [[하티|{{{#373a3c,#ddd '''하티어'''}}}]] ||[[https://en.wikipedia.org/wiki/Hattic_language|katte]] || || [[헝가리어|{{{#373a3c,#ddd '''헝가리어'''}}}]] ||király || || [[서게르만어군|{{{#373a3c,#ddd '''훈스리크어'''}}}]] ||Keenich || || [[힌디어|{{{#373a3c,#ddd '''힌디어'''}}}]] ||[[군주의 칭호|राजा(라자, rājā)]], बादशाह(bādśāh), पादशाह(pādśāh), [[술탄|सुलतान(sultān, 술탄), सुल्तान(sultān, 술탄)]], शाह(śāh), भूपति(bhūpti), केसरी(kesrī), मलिक(malik), पातशाह(pātśāh) ||}}}}}}}}} || 자세한 내용은 [[군주의 칭호]] 문서로. == 관련 문서 == * [[곤룡포]] * [[공주]] * [[군주]] * [[군주의 칭호]] * [[군주제]] * [[궁전]] * [[LA 킹스|로스엔젤레스 킹스]][* [[NHL]]의 팀.] * [[대관식]] * [[대군주]] * [[대왕]] * [[대한제국 황실 복원론]] * [[레갈리아]] * [[명군]] * [[번국]] * [[부왕]] * [[사천왕]] * [[상급왕]] * [[새크라멘토 킹스]][* [[NBA]]의 팀.] * [[성군]] * [[암군]] * [[양위]] * [[어명]] * [[어진]] * [[여왕]] * [[역성혁명]] * [[옥새]] * [[옥좌]] * [[왕관]] * [[왕권]] * [[왕권신수설]] * [[왕국]] * [[왕녀]] * [[왕당파]] * [[왕들의 취미]] * [[왕릉]] * [[왕비]] * [[왕실]] * [[왕위 계승의 법칙]] * [[왕위 요구자]] * [[왕자]] * [[왕정복고]] * [[왕조]] * [[왕조국가]] * [[왕족]] * [[외왕내제]] * [[입헌군주제]] * [[전륜성왕]] * [[전제군주제]] * [[전하(호칭)]] * [[정복왕]] * [[제왕]] * [[제왕학]] * [[제후]] * [[찬탈]] * [[창업군주]] * [[천왕]] * [[천자]] * [[천조]] * [[태왕]] * [[태자]] * [[패왕]] * [[폐하]] * [[폭군]] * [[황제]] [[분류: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