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합중국 공군]][[분류:항공자위대]][[분류:군사기지]][[분류:주일미군]] [include(틀:일본의 공항)] [include(틀:주일미군의 군사기지)] ||<-2> {{{+1 {{{#fff '''요코타 공군기지'''}}}}}}'''[br]'''{{{#fff '''横田飛行場 / 横田基地'''}}}'''[br]'''{{{#fff '''United States Air Force'''}}}'''[br]'''{{{#fff '''Yokota Air Bas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n-aerial-view-of-yokota-air-base-japan-578cc0-1600.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Yokota Air Base, 너비=100%, 높이=100%)]}}} || || '''{{{#fff 위치}}}''' || [[일본]] [[도쿄도]] [[훗사시]] || || '''{{{#fff 주소}}}''' || 96328 Yokota Air Base, AP[* 미국 정부 행정상의 주소이고 일본 내 주소는 도쿄도 훗사시 197-0001] || || '''{{{#fff 주둔부대}}}''' || [[주일미군]] 사령부 [br] [[미합중국 공군|미 제5공군]] [br] [[유엔군사령부]]^^(후방)^^ [br] [[항공자위대|일본 항공자위대]] [[항공총대]] || || '''{{{#fff 홈페이지}}}''' || [[https://www.yokota.af.mil/|요코타 공군기지 공식 홈페이지]] || ||<-2> '''{{{#fff 공항코드}}}''' || || [[IATA]] || '''OKO''' || || [[ICAO]] || '''RJTY''' || ||<-2> '''{{{#white 소유기관}}}''' || ||<-2> [[미합중국 공군]] || ||<-2> '''{{{#white 운영기관}}}''' || ||<-2> [[미합중국 공군]] || ||<-2> [[항공자위대]] || [목차] [clearfix] == 개요 == 주일미군과 일본 [[항공자위대]]의 연합기지. [[미 공군]]이 소유하고 양국 군이 공동으로 사용한다. 한국의 [[오산 공군기지]]와 비슷하지만 오산기지보다 규모와 전력 면에서 훨씬 더 크다. [[유엔군사령부|유엔군]], [[주일미군]] 사령부와 [[항공총대]] 역시 이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만이나 한반도 유사시 전개할 수 있는 항공전력의 총본산이 모여있는 인도-태평양 주둔 미군의 중심지이다. == 역사 == 요코타 공군기지는 [[일본 제국]]시절인 1940년 3월에 지어져, 당시에는 다마 기지라고 명명되어 [[일본제국 육군]] 항공대의 비행장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태평양 전쟁]] 종전까지, 이곳은 일본제국군의 마지막 항전의 중심지였다. 이후 일본 제국이 패망하고, [[미군]]이 일본 본토를 점령하자, 이 비행장은 "요코타 공군기지"로 비행장 명칭이 변경되고 미 공군의 기지로 탈바꿈하였다. [[6.25 전쟁]]때 미 공군의 전초기지로서, [[북한군]]의 남하를 저지하는데 맹활약을 했다. 전쟁 이후에도 미군이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는 [[주일미군]]과 일본 [[항공자위대]]가 공동 주둔하고 있다. 오늘날에는 중국,북한,러시아의 도발을 억제하고 인도-태평양 미군의 중심지의 역할을 하고 있다. == 제원 == == 운항 노선 == || '''항공사''' || '''편명''' || '''취항지''' || || 패트리어트 익스프레스 (미 군용)[* [[주일미군]] 및 [[주한미군]] 장병 수송용] || PE ||[[시애틀 타코마 국제공항|시애틀(타코마)]], [[오산 공군기지|평택(오산)]] || == 기타 == * 일본 통행방식과 동일하게 기지 내부 도로도 [[좌측통행]] 방식이다. * [[미국 대통령]]이 방일할 때 [[에어 포스 원]]이 이곳에서 이착륙한다. 따라서, 미국 대통령이 일본 땅을 밟을 때 처음 들르는 기지이다. * [[오산 공군기지]]에서 기지 공개 행사인 [[오산 에어파워데이]]를 여는 것처럼 매년 9월 요코타 AB 프렌드쉽 페스티벌(Yokota AB Friendship Festival)을 개최한다. 도쿄에 가깝고, 기지의 규모도 규모인 만큼 13만 명 이상의 인파가 몰리는 대규모 행사이며, 아시아 지역에 배치되는 미군의 최신 군용기들과 중대형 지원기들이 대거 전시된다. [[코로나 바이러스]] 유행으로 인해 2019년도부터 2021년도까지의 행사는 취소되었고, 2022년부터 재개되었다. 2022년의 행사는 5월 21-22일에 열렸는데 마침 [[조 바이든]] 대통령의 방일이 겹치면서 방문객들은 [[에어포스 원]]의 착륙을 대낮에 직관하는 흔치않은 행운을 누렸다. [[https://twitter.com/kouta_nunsama/status/1528287702877376513|#]] [[https://twitter.com/ih1681/status/1528290139587637248|#]] * 2017년 6월 1일, 요코타 기지에 [[대한민국 공군]]의 KF-16D 6기가 긴급착륙하여 24시간 동안 체재하였다. 당시 6월 12~23일로 예정되어 있었던 [[레드플래그]] 훈련 참가를 위하여 미국 알래스카 아일슨 공군기지로 향하던 한국 공군 KF-16D 6기와 동행하던 주한 미공군 F-16은, 알래스카까지 급유지원 중이던 미 공군 [[KC-135]] 공중급유기에 문제가 발생하여 요코타 기지에 비상착륙 후, KC-135의 정비가 끝날 때까지 대기하였다. 이 사건은 대한민국 공군이 한일 역사상 최초로 일본 영공에 진입하여 일본에 체재한 사건이다. [[https://youtu.be/zUe7-BzjE4E|#]] 여담으로, 한국 공군 KF-16D의 이륙 장면을 기지 인근 거주 일본인이 촬영한 동영상이 유튜브에 업로드되어 있다. [[https://youtu.be/37flDocFcm8|#]] * 2018년 10월 16일, 요코타 기지를 포함한 일본내 모든 [[주일미군]]기지의 출입 제한 강화 대상 50개국을 발표했는데, [[북한]], [[중국]], [[러시아]]를 비롯해서 '''동맹국인 [[한국]]도 포함되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10402758|#]] 이전까지는 한국인은 [[주한미군]] 기지와 마찬가지로, 기지내 에스코트할 사람만 있으면 여권만 소지한 채 기지에 출입할 수 있었지만, 이후부터는 기지 출입이 제한되고, 기지에 출입하려면 1달전 신청과 지휘관 승인이 필요해졌다.[* 반면 일본인은 [[오산공군기지]] 등 주한미군 기지 출입에 제한이 없다.] 이는 한국을 북한, 중국, 러시아와 같은 적성국과 동급으로 취급하는 것으로, 한미동맹의 균열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문을 낳았고, [[자유한국당]] 의원은 "미국도 우리나라를 못믿겠다는 것을 의미가 아니냐"고 질타하기도 했다. 하지만 [[프랑스]] 또한 출입제한국가에 포함되어 출입 제한의 배경은 알기 어렵다. 이후 [[주일한국대사관]] 국정감사에서 [[이수훈]] 주일대사는 확인결과 주일미군측이 한국을 출입제한 국가에 포함시킨 것은 착오에 의한 실수였으며, 지금은 출입이 정상화되었다고 밝혔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10410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