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나지방의 던전)] ||<-4><:> {{{+3 {{{#fff '''용나선탑'''}}} }}} [br] {{{#fff '''リュウラセンの塔''' ''Dragonspiral Tower''}}}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blog-imgs-44-origin.fc2.com/20101128_01bw01.jpg|width=100%]]}}} || ||<#999999><-4> '''지도 설명''' || ||<-4> ''언제 누가 지었는지 모르는 하나에서 제일 오래된 탑'' || ||<#999999><-4> '''인접 지역''' || ||<#dcdcdc,#333> 남쪽 ↓ ||<-3> [[설화시티]] || ||<#999999><-4> '''BGM''' || ||<-4><:>{{{#!HTML}}}|| ||<|2><-2> '''블랙·화이트·블랙 2·화이트 2''' || 작곡가 || 편곡가 || || [[카게야마 쇼타]] || [[카게야마 쇼타]] || ||<-4><:>{{{#!HTML}}}|| ||<|2><-2> '''블랙·화이트·블랙 2·화이트 2[br]{{{-2 (최상부)}}}''' || 작곡가 || 편곡가 || || [[카게야마 쇼타]] || [[카게야마 쇼타]] || [목차] [clearfix] == 개요 == [[설화시티]] 북쪽에 있는 하나지방에서 가장 오래 되었다는 수수께끼의 건축물. 수천년 전 [[레시라무]]와 [[제크로무]]가 오랜 전쟁 후 봉인되었던 장소라고 한다. == BW == 스토리 중 필수적으로 들르게 되는 장소로 주인공은 플라스마단 조무래기들을 물리치며 탑을 올라가 이 탑의 정상에서 [[플라스마단]]의 왕인 [[N(포켓몬스터)|N]]이 두 드래곤 중 하나를 각성시키는 장면을 보게 된다. 참고로 [[N의 성]]에서 버전 마스코트를 잡지 못할 경우, 즉 포켓몬을 해당 시점에서 '''726(30×24+6)마리'''나 잡는 노가다에 성공했을 시[* 박스와 엔트리 멤버가 가득 차므로 더이상 잡을 수 없다.] 엔딩을 본 후 여기서 못 잡은 마스코트와의 재조우가 가능하다.[* 물론 이런 짓까지 하는 이유는 '''[[개체치]] [[노가다]]''' 때문이다. 그러나 스토리 도중에 잡고, N에게 한번 지는걸로 개체치 노가다를 하는것이 더 편할 가능성이 크며, 유감스럽게도 이로치 노가다는 불가능하다. BW,BW2에서는 이로치가이 루틴이 적용되어 있어서 색이 다른 레시라무, 제크로무를 잡을 수 없다. 이는 후속작인 ORAS에서 해금되었다.] --즉 저 위의 사진은 726마리를 잡고 찍은 사진이다..-- [[타워오브해븐]], [[자이언트홀]]과 BGM을 공유한다. 최상부에서 쓰이는 BGM은 긴장감이 넘친다. == B2W2 ==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2|BW2]]에선 [[큐레무]]를 잡은 뒤 엔딩 후의 [[N의 성]]에서 N과 대결하고 나면 여기서 N이 가지고 있었던 드래곤[* N은 블랙/화이트에서나 블랙/화이트2에서나 버전과 같은 색의 드래곤을 가지고 있는데, 여기선 블랙이면 제크로무, 화이트면 레시라무를 잡을 수 있다.]을 잡을 수 있다. 가는 길에 주누운박사로부터 용나선탑과 관련된 얘기를 듣고 --지루한 얘기를 해서 미안하다며-- 숲의 양갱을 하나 받을 수 있다. 엔딩 후에나 들를 수 있는데다가 고정 형식이기 때문에 전작과 달리 편하게 개체 노가다가 가능하다. 또한 중간에 [[전설의 포켓몬#s-5.4|4세대 전설]]들의 전용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다. 전작에 있던 최상층 브금이 없어졌다. == 지도 == || [[파일:external/www2.koro-pokemon.com/map-ryuu-rasen-no-tou.png]] || || 용나선탑 지도 || [[분류:포켓몬스터/지역/하나지방]] == 출현 포켓몬 == 입구와 외곽 풀숲의 출현 포켓몬은 동일하나, 입구의 짙은 풀숲은 겨울에만 진입할 수 있고 외곽 풀숲에 가려면 파도타기가 필요하다. BW 한정으로 외곽 짙은 풀숲 구역에 있는 엘리트 트레이너에게서 전툴라를 엔딩 전에 도감에 등록할 수 있다. 탑 내부는 2층까지만 야생 포켓몬이 출현하며, 2층에서는 골비람(BW)/골루그(BW2)만 출현한다. ||<-5> {{{#ffffff '''풀숲''' }}} ||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520.png]] [br] [[켄호로우|유토브]]^^{{{-1 봄·여름·가을}}}^^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582.png]] [br] [[바닐프티]]^^BW, 겨울^^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583.png]] [br] [[바닐리치]]^^BW2, 겨울^^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585.png]] [br] [[사철록]]^^BW^^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586.png]] [br] [[바라철록]]^^BW2^^ ||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613.png]] [br] [[코고미]]^^BW^^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614.png]] [br] [[툰베어]]^^BW2^^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619.png]] [br] [[비조푸]]^^BW^^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620.png]] [br] [[비조도]]^^BW2^^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621.png]] [br] [[크리만]]^^{{{-1 봄·여름·가을}}}^^ || ||<-5> {{{#ffffff '''짙은 풀숲''' }}} ||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520.png]] [br] [[켄호로우|유토브]]^^{{{-1 봄·여름·가을}}}^^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583.png]] [br] [[바닐리치]]^^겨울^^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586.png]] [br] [[바라철록]]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614.png]] [br] [[툰베어]]^^겨울^^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619.png]] [br] [[비조푸]]^^BW^^ ||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620.png]] [br] [[비조도]]^^BW2^^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621.png]] [br] [[크리만]]^^{{{-1 BW 한정 봄·여름·가을}}}^^ || ||<-5> {{{#ffffff '''흔들리는 풀숲''' }}} ||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521.png]] [br] [[켄호로우]]^^{{{-1 봄·여름·가을}}}^^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531.png]] [br] [[다부니]]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584.png]] [br] [[배바닐라]]^^BW2, 겨울^^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587.png]] [br] [[에몽가]] || ||<-5> {{{#ffffff '''탑 내부''' }}} ||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619.png]] [br] [[비조푸]]^^BW^^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620.png]] [br] [[비조도]]^^BW2^^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621.png]] [br] [[크리만]]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622.png]] [br] [[골비람]]^^BW^^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623.png]] [br] [[골루그]]^^BW2^^ || ||<-4> {{{#ffffff '''파도타기''' }}} || ||<-4>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550.png]] [br] [[배쓰나이]] || ||<-4> {{{#ffffff '''수면의 그림자''' }}} || ||<-4>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550.png]] [br] [[배쓰나이]] || ||<-4> {{{#ffffff '''대단한 낚싯대''' }}} || ||<-2>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47.png]] [br] [[미뇽]] ||<-2>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550.png]] [br] [[배쓰나이]] || ||<-4> {{{#ffffff '''대단한 낚싯대 (수면의 그림자)''' }}} ||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47.png]] [br] [[미뇽]]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48.png]] [br] [[신뇽]]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49.png]] [br] [[망나뇽]]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550.png]] [br] [[배쓰나이]] || ||<-2> {{{#ffffff '''심볼 인카운터''' }}}[* 블랙·화이트 버전은 상술했듯 모든 박스와 엔트리가 다 차서 N의 성에서 포획하지 못했을 경우 한정으로 엔딩 후에 만날 수 있고, 레벨은 N의 성에서와 동일하게 50이다. BW2는 레벨 70.] ||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643.png]] [br] [[레시라무]]^^B·W2^^ ||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644.png]] [br] [[제크로무]]^^W·B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