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분류:낮춤말 도서]][[분류:2019년 도서]]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f6593, #2198c7 60%, #b62c72)" {{{#fff,#dddddd '''{{{+1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br]김초엽 소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표지.jpg|width=100%]]}}} || || '''장르''' ||[[SF]] || || '''작가''' ||[[김초엽]] || || '''출판사''' ||허블 || || '''발매일''' ||2019. 06. 24. || || '''쪽수''' ||330 || || '''ISBN''' ||9791190090018 || [목차] [clearfix] == 개요 == [[김초엽]]의 SF 소설집이자 대표작. [[2019년]], [[서울국제도서전]]을 통해 최초 공개된 이후, [[2019년]] [[6월 24일]] 일반 출간되었다. 출판사는 한국과학문학상 작품집을 출간하는 SF 소설 브랜드 허블. 제2회 [[한국과학문학상]] 가작을 수상한 동명의 단편을 표제작으로 삼았으며, 이와 같은 상 대상을 수상한 〈관내분실〉을 포함해 7편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다. [[2020년]], 누적 10만부가 넘게 판매되면서 창작SF 베스트셀러 자리에 등극했다. == 차례 == 1.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 (7~55p.) 1. [[스펙트럼(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스펙트럼]] (57~96p.) 1. [[공생가설]] (97~143p.) 1.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145~188p.) 1. [[감정의 물성]] (189~218p.) 1. 관내분실 (219~271p.) 1. 나의 우주 영웅에 관하여 (273~319p.) == 여담 == * [[2020년]] [[4월 20일]], [[데이비드 호크니]]의 작품을 표지로 사용한 호크니 리커버 에디션을 알라딘에서 단독으로 한정 출간하였으며, [[9월]]까지 판매되었다. * 책의 표지가 예쁘다. 표지의 제목은 코팅 처리가 되어 있어 빛이 비친다. 풍경을 보았을 때, 초승달처럼 보이는 것과 다른 항성이 같이 보이기 때문에 배경이 지구가 아니라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실제로 7개의 이야기들 중 완전히 지구에서 일어난 이야기는 '[[감정의 물성]]'과 '관내분실' 정도밖에 없다. 후술하겠지만,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는 외계 행성이 주 배경이며, '[[스펙트럼(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스펙트럼]]' 역시 지구가 아닌 행성이 주 배경이다. '[[공생가설]]'은 주 배경은 지구지만 포인트는 '[[류드밀라의 행성]]'이고,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은 주 배경이 우주 정거장이다. '나의 우주 영웅에 관하여' 역시 지구인들이 우주 저편으로 가는 것이 목표이며 전해주는 이야기는 지구와는 거리가 멀다.] * 장르는 SF지만, 사실 철학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면도 있기에 우스갯소리로 '''"과학적인 철학 소설"'''이라고 한다. (...)[* 근데 사실 이 소설이 아니어도 SF가 원체 철학적인 내용을 많이 다룬다.] * 2020.09.17 12시에 공개된 [[혁오]]의 2집 '[[사랑으로(음반)|사랑으로]]'의 트랙 3번 'Silverhair Express'를 [[장기하]]와 리믹스한 곡에서 해당 소설 일부가 내레이션으로 사용되었다. * 외국어로도 번역되었으며, 일본에서는 이 단편집에 수록된 두 작품이 SF 문학상인 [[성운상]] 후보에 올라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