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광주광역시 북구 우산동, rd1=우산동(광주광역시 북구))]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강원도 원주시 우산동, rd1=우산동(원주))] [include(틀:광산구의 법정동)] ||<-2> '''[[광산구|{{{#000000,#dddddd 광산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우산동}}}'''[br]牛山洞 | Usan-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광산구 우산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광주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광산구 || || '''행정표준코드''' || 2920010900 || || '''관할 행정동''' || 신흥동, 우산동 || || '''면적''' || 4.55㎢ || [목차][clearfix] == 개요 ==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있는 [[동(행정구역)|동]]. 관할 법정동은 우산동(일부)이다. [[무진대로]] 양옆으로 금융기관과 공기업들이 밀집되어있다. 금융가인 [[금남로]]일대와 여러 기업들이 밀집한 [[상무지구]]와 비슷한 구성을 보이고있고, [[이마트 광산점]]과 [[메가박스]]가 있는 콜롬버스월드, [[롯데시네마]]가 입점한 오렌지파크 같은 대형상업시설도 자리잡고 있다. == 상세 == [[송정동(광산구)|송정동]]와 [[첨단지구]] 사이에 있는, 나름 광산구의 중심지이다. [[금남로]]를 중심으로 거의 100%에 가깝게 밀집되었던 당시 광주의 금융, 공공 기능을 광산구로 분산하기 위해 80년대 말 계획되어 90년대 초반 ‘하남지구’라는 이름으로 조성된 택지지구이다. 때문에 무진대로를 중심으로 주요 공기업 지사급 건물이 밀집 해 있고 [[광산구청]]도 이 곳으로 이전하려다가 무산되기도 했다.[* 그 예정부지에는 현재 [[이마트 광산점]]이 들어섰다.] 상업적인 기능 역시 갖췄는데, 다양한 음식점, 주점들이 즐비해있고 송정리에도 없는 영화관이 2곳이나 있을 정도. 가장 특징적인 것은 [[모텔]] 같은 숙박시설이 광주에서 가장 많은 곳이다. --광주 대실의 메카-- 하지만 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에 걸쳐 조성되어 [[광주광역시청]]이 이전한 신도심 [[상무지구]]가 급부상하면서 공공기관이나 기업들이 그쪽으로 몰렸고, 하남지구는 이도저도 아닌 동네로 전락해버렸다. '''왕복 8차선, 총합 16차선짜리 초초초 광폭도로'''인 [[무진대로]]가 우산동의 가운데를 관통하고 있는데, 완전 개통되기 전까지는 크고 아름다운 이 도로를 ‘80m 광로’라고 불렀으며 이 도로를 경계로 우산동의 생활권은 남북으로 분리되어 있었다. 우선 전화국번부터 미묘하게 다른데, 남쪽은 송정의 94×번을, 북쪽은 하남의 95×번을 사용한다. 1992년까지 북쪽 우산동은 서광주전화국의 36×번을 사용했으며,[* 사실 이는 지금 95×, 96×, 97× 쓰는 지역 모두 해당된다.] 이곳의 국딩들은 이 지역에 국민학교가 없어 길건너 하남으로 국민학교를 다녔다. 현재 북쪽 우산동의 유일한 초등학교인 어등초등학교는 1998년까지 '''하남'''남초등학교로 불렸다. 그러나 중학교 학군은 남/북우산동 관계없이 모두 월곡동과 함께 묶여있고, 무진대로에 지하도가 생기면서[* 사실 80m 광로가 생길때 같이 만들었던 지하도였으나 근 10년 넘게 폐쇄되어있었다.] 두 지역이 예전만큼 생활권이 크게 분리된 것은 아니다. 오히려 아리랑고개와 말미산, 금봉산(송정공원 뒷산)으로 막힌 송정권과의 생활권 차이가 더 큰 편. 그러나 우산동에 위치한 단위농협 지점들은 여전히 '''송정'''농협 소속. 어쨌든 우산동 자체는 舊 [[송정시]] 지역 중 유일하게 하남 생활권으로 분류된다. 우산동 주민센터 옆에 우산생활건강센터가 위치해 있으며 舊 우산동 주민센터 부근에 광주광역시 상수도본부 광산사업소가 위치해 있다. 패스트푸드 매장은 광주광역시 전체에 3개밖에 없는 [[파파이스]] 매장이 이곳에 하나 있었으나 사라지고 [[뉴욕버거]]로 바뀌었다. 또 옆동네 산정동에 [[맥도날드]]도 생겼다. 2020년에는 센트레빌 아파트 상가에 [[써브웨이]]와 콜롬버스월드[* 메가박스 광주하남이 있는 건물]에 [[버거킹]] 광주하남점이 생겼다. 오랫동안 문을 열지 않았던 오렌지파크[* 송우초등학교 바로 건너편이다.]에 한 층을 통째로 쓰는 광주 최대규모의 키즈카페가 생겨서 (초등학생도 이용 가능) 광주지역 어린이들이 비 올 때 많이 놀러왔으나, 코로나19사태로 영업 손실이 커 2021년 폐업했다. 이후 해당층은 비어있었으나 2022년 7월에 대형 키즈놀이터가 다시 생겨서 영업중이다. 해당 건물에 요양병원, 빵집도 영업중이다. 여담으로 [[북구(광주)|북구]] 우산동과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광산구#s-11|항목]] 참조. == 관할 행정동 == === 우산동 === ||<-2> '''[[광산구|{{{#000000,#dddddd 광산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우산동}}}'''[br]牛山洞 | Usan-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광산구 우산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광주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광산구 || || '''행정표준코드''' || 3630026 || || '''관할 법정동''' || 우산동 || || '''하위 행정구역''' || 59통 290반 || || '''면적''' || 4.56㎢ || || '''인구''' || 29,503명[* 2023년 4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6,469.96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광산구 갑'''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용빈]] ,,(초선),, || ||<-2> '''광주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정무창]] ,,(재선),, || ||<-2> '''광산구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공병철 ,,(재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명수(1956)|김명수]] ,,(3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윤혜영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무진대로 246-12[* 우산동 1601-7] || || [[https://www.gwangsan.go.kr/co/contentsView.php?pageID=gwangsan0706010100|우산동 행정복지센터]] || [clearfix] == 주요 시설 == === 업무 === * [[NH농협은행]] 광주영업부 * [[안전보건공단]] 광주지역본부 * [[SK텔레콤]] * [[LG유플러스]] * [[KB국민은행]] 광산종합금융센터 * [[KDB산업은행]] 광주지점 * [[국민연금공단]] 광주지역본부 * [[하나은행]] 광산지점 * [[신한은행]] 광산금융센터 * [[IBK기업은행]] 광산지점 * [[대창운수|대창석유]] * [[한국농어촌공사]] 전남지역본부 * [[한국환경공단]] 호남권지역본부 * [[KT&G]] 서광주지점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광주지원 * [[SK브로드밴드]] 광주광산고객센터 * 광산구시설관리공단 === 관공서 === * [[우체국|광주광산우체국]] === 상업시설 === * [[이마트 광산점]] * [[롯데시네마]] 광주광산 * [[메가박스]] 광주하남 === 교육 === ==== 초등학교 ==== * 어등초등학교 * 송우초등학교 ==== 중학교 ==== * [[광산중학교]] ==== 고등학교 ==== * [[광주자동화설비공업고등학교]] === 주거 === * 국제건설- 우산동 국제미소래 - 2017년 5월 입주 * [[대광건영]] - 우산 대광로제비앙 - 2006년 11월 입주 * 대덕건설 - 대덕2차아파트 - 1991년 3월 입주 * [[동부건설]] - 우산동 동부센트레빌 - 2019년 12월 입주 * 동산주택건설 - 동산아파트 - 1991년 12월 입주 * [[쌍용건설]] - [[쌍용 더 플래티넘 광산]] - 2020년 12월 입주 * [[우미건설]] - 우산 우미아파트 - 1992년 3월 입주 * [[제일건설]] - 하남 제일파크맨션 - 1992년 3월 입주 * [[중흥건설]] - 우산동 중흥S-클래스 리버티 - 2015년 7월 입주 * [[중흥건설]] - 세계수영선수촌 중흥S-클래스 센트럴 - 2020년 3월 입주 * [[진아리채|진아건설]] - 무진로 진아리채 리버뷰 - 2022년 2월 입주예정 * [[한국건설]] / 중해건설 - 한국아델리움 중해마루힐 - 2018년 3월 입주 * [[한국토지주택공사]] - 하남1차 주공아파트 - 1990년 12월 입주 * [[한국토지주택공사]] - 하남2차 주공아파트 - 1991년 11월 입주 * [[한국토지주택공사]] - 광주하남 LH 천년나무 - 2019년 1월 입주 * [[한국토지주택공사]] - 광주우산 LH 1단지 - 2019년 10월 입주 * 광주도시공사 / 광주고속 - 리버힐아파트 - 1992년 9월 입주 * 광주도시공사 / 대주건설 - 우산빛여울채아파트 - 1992년 10월 입주 * 광주도시공사 / 삼능건설 - 어등하이빌아파트 - 1992년 11월 입주 === 기타 === * 우산빛여울채 커뮤니티센터[* [[2023년]] 8월에 광산구 청년을 대상으로 챗GPT와 부동산 강연을 했다.] == 교통 == === 버스 === ==== 간선 ==== * [[광주 버스 봉선37|봉선37]] * [[광주 버스 송정98|송정98]] ==== 지선 ==== * [[광주 버스 첨단20|첨단20]] * [[광주 버스 송정33|송정33]] * [[광주 버스 진곡196|진곡196]] * [[광주 버스 임곡290|임곡290]] == 역사 == 1937. 전라남도 광산군 송정읍 우산리 1986. 11. 1. 전라남도 송정시 우산동 1988. 1. 1. 광주직할시 광산구 우산동 1995. 1. 1. 광주광역시 광산구 우산동 [[분류:광산구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