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우크라이나 육군]] [include(틀:세계의 육군)] [include(틀:우크라이나군)] ||<-2> {{{#FFFF00 {{{+2 '''우크라이나 육군'''}}}[br]'''Сухопутні війська Збройних сил України[br]Ukrainian Ground Forces''' }}} || ||<-2> [[파일:우크라이나 육군 엠블럼.svg|width=200]] || ||<-2> {{{#FFFF00 '''우크라이나 육군 엠블럼'''}}} || ||<-2> [[파일:우크라이나 육군기.svg|width=300]] || ||<-2> {{{#FFFF00 '''우크라이나 육군기''' }}} || ||<-2> '''우크라이나를 위하여! 그 자유를 위하여!'''[br]< '''За Україну! За її волю!''' > || ||<-2> {{{#FFFF00 '''모토''' }}} || || {{{#FFFF00 '''창설년도''' }}} ||[[1917년]]~[[1922년]][br][[1991년]] [[12월 12일]]~현재 || || {{{#FFFF00 '''기념일''' }}} ||[[12월 12일]], [[10월 1일]] || || {{{#FFFF00 '''국가''' }}}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 || {{{#FFFF00 '''명령체계''' }}} ||우크라이나 국방부 || || {{{#FFFF00 '''주임무''' }}} ||지상전, 국토방위 || || {{{#FFFF00 '''소속''' }}} ||[[파일:우크라이나군기.svg|width=30]] [[우크라이나군]] || || {{{#FFFF00 '''예하조직''' }}} ||서부작전사령부, 북부작전사령부[br]동부작전사령부, 남부작전사령부 || || {{{#FFFF00 '''군종''' }}} ||[[육군]] || || {{{#FFFF00 '''전력''' }}} ||125,600명(2022년) || || {{{#FFFF00 '''본부'''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30]] [[우크라이나]] [[키이우]] || || {{{#FFFF00 '''색상''' }}} ||노란색, 라즈베리색 || || {{{#FFFF00 '''전신'''}}}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30]] [[우크라이나 인민군|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육군]](표방, 명목상)[br][[파일:소련 국기.svg|width=30]] [[소비에트 연방]] [[파일:800px_Soviet Army-Communist_star_with_golden_border_and_red_rims.png|width=30]][[소련 육군|소비에트 육군]](사실상) || || {{{#FFFF00 '''참전''' }}} ||[[유고슬라비아 전쟁]][br]우크라이나 평화유지군[[파일:aeHHJ4i-.jpg|width=30]][br][[이라크 전쟁]][br][[크림 위기]][br][[돈바스 전쟁]][br][[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 {{{#FFFF00 '''링크''' }}} ||[[https://www.youtube.com/@LandForcesOfUkrain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UALandForce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www.instagram.com/ukrainianlandforce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t.me/landforcesofukraine|[[파일:텔레그램 아이콘.svg|width=23]]]] || ||<-2> {{{#FFFF00 '''지휘''' }}} || || {{{#FFFF00 '''총사령관''' }}} ||[[올렉산드르 시르스키]] 상장 || || {{{#FFFF00 '''참모장''' }}} ||이호르 도우간 중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 [youtube(MWE1qOiyYYk)] || || '''{{{#FFFF00 우크라이나 육군 모병광고 "The Ballad of the infantry"}}}''' || 우크라이나 육군은 현재 [[육방부|우크라이나군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크게 동서남북 네 개의 작전 사령부로 구성되어 있다. 2014년 돈바스 전쟁이 발발한 이후로 동부작전사령부는 사실상 전시 상태에 있었으며, 2022년 러시아 침공 이후 동부, 북부, 남부사령부가 직접 전쟁에 임하고 있다. 전쟁 초기인 3월 키이우 방어전에 성공한 후 북부 전선에서 러시아군이 철수하면서 이후 북부사령부 지원병력이 동부 및 남부사령부를 지원하면서 동부 및 남부사령부 중심으로 전투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 ==# 역사 #== 1991년 소련이 해체된 후, 우크라이나 공화국이 독립하면서 (재)창설되었다. 그러나 현 우크라이나 육군은 소비에트 연방(소련) 육군이 아닌 그 이전의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의 [[우크라이나 인민군]]을 전신으로 삼고 있다. 1991년 12월 6일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의회)는 군대창설을 선언하는 "우크라이나의 방위법률"과 "우크라이나의 군대법률"을 채택했고, 같은 날 콘스탄틴 모조로우 국방부장관이 승인하면서 공식 창설이 되었다. 우크라이나는 독립 선언 후 구소련군 2개 전차군이 출처인 3개 군단 예하 14개 사단을 인수해 자국 육군으로 재출범시켰다. 전력으로는 영토 내 78만명의 병력, 6,500대의 전차, 7,000대의 장갑차, 7,200문의 야포, 900기의 헬기, 2,500개의 전술핵탄두를 이어 받아 세계에서 군사력이 가장 강력한 국가 중 하나였다. 그러나 경제 위기로 인한 대대적인 군축으로 약해지고 말았고, 야누코비치 집권 시기를 지나면서 6만명 정도로 약체화되었다. 우크라이나군은 초기 창설 당시 키이우, 오데사, 카르파티아의 군사지구를 조직했다. 군사구역은 여러 주를 포함했고, 영토 이름을 따서 지었으며 작전과 동원, 군사행정업무를 수행하였다. 군사지구는 지상군사령부가 관할하며, 군사구역은 각 군대의 사령관이 관할하였다. 국방부장관은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임명하도록 하였다. 2005년까지 우크라이나 군사건설 국가프로그램의 진행에 따라 군사구역을 동부, 서부, 남부, 북부로 나뉘었다. 2010년 2개의 작전사령부와 1개의 영토사령부, 17개의 전투여단, 14대 개별전투연대 및 9개의 개별전투지원연대, 훈련센터, 기관이 창설되고 설립되었다. 기존의 사단 편제에서 여단 편제로 나뉘어진 것이다. 2013년 육군의 전력은 군인 57,000명, 전차 686대, 전투헬기 72기, 장갑차 2,065대 100mm 야포 716문 이상이었다. 2017년 5월 새로운 부대구성과 군사위원회 개편이 발표되었다. 2019년 숲, 늪지대에서의 전투를 전문적으로 하는 제 61엽병보병여단이 창설되었다. 국가 외교정책의 일환으로 군 규모에 비해 국제평화유지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1992년 유고슬라비아에서 전개된 평화유지작전에 최초로 참여했으며, 1994년에는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PfP)에 가입했다. 이후로도 우크라이나 정부는 세계 각국에서 벌어지는 평화유지 임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2022년 3월 11일, 파병중이던 6개 국가에서 308명의 인력과 [[Mi-8]] 헬기 8대를 모두 철수하겠다고 밝혔다. == 편제 == === 개요 === 우크라이나 육군은 소련 시절의 교리와 편제를 어느 정도 이어받았다. 우크라이나군의 주요 편제는 [[여단]]이며, 아래 편제 목록에 하술하듯 주둔지에 따라 동서남북의 작전사령부에 귀속된다. 전체로 보면 돈바스 전쟁이 한창이던 2016년 당시 어느정도 세력을 복구한 우크라이나 육군은 13개 기계화여단,2개 산악전투여단,2개 기갑여단,7개 로켓 및 포병여단으로 구성되었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군이 크게 확장되면서 현재는 공세를 위해 추가 창설한 여단만 18개 이상에 육박하는 등,급격한 팽창중이다. 우크라이나 육군의 중심인 [[기계화보병]]의 경우 [[분대]]가 9명으로 구성되고 제식 화기는 AK-74(아래 목록에 특별히 기재되지 않은 경우)이다. 아래는 분대의 구성이다. * 분대장 * 상임사수([[AK-74]]+[[GP-25]]) * 저격수([[드라구노프 저격소총|SVD]]) * 척탄병(AK-74+[[RPG-7]] 등 대전차화기), 보조 척탄병 * 기관총사수 2명([[칼라시니코프 경기관총|RPK-74]]×2 또는 [[칼라시니코프 기관총|PKM]]) * 차량 조종수([[AKS-74U]])와 포수 여기에 분대당 [[BMP]]나 [[BTR]] 계열의 [[병력수송장갑차|APC]] 차량 1대가 배정된다.[* 이것은 교리상일 뿐이지 우크라이나 국내에서 개발되는 차량과 해외에서의 군사 지원, 노획 등으로 무장, 차량에 많은 변동이 있다는 점을 (앞으로 서술할 내용에 대해서도) 참고하자.] 3개 분대에 소대장과 부소대장이 합쳐 한 기계화[[소대]]를 이루며 3개 소대와 중대장을 포함한 지휘부 병력(APC 1대, 8명)이 모여 한 [[중대(군대)|중대]]를 이룬다. 일부 중대는 BTR 차량의 부족한 대전차 능력을 보완하기 위해 [[9K115 메티스]] 대전차미사일을 운용하는 소대(APC 3대, 분대 인원이 포수와 조종수, 미사일 운용병 3명으로 5명이라 3×5+2=17명)가 합쳐져 4개 소대로 이루어진다. 이때 중대 내 APC는 최대 3×4+1=13대, 병력은 최대 29×3+17+8=112명이다. 기계화[[대대(군대)|대대]]는 3개의 중대에 여러 지원소대(박격포, 화력지원(중기관총, [[AGS-17]] 등), 대전차([[SPG-9]], [[9K111 파곳]] 등), 방공([[맨패즈]]), 정찰([[BMP-2]]), 공병, 보급, 신호, 의무병과 등)로 이루어지며, 3~5개의 (기계화 또는 차량화)보병대대와 전차대대, 포병단([[연대(군대)|연대]]), 대전차대대([[MT-12]]), 방공대대, 기타 지원 중대들, 여단 사령부가 모여 하나의 독립기계화[[여단]]을 이루게 된다. 이상 출처와 자세한 사항은 [[https://youtu.be/uCjY1xeL5qU|여기]]에서 볼 수 있다. 한편 전차부대의 경우 한 전차 소대는 4대의 전차로 이루어지며, 3개의 소대와 소대 지휘전자 1대가 모여 한 전차중대(전차 13대)가 된다. 3개의 중대와 대대 지휘전차 1대, 기타 지원소대(중대)가 모여 전차대대(전차 40대)가 되고, 전차대대 3개와 기계화보병대대, 포병연대, 방공대대, 기타 지원중대(대대), 여단 사령부로 하나의 전차여단이 만들어진다. 전차여단은 마찬가지로 작전사령부에 귀속된다.[[https://youtu.be/7_hf65lQf-k|#]]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러시아와의 전쟁]]으로 인하여 육군 순위가 대폭 상승하였다 전쟁 중에는 보통 떨어지는 게 정상인데 외부 세계의 적극적인 원조와 러시아의 졸전으로 인하여 오히려 올라간 케이스라고 봐도 되겠다. ===# 지상군사령부 직속부대 #=== * 제1004보안서비스대대 (MU А1937) - 키이우 * 대통령 직속 경비여단 '헤트만 보흐단 흐멜니츠키' (MU А0222) - 키이우 * 제148정보사령부 (MU А0189) - 키이우 * 제96정보센터 (MU А2571) - 벨리키 달니크, 오데사 주 (무선 방출 우주 물체 감시) * 제169이동수리기술기지 (MU А1405) - 키로보흐라드 주, 비소키 바이라키 마을 근처 카나토베 기차역 * 제3568방공기술미사일기지 (MU А4009) - 스타로코스탼티니우, 이바노프란키우스크 주 * 기타 부대 '''(지상군 미사일부대 및 포병부대)''' * 제19미사일/자포로지안여단 '스뱌타 바바라' (MU А4239) - 흐멜니츠키, 흐멜니츠키 주, 토치카-U 미사일 보유 * 제107로켓포병여단 (MU А1546) - 빌하 미사일 보유, 크레멘추크, 폴타바 주 * 제27로켓포병여단 '키쉬 오타만 페트로 칼니셰우스키' (MU А1476) - BM-27 우라간 보유, 수미, 수미 주 * 제43포병여단 '헤트만 타라스 트랴실로' (MU А3085) - 2S7 피온 자주포 보유, 키이우 주 피랴틴 근처의 디비츠키 페레야슬라우 마을 * 제15정찰로켓포병여단 (MU А1108) - BM-30 스메르치 보유, 드로호비치, 르비우 주 '''(지상군사령부 육군 항공국)''' * 제8육군항공사령부 (MU А1710) - 체르니히우, 체르니히우 주 * [[파일:제11육군항공여단 엠블럼.svg|width=100]] 제11육군항공여단 '헤르손' (MU А1604) - 헤르손, 헤르손 주 - Mi-24, Mi-8, Mi-2 헬리콥터 보유 * 제12육군항공여단 '헤네랄-마요르 빅토르 파울렌코' (MU А3913) - 노비 칼니우, 르비우 주 - Mi-24, Mi-26, Mi-8/9 헬리콥터 보유 * 제16육군항공여단 '브로디' (MU А2595) - 브로디, 르비우 주 - Mi-24, Mi-8, Mi-2 헬리콥터 보유 * 제18육군항공여단 '이호르 시코르스키' (MU А3384) - 폴타바, 폴타바 주 - Mi-24, Mi-8, Mi-2 헬리콥터 보유 * 제57항공기지 (MU А3595) - 브로디, 르비우 주 (육군 항공의 유지, 수리 및 공급) '''(영토방위군사령부)''' * TDFC의 정보통신 Nod - 키이우 * TDFC 직속 지원부대 ===# [[파일:서부작전사령부 엠블럼.svg|width=23]] 서부작전사령부 (리우네) #=== || 본부 ||리우네 || || 사령관 ||준장 세르히 리트비노우(Serhiy Litvinov, Літвінов Сергій Петрович) || * [[파일:제10산악강습여단 엠블럼.svg|width=100]][br]제10산악강습여단 “에델바이스” (MU A4267), 콜로미야, 이바노프란키우스크 주 * 여단 본부 및 본부 중대 * 제8독립산악대대 * 제108독립산악대대 * 제109독립산악대대 * 탱크대대 * 정찰대대 * 포병그룹 * 대공중대 * 지원 부서 * [[파일:제14기계화여단 엠블럼.svg|width=100]][br]제14기계화보병여단 '로만 벨리키' (MU A2331), 볼로디미르볼린스키, 볼린 주 * 여단 본부 및 본부 중대 * 탱크대대 * 제1차량화대대 * 제1기계화대대 * 제2기계화대대 * 제3기계화대대 * 포병그룹 * 정찰중대 * 대공중대 * 지원 부서 * [[파일:우크라이나24기계화부대마크.png]][br]제24기계화보병여단 '코롤 다닐로' (MU A0998), 야보리우, 르비우 주 * 여단 본부 및 본부 중대 * 제1기계화대대 * 제2기계화대대 * 제3기계화대대 * 탱크대대 * 여단 포병그룹 * 목표물 획득 포대 * 자주포대대 (2S3 Akatsiya) * 자주포대대 (2S1 Gvozdika) * 로켓 포병대대(BM-21 Grad) * 대전차포병대대(MT-12 Rapira) * 대공미사일포병대대 * 공병대대 * 정비대대 * 물류대대 * 정찰중대 * 저격중대 * 전자전중대 * 신호중대 * 레이더중대 * CBRN 방어중대 * 의무중대 * 군악대 * 제33기계화여단(MU A4447) * 제63기계화보병여단 (MU A3719), 스타로코스탼티니우, 흐멜니츠키 주 * 여단 본부 및 본부 중대 * 제1기계화대대 * 제2기계화대대 * 제3기계화대대 * 탱크대대 * 포병그룹 * 방공방어대대 * 정찰중대 * 공병대대 * 물류대대 * 신호중대 * 정비대대 * 레이더중대 * 의무중대 * 화생방중대 * 제65기계화보병여단 (MU A7013), 스타리치, 르비우 주 * 여단 본부 및 본부 중대 * 제1기계화대대 * 제2기계화대대 * 제3소총병대대 * 탱크대대 * 포병 그룹 * 연대 본부 및 표적획득포대 * 방공방어대대 * 정찰중대 * 전투 공병대대 * 물류대대 * 신호중대 * 정비대대 * 레이더중대 * 의무중대 * CBRN 방어중대 * [[제128산악돌격여단]] (기계화) '자카르파탸' (MU A1556), 무카체보, 자카르파탸 주 * 여단 본부 및 본부 중대 * 제15산악보병대대 * 제21기계화대대 * 제36기계화대대 * 제16전차대대 * 제17여단 포병단 * 여단 본부 및 목표물 획득포대 * 자주포대대(2S3 Akatsiya) * 자주포 대대(2S1 Gvozdika) * 로켓 포병대대(BM-21 Grad) * 대전차포병대대(MT-12 Rapira) * 제10대공미사일포병대대 * 제534공병대대 * 정비대대 * 물류대대 * 정찰중대 * 저격중대 * 전자전중대 * 신호중대 * 레이더중대 * CBRN 방어중대 * 의무중대 * 군악대 * [[파일:제44포병여단 엠블럼.svg|width=100]][br]제44포병여단 '다닐로 아포스톨' (MU A1428), 테르노필, 테르노필 주 * 여단 본부 및 본부 포대 * 제1곡사포포병대대(2A65 Msta-B) * 제2곡사포포병대대(2A36 Hyacinth-B) * 제3곡사포포병대대(2A36 Hyacinth-B) * 제4자주포대대 (2S7 피온) * 제5대전차포병대대(MT-12 Rapira) * 포병정찰대대 * 제6차량화보병대대 * 공병중대 * 정비중대 * 물류중대 * CBRN 방어소대 * 군악대 * 제39방공미사일연대, 볼로디미르볼린스키, 볼린 주 * 제703작전지원연대 (공병), 삼비르, 르비우 주 * 제130정찰대대, 두브노, 리우네 주 ====# 영토방위부대 (서부) #==== '''(볼린 주의 영토 방위 부대)''' * 제2소총대대 * 제100영토방위여단 (MU А7028) '''(리우네 주의 영토 방위 부대)''' * 제14소총대대 * 제104영토방위여단 '리우네' (MU А7032) '''(르비우 주의 영토 방위 부대)''' * 제10소총대대 * 제103영토방위여단 '르비우' (MU А7031) '''(테르노필 주의 영토 방위 부대)''' * 제16소총대대 * 제105영토방위여단 '테르노필' (MU А7033) '''(흐멜니츠키 주의 영토 방위 부대)''' * 제19소총대대 '''(자카르파탸 주의 영토 방위 부대)''' * 제5소총대대 * 제101영토방위여단 '자카르파탸' (MU А7029) '''(이바노프란키우스크 주의 영토 방위 부대)''' * 제7소총대대 * 제102영토방위여단 '이바노프란키우스크' (MU А7030) '''(체르니우치 주의 영토 방위 부대)''' * 제21소총병대대 * 제107영토방위여단 '체르니우치' (MU А7035) ===# [[파일:북부작전사령부 엠블럼.svg|width=23]] 북부작전사령부 (체르니히우) #=== || 본부 ||체르니히우 || || 사령관 ||준장 드미트로 크라실니코우(Dmytro Krasylnykov) || * 제1전차여단 '세베랴' (MU А1815), 혼차리우스케, 체르니히우 주 * 여단 본부 및 본부 중대 * 제1전차대대 * 제2전차대대 * 제3전차대대 * 여단 포병 그룹 * 본부 및 목표물 획득 포대 * 자주포대대(2S3 Akatsiya) * 자주포 대대(2S1 Gvozdika) * 로켓 포병대대(BM-21 Grad) * 대공미사일포병대대 * 공병대대 * 정비대대 * 물류대대 * 정찰중대 * 저격중대 * 전자전중대 * 신호중대 * 레이더중대 * CBRN 방어중대 * 의무중대 * [[파일:우크라이나제4전차여단깃발.png]][br]제4전차여단 (MU A7015), 혼차리우스케, 체르니히우 주 * 여단 본부 * 제1전차대대 * 제2전차대대 * 제3전차대대 * 제4전차대대 * 기계화대대 * 포병 그룹 * 방공방어대대 * 정찰중대 * 공병대대 * 물류대대 * 정비대대 * 신호중대 * 레이더중대 * 의무중대 * CBRN 방어중대 * 제12독립전차대대 (MU А0932), 혼차리우스케, 체르니히우 주 * 제11차량화보병여단(체르니히우 주) * [[파일:제30기계화여단 엠블럼.svg|width=100]][br]제30기계화여단 '크냐즈 콘스탄티 오스트로흐스키' (MU A0409), 노보흐라드볼린스키, 지토미르 주 * 여단 본부 및 본부 중대 * 제1기계화대대 * 제2기계화대대 * 제3기계화대대 * 탱크대대 * 여단 포병 그룹 * 본부 및 목표물 획득 포대 * 자주포대대(2S3 Akatsiya) * 자주포 대대(2S1 Gvozdika) * 로켓 포병대대(BM-21 Grad) * 대전차포병대대(MT-12 Rapira) * 대공미사일포병대대 * 공병대대 * 정비대대 * 물류대대 * 정찰중대 * 저격중대 * 전자전중대 * 신호중대 * 레이더중대 * CBRN 방어중대 * 의무중대 * 제31기계화여단(MU A4773) 지토미르 주 * 제32기계화여단(MU A4784) * 제47독립기계화여단(제47강습여단) (MU A4699), 키이우 주(연대에서 확충) * 여단 본부 및 본부 중대 * 제1기계화대대 * 제2기계화대대 * 제3기계화대대 * 탱크대대 * 포병 그룹 * 방공방어대대 * 정찰중대 * 공병대대 * 정비대대 * 물류대대 * 신호중대 * 레이더중대 * 의무중대 * CBRN 방어중대 * 제58차량화보병여단 '헤트만 이반 비호우스키' (MU А1376), 코노토프, 수미 주 * 여단 본부 및 본부 중대 * 제13차량화보병대대 "체르니히브-1" * 제15차량화보병대대 "수미" * 제16차량화보병대대 "폴타바" * 여단 포병 그룹 * 본부 및 목표물 획득 포대 * 곡사포포대대(D-20) * 대전차포병대대(MT-12 Rapira) * 대공미사일포병대대 * 정찰중대 * 탱크중대 * 공병중대 * 정비중대 * 물류중대 * 신호중대 * 의무중대 * 저격소대 * 제62기계화보병여단 (MU A4467), 베르디치우, 지토미르 주 * [[파일:제72기계화여단 엠블럼.svg|width=100]][br][[제72기계화여단]] '초르니 자포리치' (MU А2167), 빌라 체르크바, 키이우 주 - 2022년 12월 현재 도네츠크 주를 방어하기 위해 남쪽으로 와 있는 상태이다. * 여단 본부 및 본부 중대 * 제1기계화대대 * 제2기계화대대 * 제3기계화대대 * 탱크대대 * 제12차량화보병대대 "키예프" * 여단 포병연대 * 본부 및 목표물 획득 포대 * 자주포대대(2S3 Akatsiya) * 자주포대대(2S1 Gvozdika) * 로켓포병대대(BM-21 Grad) * 대전차포병대대(MT-12 Rapira) * 대공미사일포병대대 * 공병대대 * 정비대대 * 물류대대 * 정찰중대 * 저격중대 * 전자전중대 * 신호중대 * 레이더중대 * CBRN 방어중대 * 의무중대 * 군악대 * [[파일:우크라이나115여단.png]][br]제115기계화여단 (MU A4053), 체르카시 주 * 여단 본부 및 본부 중대 * 제1기계화대대 * 제2기계화대대 * 제3기계화대대 * 탱크대대 * 포병 그룹 * 방공방어대대 * 정찰중대 * 공병대대 * 물류대대 * 신호중대 * 정비대대 * 레이더중대 * 의무중대 * CBRN 방어중대 * 제1특수목적여단 '이반 보훈' (MU A4044), 주둔지 불명 * 여단 본부 및 본부 중대 * 제515독립대대 * 제516독립대대 * 제517독립대대 * 제518독립대대 * 탱크대대 *[[파일:제3돌격여단 엠블럼.svg|width=70]][br] [[제3돌격여단|제3강습여단]][* 구 아조우 특수작전군 키이우](MU A4638) * [[파일:우크라이나제5보병부대마크.png|width=40%]][br]제5강습여단(MU A4010), 주둔지 불명 * 여단 본부 및 본부 중대 * 제1보병대대(기계화) * 제2보병대대(기계화) * 제3보병대대(기계화) * 탱크대대 * 야전포병대대 * 방공포병대대 * [[파일:제26포병여단 엠블럼.svg|width=100]][br]제26포병여단 '헤네랄-마요르 로만 다쉬케비치' (MU А3091), 베르디치우, 지토미르 주 * 여단 본부 및 본부 포대 * 제1자주포대대(2S19 Msta-S) * 제2자주포대대(2S19 Msta-S) * 제3자주포대대(2S5 Giatsint-S) * 제4대전차포병대대(MT-12 Rapira) * 포병정찰대대 * 제14차량화보병대대 "체르카시" * 공병중대 * 정비중대 * 물류중대 * CBRN 방어소대 * 제49포병여단(MU A0157) * [[파일:제1129방공미사일연대 엠블럼.svg|width=100]]제1129방공미사일연대 (MU А1232), 빌라 체르크바, 키이우 주 * 제54정찰대대 '미하일로 티샤' (MU А2076), 노보흐라드볼린스키, 지토미르 주 ====# 영토방위부대 (북부) #==== '''(키이우 시의 영토 방위 부대)''' * 제?소총대대 * 제112영토방위여단 '키이우' (MU А7040) '''(키이우 주의 영토 방위 부대)''' * 제8소총대대 * 제114영토방위여단 '키이우 주' (MU А7042) '''(지토미르 주의 영토 방위 부대)''' * 제4소총대대 * 제115영토방위여단 '지토미르' (MU А7043) '''(폴타바 주 영토 방위 부대)''' * 제13소총대대 * 제116영토방위여단 '폴타바' (MU А7044) '''(수미 주의 영토 방위 부대)''' * 제15소총병대대 * 제117영토방위여단 '수미' (MU А7045) '''(체르카시 주의 영토 방위 부대)''' * 제20소총대대 * 제118영토방위여단 '체르카시' (MU А7046) '''(체르니히우 주의 영토 방위 부대)''' * 제22소총대대 * 제119영토방위여단 '체르니히우' (MU А7047) ===# [[파일:남부작전사령부 엠블럼.svg|width=23]] 남부작전사령부 (오데사) #=== || 본부 ||[[오데사]], [[미콜라이우]] || || 사령관 ||소장 [[안드리 코발추크]](Andriy Kovalchuk, Андрі́й Ковальчу́к) || || 참모장 ||준장 미하일로 드라파티(Mykhailo Drapaty) || || 부사령관 ||준장 안드리 흐나토우(Andriy Hnatov) || * 제5전차여단 (MU 불명), 크리비리흐, 드니프로 주 * 제14전차여단(MU 불명), 오데사 주 * 제21기계화보병여단 (MU A4689) * 제22기계화보병여단 (MU A4718) * 제28기계화보병여단 '페르쉬 지모비 포히드' (MU А0666), 초르노모르스케, 오데사 주 * 여단 본부 및 본부 중대 * 제1기계화대대 * 제2기계화대대 * 제3기계화대대 * 탱크대대 * 여단 포병 그룹 * 본부 및 목표물 획득 포대 * 자주포대대(2S3 Akatsiya) * 자주포대대(2S1 Gvozdika) * 로켓포병대대(BM-21 Grad) * 대전차포병대대(MT-12 Rapira) * 대공미사일포병대대 * 공병대대 * 정비대대 * 물류대대 * 정찰중대 * 저격중대 * 전자전중대 * 신호중대 * 레이더중대 * CBRN 방어중대 * 의무중대 * 제41기계화보병여단(MU, 주둔지 불명) * [[파일:우크라이나56보병여단마크.png]][br]제56차량화보병여단 (MU А0989), 마리우폴, 도네츠크 주 * 여단 본부 및 본부 중대 * 제21차량화보병대대 "사르마트" * 제23차량화보병대대 "호르티치아" * 제37차량화보병대대 * 여단 포병 그룹 * 본부 및 목표물 획득 포대 * 곡사포포대대(D-20) * 대전차포병대대(MT-12 Rapira) * 대공미사일포병대대 * 정찰중대 * 탱크중대 * 공병중대 * 정비중대 * 물류중대 * 신호중대 * 의무중대 * 저격소대 * [[파일:우크라이나57부대마크.png]][br]제57차량화보병여단 '코쉬 오타만 코스트 호르디옌코' (MU В4533), 노바 카호우카, 헤르손 주 ㅡ 2023년 4월 기준 바흐무트 전투 참전중이다. * 여단 본부 및 본부 중대 * 제17차량화보병대대 "크로피브니츠키" * 제34차량화보병대대 "바트키브시나" * 제42차량화보병대대 "루크 오포루" * 여단 포병 그룹 * 본부 및 목표물 획득 포대 * 곡사포포대대(D-20) * 대전차포병대대(MT-12 Rapira) * 대공미사일포병대대 * 정찰중대 * 탱크 중대 * 공병중대 * 정비중대 * 물류중대 * 신호중대 * 의무중대 * 저격소대 * 제59차량화보병여단 '야키우 한쥬크' (MU А1619), 하이신, 빈니차 주 * 여단 본부 및 본부 중대 * 제9차량화보병대대 "빈니차" * 제10차량화보병대대 "폴리샤" * 제11차량화보병대대 "키이반 루스" * 여단 포병 그룹 * 본부 및 목표물 획득 포대 * 곡사포포대대(D-20) * 대전차포병대대(MT-12 Rapira) * 대공미사일포병대대 * 정찰중대 * 탱크중대 * 공병중대 * 정비중대 * 물류중대 * 신호중대 * 의무중대 * 저격소대 * 제60기계화여단 '인훌레츠' (MU A1962), 주둔지 불명 * [[파일:제61엽병여단 엠블럼.svg|width=100]][br]제61엽병보병여단(기계화여단) (MU A3425), 지토미르[* [[https://militaryland.net/ukraine/armed-forces/61st-mechanized-brigade/|#]]] * 여단 본부 및 본부 중대 * 제1소총병대대 * 제2소총병대대 * 제3소총병대대 * 탱크대대 * 제61여단 포병단 * 본부 및 목표물 획득 포대 * 자주포대대(2S1 Gvozdika) * 야전곡사포포병대대 * 로켓포병대대(BM-21 Grad) * 대전차포병대대(MT-12 Rapira) * 제61여단 방공미사일포대대 * 공병대대 * 정비대대 * 물류대대 * 정찰중대 * 저격중대 * 전자전중대 * 신호중대 * 레이더중대 * CBRN 방어중대 * 의무중대 * 군악대 * 제154기계화여단 (MU A4962), 소재지 불명(창설 중) * 제40포병여단 '벨리키 크냐즈 비토우트' (MU А2227), 페르보마이스크, 미콜라이우 주 * 본부 및 본부 포대 * 제1곡사포포병대대(2A36 Hyacinth-B) * 제2곡사포포병대대(2A36 Hyacinth-B) * 제3곡사포포병대대(2A65 Msta-B) * 제4곡사포포병대대(2A65 Msta-B) * 제5대전차포병대대(MT-12 Rapira) * 포병정찰대대 * 제19차량화보병대대 "드니프로-2" * 공병중대 * 정비중대 * 물류중대 * CBRN 방어소대 * 제38방공미사일연대 '헤네랄-마요르 유리 튜튜니크' (MU А3880), 노바 오데사, 미콜라이우 주 * 제131정찰대대 (MU В1109), 구쉬친치, 빈니차 주 * 제143정찰대대 (MU В1053), 위치 미확인, 미콜라이우 주 * [[파일:우크라이나406포병여단.png]][br]제406포병여단 미콜라이우, 미콜라이우 주 ====# 영토방위부대 (남부) #==== '''(빈니차 주의 영토 방위 부대)''' * 제1소총대대 * 제120영토방위여단 '빈니차' (MU А7048) '''(키로보흐라드 주의 영토 방위 부대)''' * 제9소총대대 * 제121영토방위여단 '키로보흐라드' (MU А7049) '''(오데사 주의 영토 방위 부대)''' * 제12소총대대 * 제122영토방위여단 '오데사' (MU А7051) '''(미콜라이우 주의 영토 방위 부대)''' * 제11소총대대 * 제123영토방위여단 '미콜라이우' (MU А7052) '''(헤르손 주의 영토 방위 부대)''' * 제18소총병대대 * 제124영토방위여단 '헤르손' (MU А7053) === [[파일:동부작전사령부 엠블럼.svg|width=23]] [[동부작전사령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동부작전사령부)] ====# 영토방위부대 (동부) #====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주의 영토 방위 부대)''' * 제3소총대대 * 제108영토방위여단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MU А7036) '''(하르키우 주의 영토 방위 부대)''' * 제17소총대대 * 제113영토방위여단 '하르키우' (MU А7041) '''(자포리자 주의 영토 방위 부대)''' * 제6소총병대대 * 제110영토방위여단 '자포리자' (MUА7038) '''(도네츠크 주의 영토 방위 부대)''' * 제?소총대대 * 제109영토방위여단 '도네츠크' (MU А7037) '''(루한스크 주의 영토 방위 부대)''' * 제?소총대대 * 제111영토방위여단 '루한스크' (MU А7039) '''(세바스토폴 영토 방위 부대)''' * 제?소총대대 * 제?영토방위여단 '''(크림 자치 공화국의 영토 방위 부대)''' * 제?소총대대 * 제?영토방위여단 === 제9군단 === 2023년 창설됐다. 대체로 북부작전사령부의 병력이 포함되었으며 조직에는 다음 부대들이 포함된다: * 직속부대 * 제81지휘대대 * 예하부대 * 제1특수목적여단 * [[제3돌격여단]] * 제4전차여단 * 제47강습여단 === [[제10군단(우크라이나)|제10군단]] === 작전사령부에 속하지 않으며, 2023년 창설됐다. 육군이 주력이지만 타군 소속의 지상군도 편성됐다. * 제21기계화여단 * 제33기계화여단 * 제47기계화여단 * 제116기계화여단(MU A4722) * 제117기계화여단 * 제118기계화여단(MU A4712) * 제37해병여단([[우크라이나 해군 보병대]]) * 제82공중강습여단([[우크라이나 공수군]]) ===# 육군 예비군[* 작전사령부 소속이 밝혀지지 않은 부대 또한 이곳에 추가한다.] #=== * 제15기계화여단 * 제42기계화여단(창설 중) * 제43기계화여단(MU A4698)(창설 중) * 제44기계화여단(MU A4723) * [[파일:제45포병여단 엠블럼.svg|width=100]][br]제45포병여단(MU A2943, 야보리우, 르비우 주) * 제48포병여단 * 제66기계화여단 * [[제67기계화여단]](MU A4123), 드니프로, 드니프로 주 * 제88기계화여단 * [[파일:제110기계화여단.png]][br] 제110기계화여단(MU A4007) : 2022년 3월 창설 이후 별다른 교대 없이 계속 [[아우디이우카 전투]]에 참여하고 있다. [[RM-70]] 등 체코제 장비를 주로 운용한다. * 제142예비소총여단(MU A4820) * 제13경보병여단 == 지상 작전 장비 == 우크라이나군은 보통 육해공으로 구분되는 서방 군대와 달리 구소련 시절의 잔재로 인해 훨씬 세분화되어 있고 상당히 복잡한 체계를 가지고 있다. 우크라이나군은 육군 이외에도 국토방위군, 해병대, 특수작전군, 공수군, 방공군(공군 소속) 등 육군 소속이 아닌 다양한 군종에서 지상병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편제에 소속된 무기와 장비들을 일일이 구별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고, 2014년 이후 우크라이나군에서 합동군 체제가 발달하여 더욱 어려워졌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영문 위키피디아도 육군만의 장비가 아니라 [[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를 제외한 우크라이나군 전체의 지상 장비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아래 장비들 역시 육군 이외에 위에 서술된 여러 부대에서 사용되는 지상 장비들이 포함되어 있다. === 기갑 === |||||||||||||||| '''우크라이나군의 전차''' || || 이름 || 종류 || 개발 국가 || 운용 수량 || 비축 || 추가 계획 || 기타 || || || [[T-84 오플롯-M]] || [[주력 전차|MBT]] || [[우크라이나]] || || 2대+ || || 3.5세대 전차 || || || [[T-84|T-84U]] || [[주력 전차|MBT]] || [[우크라이나]] || 6대+ || - || +130 || 오비옉트 478DU9형 || || || [[T-80|T-80BV]] || [[주력 전차|MBT]] || [[소련]] || 88대 || 34대 || - || T-64 2017년형과 동일한 개량 받음 || 39대+손실 || || [[T-80|T-80UD]] || [[주력 전차|MBT]] || [[소련]] || || 137대 || -130 || 전량 T-84U로 개량중 || || || [[T-72|T-72AMT]] || [[주력 전차|MBT]] || [[우크라이나]] || 47대 || || - || T-72 현대화 개량형 || 13대+손실 || || [[T-72|T-72AV zr.2021]] || [[주력 전차|MBT]] || [[우크라이나]] || 4대 || || - || T-72 현대화 개량형 || || || [[T-72]] || [[주력 전차|MBT]] || [[소련]] || 82대 || 500대 || - || T-72AV,B1 등 || 38대+손실 || || [[T-64|T-64BM 불라트]] || [[주력 전차|MBT]] || [[우크라이나]] || 100대 || || - || T-64 현대화 개량형 || 10대+손실 || || [[T-64|T-64BV zr.2017]] || [[주력 전차|MBT]] || [[우크라이나]] || 235대 || || - || T-64 현대화 개량형 || 58대+손실 || || [[T-64|T-64BV]] || [[주력 전차|MBT]] || [[소련]] || 426대 || || - || T-64BV obr.2017사양으로 개량중 || 195대+손실 || || [[T-64]] || [[주력 전차|MBT]] || [[소련]] || || 578대 || - || T-64A, T-64B 등 || 7대+손실 || || [[T-72|T-72M]] || [[주력 전차|MBT]] || [[소련]] || 319대+ || || - || T-72M1, M1R 등 || 서방지원[* 폴란드, 체코, 북마케도니아 지원] || || [[PT-91]] || [[주력 전차|MBT]] || [[소련]][* T-72 개량형이라 엄연한 소련제 전차에 속한다], [[폴란드]] || ? || || ~ 232대 || [[T-72]]의 폴란드 개량형 || 서방지원[* 폴란드 공여 [[https://m.dcinside.com/board/war/2741247|#]] [[https://m.dcinside.com/board/war/2745794|#]]] || || [[T-72|T-72 Avenger]] || [[주력 전차|MBT]] || [[소련]], [[체코]] || 12대+ || || || [[T-72]]의 체코 [[엑스칼리버 아미]] 사의 개량형 || 서방지원[* [[https://www.armyrecognition.com/defense_news_october_2022_global_security_army_industry/czech_republic_delivers_t-72_avenger_tanks_to_ukraine_thanks_to_crowdfunding_campaign.html|#]][[https://www.idnes.cz/technet/vojenstvi/tank-tomas-ukrajina-t-72m1-darek-pro-putina.A221020_112534_vojenstvi_alv|#]] ] || || [[T-72|T-72EA]] || [[주력 전차|MBT]] || [[소련]], [[체코]] || 20대 || || +85대 || [[T-72]]의 체코 [[엑스칼리버 아미]] 사의 개량형 || 서방지원[* [[https://www.armyrecognition.com/defense_news_january_2023_global_security_army_industry/czech_republic_has_already_supplied_ukraine_with_20_t-72ea_modernized_tanks.html|#]][[https://en.topwar.ru/208493-raskryty-uluchshenija-modernizirovannogo-dlja-ukrainy-tanka-t-72ea.html|#]] ] || || [[T-55|M-55S]] || [[주력 전차|MBT]] || [[소련]], [[슬로베니아]] || 27대 || || || [[T-55]]의 슬로베니아 NATO 표준 개량형 || 서방지원[* 독일과의 스왑딜에 의한 슬로베니아 제공] || || [[챌린저 2]] || [[주력 전차|MBT]] || [[영국]] || 28대 || || || || 서방지원[* 영국 지원[[https://www.gov.uk/government/news/pm-accelerates-ukraine-support-ahead-of-anniversary-of-putins-war|#]]] || || [[레오파르트 1]] || [[주력 전차|MBT]] || [[독일]] || 30+대 || || 155+대 || 1A5 등 || 서방지원[* 독일, 네덜란드, 덴마크 공동(105), 독일(50), 덴마크(30)[[https://www.businessinsider.de/politik/deutschland/ukraine-bundesregierung-genehmigt-ausfuhr-von-leopard-1-panzern/|#]][[https://www.dr.dk/nyheder/indland/danmark-donerer-leopard-kampvogne-til-krigen-i-ukraine|#]][[https://twitter.com/DefensieMin/status/1623005104826724362|#]]] || || [[레오파르트 2]] || [[주력 전차|MBT]] || [[독일]] || 26+[* [[https://m.dcinside.com/board/war/3213189|#]][[https://twitter.com/WarMonitors/status/1629055013862445057?t=rnRgaLU4qXbqL9ZyDpCFFw&s=19|#]]] || || ~74대+ || 2A4, 2A5, 2A6 등 || 서방지원[* 독일(18+)[[https://edition.cnn.com/europe/live-news/russia-ukraine-war-news-1-25-23/h_05a7c32210b006ea9f04d4a7c0082fd6|#]] 네덜란드, 덴마크(14)[[https://www.defensie.nl/actueel/nieuws/2023/01/25/tanks-naar-oekraine-nederland-bekijkt-opties-om-bij-te-dragen|#]] 노르웨이(8)[[https://www.regjeringen.no/no/aktuelt/brusselnyhet/id2963053/|#]] 폴란드(14)[[https://www.bbc.com/news/live/world-europe-64396659?ns_mchannel=social&ns_source=twitter&ns_campaign=bbc_live&ns_linkname=63d110f91e5a29791b50e088%26Poland%20says%20it%20is%20ready%20to%20send%2014%20Leopard%20tanks%20to%20Ukraine%262023-01-25T11%3A45%3A35.256Z&ns_fee=0&pinned_post_locator=urn:asset:91846f35-da18-45f4-a960-7d18b6acfa59&pinned_post_asset_id=63d110f91e5a29791b50e088&pinned_post_type=share|#]] 핀란드(14)[[https://www.iltalehti.fi/politiikka/a/c4eac51b-421a-44c3-8df7-5c8abd118fc4|#]], 포르투갈(6)[[https://www.reuters.com/world/europe/portugal-send-ukraine-three-leopard-2-tanks-2023-02-08/|#]], 스페인(10)[[https://mil.in.ua/en/news/spain-to-deliver-first-six-leopard-2a4-mbts-to-ukraine-in-the-coming-days/|#]], 스웨덴(1+), 캐나다(4)[[https://edition.cnn.com/europe/live-news/russia-ukraine-war-news-1-26-23/h_24e47fd1c451c9e47c94cc2eebcdd130|#]], 네덜란드&덴마크(14)[[https://app.handelsblatt.com/unternehmen/industrie/ruestungskonzern-ukraine-erhaelt-weitere-leopard-kampfpanzer-von-rheinmetall/29208672.html|#]]다만 독일이 승인 후 정작 많은 유럽 국가들이 구체적인 공여 약속을 하는 것을 꺼리고 있어 실제 보유량은 우크라이나군 훈련을 맡은 폴란드나 승인을 한 당사국인 독일 외에는 당분간 받지 못해 많아봤자 2~30대일 것으로 보인다.[[https://m.dcinside.com/board/war/3183238?headid=260&recommend=1|#]] 실제로 폴란드에서 우크라이나로 독일 철십자 문양을 달은 레오파르트2를 배달하는 것으로 추측되는 장면이 목격되기도 했었다. ] || || [[M1 에이브람스]] || [[주력 전차|MBT]] || [[미국]] || || || 31대 || || 서방지원[* 미국 지원[[https://www.pravda.com.ua/eng/news/2023/01/25/7386491/|#]]] || || [[T-62]] || [[주력 전차|MBT]] || [[소련]] || (41대+) || || - || T-62M, MV, Obr.1967 || 노획 || || [[T-72]] || [[주력 전차|MBT]] || [[소련]] || (309대+) || || - || T-72A, AV, B, BA, B3, B3M 등 || 노획[* 노획물자의 경우 상태가 양호한 것들만 전선에 투입되며, 나머지는 부품공급 용도로 쓰인다.] || || [[T-80]] || [[주력 전차|MBT]] || [[소련]] / [[러시아]] || (166대+) || || || T-80BV, BVK, BVM, U, UK,UE1 등 || 노획[* [[https://www.oryxspioenkop.com/2022/02/attack-on-europe-documenting-equipment.html|노획 물자]]] || || [[T-90]] || [[주력 전차|MBT]] || [[러시아]] || 15대+ || - || || T-90A, T-90AK, T-90S 등 || 노획 || || [[T-90M]] || [[주력 전차|MBT]] || [[러시아]] || 2대+ || 2대 || || 3.5세대 전차, 1대 분해 || 노획 || |||||||||||||||| '''우크라이나군의 장갑차''' || || 이름 || 종류 || 개발 국가 || 운용 수량 || 비축 || 추가 계획 || 기타 || || || [[BMP-3]] || [[IFV]] || [[소련]] || 4대 || - || - || - || 노획(62+) || || [[BMP-2]] || [[IFV]] || [[소련]] || 890대 || - || - || || 노획(236+) || || [[BMP-1]] || [[IFV]] || [[소련]] || 213대 || || - || || 공여(211)[* 폴란드(40), 체코(101), 그리스(40), 슬로바키아(30)], 노획(98+) || || [[BMD-4]] || [[IFV]] || [[러시아]] || 11대+ || - || - || - || 전량 노획 || || [[BMD-3]] || [[IFV]] || [[소련]] || 7대+ || - || - || - || 전량 노획 || || [[BMD-2]] || [[IFV]] || [[소련]] || 59대 || - || - || - || 노획(53+) || || [[BMD-1]] || [[IFV]] || [[소련]] || 47대 || - || - || 공수용 경장갑차 || || || [[BMP 케블라-E]] || [[IFV]] || [[우크라이나]] || 1+ || || - || || [* 2023년 배치 예정이었으며 그때까지 시제차를 개량해서 사용하려고 했지만 전쟁으로 인해 먼저 투입후 추가적으로 개량하는 것으로 계획이 변경되었다.] || || [[BVP M-80|BVP M-80A]] || [[IFV]] || [[유고슬라비아]] || 35대 || - || - || || 슬로베니아 공여 || || [[AIFV]](YPR-765) || [[IFV]] || [[미국]], [[네덜란드]] || 196대 || || || || 네덜란드 공여 || || [[M2 브래들리]] || [[IFV]] || [[미국]] || 109대 || || 30대 || || 서방지원[* 미국 지원 [[https://www.defense.gov/News/Releases/Release/Article/3261263/more-than-3-billion-in-additional-security-assistance-for-ukraine/|#]][[https://www.defense.gov/News/Releases/Release/Article/3272866/biden-administration-announces-additional-security-assistance-for-ukraine/|#]]] || || [[SPz 마르더]] || [[IFV]] || [[독일]] || 60대 || || 80대 || || 서방지원[* [[https://edition.cnn.com/europe/live-news/russia-ukraine-war-news-1-6-23/h_52547d64fac1734da075dd81e066c2cd|#]] 독일 제공] || || [[CV90]] || [[IFV]] || [[스웨덴]] || 12+대 || ||38-대 || || 서방지원[* 스웨덴 지원[[https://uk.news.yahoo.com/sweden-send-infantry-fighting-vehicles-095955941.html|#]]] || || [[BTR-82A]] || [[IFV]] || [[러시아]] || 122대+ || - || - || - || 전량 노획 || || [[MT-LB]] || AFV || [[소련]] || 2315대+ || || - || - || 노획(232+) || || BTR-D || 궤도형 [[병력수송장갑차|APC]] || [[소련]] || 44대+ || || - || - || 노획(22+) || || [[M113]] || 궤도형 [[병력수송장갑차|APC]] || [[미국]] || 506대 || || 286대+ || || 서방지원[* 미국(300), 덴마크(54), 리투아니아(80), 노르웨이(50, M548 파생형의 자국생산형) 포르투갈(47), 호주(56), 스페인(80+), 이탈리아(12) 공여(공여예정), 벨기에(145+) 공여(영국에서 구매해 공여, 99대 예정, 46대 공여 완료)] || || M577 || 궤도형 [[병력수송장갑차|APC]] || [[미국]] || 1+대 || || 5대 || || 리투아니아, 포르투갈 공여 || || LPG || 궤도형 [[병력수송장갑차|APC]] || [[폴란드]] || ? || || || || 폴란드 공여 || || [[FV103 스파르탄]] || 궤도형 [[병력수송장갑차|APC]] || [[영국]] || ~ 75대 || || || || 영국 제공, 우크라이나에서 기부금으로 구매 || || [[FV432]] || 궤도형 [[병력수송장갑차|APC]] || [[영국]] || 24+대 || || || || 영국 제공, 우크라이나에서 기부금으로 구매 || || [[Bv 206]](S) || 궤도형 장갑차 || [[스웨덴]] || 60대 || 4대 || || || 네덜란드, 이탈리아, 독일 제공 || || BvS 10 || 궤도형 장갑차 || 스웨덴 || 28대 || || || || 네덜란드 공여 || || [[BTR-4]]E || 차륜형 [[병력수송장갑차|APC]]/IFV || [[우크라이나]] || 203대 || - || || || || || [[BTR-4|BMM-4S]] || 차륜형 [[병력수송장갑차|APC]]/IFV || [[우크라이나]] || 12대 || 31 || - || BTR-4 파생형 || || || [[BTR-3]] || 차륜형 [[병력수송장갑차|APC]]/IFV || [[우크라이나]] || 60대 || - || - || || || || [[BTR-80]] || 차륜형 [[병력수송장갑차|APC]] || [[소련]] || 102대 || || - || - || 노획(62+) || || [[BTR-70]] || 차륜형 [[병력수송장갑차|APC]] || [[소련]] || 215대 || - || - || - || || || [[BTR-60]] || 차륜형 [[병력수송장갑차|APC]] || [[소련]] || 5대 || ?대 || - || - || || || [[M1117]] || 차륜형 장갑차 || [[미국]] || || || 250대 || || 서방지원[* 미국 공여] || || [[스트라이커 장갑차|ACSV]] || 차륜형 [[병력수송장갑차|APC]] || [[캐나다]] || 39대 || || || || 캐나다 공여 || || [[스트라이커 장갑차|M1126 스트라이커]] || [[차륜형 장갑차]] || [[캐나다]], [[미국]] || 90대 || || 25대 || || 서방지원[* 미국 지원[[https://www.defense.gov/News/Releases/Release/Article/3272866/biden-administration-announces-additional-security-assistance-for-ukraine/|#]]] || || [[VAB]] || 차륜형 [[병력수송장갑차|APC]] || [[프랑스]] || 60대+ || || || || 프랑스 공여 || || [[파트리아 파시|XA-180/185]] || 차륜형 [[병력수송장갑차|APC]] || [[핀란드]] || ?대 || || || 해병대, 국가근위대 사용 || 핀란드 공여 || || [[파트리아 AMV|KTO Rosomak]] || 차륜형 [[병력수송장갑차|APC]] || [[폴란드]], [[핀란드]] || 1+대 || || 199-대 || || 서방지원[* 미국과 EU의 기금 지원으로 구매] || || [[판두르 I|LKOV 발루크]] || 차륜형 [[병력수송장갑차|APC]] || [[오스트리아]], [[슬로베니아]] || 20대 || || || || 슬로베니아 공여 || || 코자크-2 || 차륜형 [[병력수송장갑차|APC]] || [[우크라이나]] || 40대 || || - || - || || || [[AT105 색슨]] || 차륜형 [[병력수송장갑차|APC]] || [[영국]] || 196대 || || - || - || 영국군 중고 구매[* 2014년 영국군으로부터 중고 75대 구입, 이후 추가 도입] || || ACMAT Bastion || 차륜형 [[병력수송장갑차|APC]] || [[프랑스]] || 20대 || || ?대 || || 서방 지원[* 2022년 10월 20대 지원[[https://www.armyrecognition.com/defense_news_october_2022_global_security_army_industry/france_will_supply_20_arquus_bastion_armored_vehicles_to_ukrainian_army.amp.html|#]], 2023년 1월 AXM-10RC와 더불어 수량 미상의 추가 지원 발표] || || [[AMX-10RC]] || [[차륜형 장갑차]] || [[프랑스]] || 14+대 || || || || 서방지원[* [[https://www.fnnews.com/ampNews/202301051126482913|#]][[https://twitter.com/ForcesOperation/status/1625750350551457793|#]]프랑스 지원] || || [[AMX-10P]] || [[IFV]] || || [[프랑스]] || || || 25대 || 서방지원[* 프랑스에서 25대 구매 예정[[https://mil.in.ua/en/news/france-readies-transfer-amx-10p-apc-to-ukraine/|#]]] || || [[BRDM-2]] || 정찰 [[장갑차]] || [[소련]], [[우크라이나]] || 437대 || || - || - || || || [[BRDM-1]] || 정찰 [[장갑차]] || [[소련]] || || 458대 || - || - || || || [[부시마스터 PMV]] || 장갑기동차량(PMV) || [[아일랜드]], [[호주]] || 40+ || || 80- || || 서방지원[* 호주 지원[[https://www.abc.net.au/news/2022-09-15/ukranian-ambassador-calls-for-more-bushmasters/101442472|#]]] || || MLS Shield || 장갑기동차량(PMV) || [[이탈리아]] || 11 || || || || [[포로셴코]] 재단 매입[* [[https://m.dcinside.com/board/war/2727852?headid=|#]]] || || KrAZ-슈렉 || [[장갑차]] || [[캐나다]], [[우크라이나]] || 36대 || || - || - || || || Roshel Senator || 차륜형 [[병력수송장갑차|APC]] || [[캐나다]] || 550여대 || || ?대 || || 서방지원[* 캐나다, 미국 지원] || || [[페넥]] || [[정찰 장갑차]] || [[독일]], [[네덜란드]] || ?대 || || || || 서방지원[* 독일 또는 네덜란드 지원(지원 주체 불명)] || 2022년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 개전 이후 우크라이나군은 노획한 러시아군 전차 다수를 정비하여 실전 투입하여 운용하고 있다. 특히 9월 동부 대공세 때 러시아군들이 버리고 간 양질의 무기를 대거 획득하였다. 전쟁 초기에는 러시아군의 [[T-72]] 최신 개수버전이 많이 노획되었으나 전쟁이 점차 진행되면서 T-72 구형 버전이 많이 노획되고 있다. 9월 이후에는 그보다 구형인 [[T-62]]가 노획되기 시작하여 10월에는 T-62가 많이 노획되었다. 한편 2022년 9월 동부 대공세 때는 구형 전차 뿐만 아니라 러시아의 신형 전차인 T-90 계열이 노획되기도 했다. 특히 9월 18일 러시아군의 최신 MBT인 T-90M이 노획되어 후방으로 옮겨서 NATO의 분석을 받을 예정이다. 2022년 3월말에 체코가 구소련제 전차 [[T-72]]M 12대 이상을 우크라이나에 비밀리에 제공했다고 미 언론이 체코 국방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하여 보도했다. 이후에도 추가로 체코군 T-72 전차가 우크라이나로 보내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체코와 슬로바키아는 우크라이나의 군사 장비 정비 시설 사용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이것이 성사될 경우 우크라이나군이 노획한 러시아군 전차 176대, 기갑전투차량 116대, 보병전투차량 149대 등을 수리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2022년 4월 2일 미국과 NATO는 우크라이나 정부에 구소련제 전차를 포함한 공격용 무기를 지원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2022년 4월 중순, 폴란드 육군 소유 [[T-72]]M1R 전차 100여대가 행방불명되었다는 보도가 나왔다. 그리고 얼마 후 폴란드의 T-72들이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목격되었다는 제보가 보도되었다. 이에 대해 폴란드 측은 T-72 전차는 동유럽 어느 나라에서나 흔히 볼 수 있는 물건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2022년 4월 29일, 폴란드 현지 언론 및 서방 언론은 폴란드 정부가 [[T-72]] 200여대를 우크라이나에 제공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미 월스트리트 저널은 구체적으로 240대라고 보도했다. 일부 군사 전문 매체들은 폴란드 정부가 T-72 200여대를 이미 지난 몇 주에 걸쳐 우크라이나에 보냈다고 보도했다. 이와 함께 수십대의 장갑차들도 함께 지원되었다고 전했다. 여담이지만 폴란드는 자국의 T-72M1R 공여 때 "즐거운 사냥이 되길"이라고 하면서 러시아를 능욕했다. 이후 보도에 따르면 폴란드가 우크라이나에 제공한 T-72M 계열 전차는 총 250대 내외인 것으로 보도되었다. 2022년 7월 중순에, 폴란드 육군 소유 PT-91 전차 232대 전량이 곧 분실될 예정(이라 쓰고 공여라 읽는다)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https://www.plato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934|#]] PT-91은 T-72를 베이스로 폴란드가 대대적으로 개수한 버전이다. 미국으로부터 중고 에이브람스 M1A1 개량형 300대가 폴란드에 도착하는 대로 PT-91이 분실될 예정이라고 한다. 9월 시점에서 PT-91은 우크라이나에게 넘어간 것으로 보인다. 2022년 10월, '''유럽연합의 레오파르트 공여 촉구 결의안이 통과되었다고 한다.''' 버전은 불명이다. [[https://m.dcinside.com/board/war/2972108?recommend=1|#]] 하지만 구속력이 없어 큰 영향은 없을 것 같다. 장갑차 외의 차량도 많은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험비]]를 예로 들자면 매번의 지원마다 200대씩 넘겨주는 등 지원량이 압도적으로 많은 미군부터 병력이 천 명도 되지 않는 [[룩셈부르크군]][[https://www.ukrinform.net/rubric-ato/3618995-luxembourg-to-send-humvees-to-ukraine.html|#]]까지 지원을 마다하지 않고 있다. 우크라이나군은 타국 군대에서 [[MRAP]] 등 차량의 대규모 공여와 민간 기부, 크라우드펀딩 등으로 필요한 SUV와 차량들을 간간히 수급하고 있다. 2023년 1월, 프랑스가 서방 국가 중 최초로 자국의 전투용 장갑차 [[AMX-10RC]]의 제공을 발표했다. 그 뒤 미국과 독일 또한 [[M2 브래들리]]와 [[SPz 마르더]]의 공여를 동시 발표했다.. 현재 우크라이나로 폴란드, 핀란드 등이 국가간 연합이 있을 경우 레오파르트2 공여를 원한다는 소식이 들려오는 가운데, 영국이 서방 국가 최초로 [[챌린저 2]] 14대를 공여할 것임을 발표했다. 레오파르트 2의 경우 1월 람슈타인 우크라이나 지원 회담까지 지원 결정이 내려지지 않다가 1월 25일 독일이 14대의 레오파르트 2A6을 지원하고 다른 나라들의 공여도 승인할 것을 공식 발표하였다. 이어 노르웨이, 포르투갈, 네덜란드 등 여러 유럽 국가에서 레오파르트 2 전차를 공여할 것이라는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 2023년 1월 26일, 미국의 조 바이든 대통령이 M1 에이브람스 31대를 우크라이나에 공여할 것임을 발표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hqLCGedFvvU|#]] 러시아군의 전차를 다수 노획해서, 여러 보병 사단들이 기갑 사단으로 개편되었다. 그리고 타국에서도 전차를 지원받았다. 최근 독일이 레오파르트 1 판매를 승인했다는 얘기도 나왔다.[[https://m.dcinside.com/board/war/3181563?headid=260|#]] 라인메탈 사측이 '''[[KF51 판터]]의 현지생산 및 베타 테스트, 공급을 우크라이나에서 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https://m.dcinside.com/board/war/3191788?headid=260|#]][[https://apple.news/AY1aM-YElRGiaChaPHppu-w|#]] 진짜 이것이 가능해진다면, 우크라이나 육군은 머지않은 미래에 말 그대로 ''''따끈따끈하게 갓 만들어진' 서방 세계의 최신예 전차로 중무장하는 게 가능해질 수도 있다.''' 영국일간지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영국방산업체가 우크라이나 현지무기생산을 추진한다고한다. 보병용 대전처화기에서부터 전차,전투기까지 폭넓게 논의되고 있는데 가장 유력한 무기는 첼린저3가 될것으로 보인다. === 포병 === |||||||||||||||| '''우크라이나군의 자주포''' || || 이름 || 종류 || 개발 국가 || 운용 수량 || 비축 || 추가 계획 || 구경 || 기타 || || [[2S19]] || [[자주포]] || [[소련]] || 37대 || || || 152mm || 노획(33+) || || [[2S1]] || [[자주포]] || [[소련]] || 292대+ || 308대 || || 122mm || 서방지원[* 2018년 체코에서 중고 구매, 2022년 체코와 폴란드 20대 이상 공여, 그리스 122mm 포탄 공여], 노획(6+) || || [[2S3]] || [[자주포]] || [[소련]] || 256대 || 201대 || || 152mm || 노획(31+) 포함 || || [[2S5]] || [[자주포]] || [[소련]] || 36대 || 181대 || || 152mm || || || [[2S7]] || [[자주포]] || [[소련]] || 72대 || 18대 || || 203mm || || || [[2S9]] || [[자주박격포]] || [[소련]] || 40대 || ? || || 120mm || || || [[파트리아 AMV|M120 Rak]] || [[자주박격포]] || [[폴란드]] || || || 24대 || 120mm || 서방지원[* 미국과 EU의 기금 지원으로 폴란드에서 구매] || || 2S23 || [[자주포]] || [[소련]] || 1대 || - || || 120mm || || || [[ShKH vz.77 Dana|SpGH DANA]] || 차륜형 자주포 || [[체코슬로바키아]] || 21대+[* vz.77 버전] || || 26대[* M2 버전] || 152mm || 서방지원포함[* 2020년 26문 주문(M2 버전, 인수 예정), 체코 20문+ 공여(vz.77 버전)] || || [[ShKH vz.77 Dana|SpGH]] Zuzana[* SpGH Dana의 슬로바키아 개량형. NATO식 155mm 구경을 사용하고 있다.] || 차륜형 자주포 || [[체코슬로바키아]] || 8대 || || 16대 || 155mm || 서방지원[* 슬로바키아 8문 공여, 독일, 덴마크, 노르웨이의 파이낸싱으로 2023년 16문 추가 도입 예정] || || [[2S22 보흐다나]] || 차륜형 자주포 || [[우크라이나]] || 3대+ || || || 155mm || 프로토타입 포함 || || [[PzH2000]] || [[자주포]] || [[독일]] || 28대+ || 4대 || 105대 || 155mm || 서방지원포함[* 네덜란드(8), 독일(14), 이탈리아(5) 지원물자] || || [[M109]] || [[자주포]] || [[미국]] || 50대+ || || 18대 || 155mm || 서방지원[* 노르웨이(23), 라트비아(6) 공여, 영국(20+) 지원, 미국(18) 지원예정] || || [[M109|M109L]][* M109에 이탈리아가 FH70 주포를 장착한 개조 버전. 최대 사거리는 FH70와 동일.] || [[자주포]] || [[미국]], [[이탈리아]] || 100대+ || || || 155mm || 서방지원[* 이탈리아(100+) 지원[[https://www.repubblica.it/esteri/2023/04/16/news/cosi_litalia_potenzia_lartiglieria_ucraina-396394860/|#]]. 이탈리아에서 M109L 개조버전이 우크라이나군 도색을 입혀 운송 중인 장면이 이미 포착되었다.] || || [[CAESAR]] || 차륜형 자주포 || [[프랑스]] || 55대 || || 6대 || 155mm || 서방지원[* 프랑스(12+6+6+12/6), 덴마크(19) 지원물자] || || [[AHS 크라프]] || 자주포 || [[폴란드]], [[영국]], [[대한민국]][* 차체 라이선스 생산과 완제품 조립만 폴란드 기업이 하며, 대한민국에서 개발 및 일부 생산된 [[K-9 자주곡사포]]의 차체에 영국산 [[AS90]] 포탑을 결합한 제품이다.] || 54대 || || 54대 || 155mm || 서방지원포함[* 폴란드 54(18+36)대 공여, 54대 주문 판매.] || || [[AS90]] || 자주포 || [[영국]] || 33대 || || || 155mm || 서방지원[* 영국 33대 공여] || || [[아처 자주곡사포|아처]] || 자주포 || [[스웨덴]] || 8대 || || 4대 || 155mm || 서방지원[* 스웨덴 공여[[https://www.svt.se/nyheter/snabbkollen/svenska-archer-pa-plats-i-ukraina--ltds6g|#]]] || || [[AGM 모듈|RCH 155]] || 차륜형 자주포 || [[독일]] || || || 18대 || 155mm || 서방지원[* 독일 18대 공여] || || [[T-155 프르트나|T-155]] || 자주포 || [[튀르키예]], [[대한민국]][* [[K-9 자주곡사포]]를 튀르키예 실정에 맞게 현지화 및 공동개발한 버전. 일부 초기물량은 한국산이다.] || || || TBA || 155mm || 서방지원[* 튀르키예 공여, 수량 미정] || |||||||||||||||| '''우크라이나군의 견인포''' || || 이름 || 종류 || 개발 국가 || 운용 수량 || 비축 || 추가 계획 || 구경 || 기타 || || [[152mm 2A65 곡사포|2A65]] || [[견인포]] || [[소련]] || 130대+ || 55대 || || 152mm || 노획 32대+ || || 2A36 기아친트-B || [[견인포]] || [[소련]] || 180대 || - || || 152mm || 노획 8대, 핀란드 공여(수량 미상) || || D-20 || [[견인포]] || [[소련]] || 130대 || - || || 152mm || 노획 2대+ || || D-30 || [[견인포]] || [[소련]] || 164대 || - || || 122mm || 에스토니아, 크로아티아 지원[* 에스토니아 9대, 크로아티아 25대 공여], 노획 32대 || || D-44 || [[견인포]] || [[소련]] || || 326대 || || 85mm || || || D-48 || [[견인포]] || [[소련]] || || 45대 || || 85mm || || || [[T-12|MT-12]] || [[대전차포]] || [[소련]] || 500대+ || || || 100mm || || || [[M777]] || 견인곡사포 || [[미국]] || 152대 || || 31대 || 155mm || 미국, 호주, 캐나다 지원[* 미국(142) 제공, 캐나다(4), 호주(6) 공여] || || [[FH70]] || 견인곡사포 || 영국, 서독, 이탈리아 || ? || || 10여대 || 155mm || 체코, 이탈리아, 에스토니아 지원[* 체코, 이탈리아, 에스토니아 등 공여] || || TRF1 || 견인곡사포 || [[프랑스]] || 15대+ || || || 155mm || 프랑스 지원[* 프랑스 제공, 프랑스군 퇴역 보관 물자를 프랑스 사기업 S2M-Equipment이 구입하여 우크라이나에 제공] || || [[M-46]] || 견인포 || [[소련]] || 36대 || || || 130mm || 크로아티아 지원[* 크로아티아 공여] || || [[M119 견인곡사포|L119]] || 견인곡사포 || [[영국]] || 126대 || || || 105mm || 영국, 미국 지원[* 영국 54문 공여, 미국 72문 제공] || || [[M101 105mm 곡사포|M2A1, M101]] || 견인곡사포 || [[미국]] || 43대 || || || 105mm || 슬로베니아, 리투아니아, 포르투갈 지원 || || [[오토멜라라 Mod 56]] || [[산포]] || [[이탈리아]] || 6대 || || || 105mm || 스페인 지원 || === 미사일 === |||||||||||||| '''우크라이나군의 미사일''' || || 이름 || 종류 || 개발 국가 || 운용 수량 || 비축 || 추가 계획 || 기타 || || 삽산 || [[단거리 탄도 미사일]] || [[우크라이나]] || 개발중 || - || ||사거리 480km || || [[그롬 미사일|그롬]] || [[단거리 탄도 미사일]] || [[우크라이나]] || 3~ || - || - ||사거리 500km[* 개량형인 흐림-2는 700km다.] || || 코르순-2 || 단거리 [[순항 미사일]] || [[우크라이나]] || 개발중 || - || - ||사거리 350km || || [[OTR-21 토치카]] || [[단거리 탄도 미사일]] || [[소련]] || 90 || - || - ||사거리 120km || || 9K52 || [[단거리 탄도 미사일]] || [[소련]] || 50 || - || - ||사거리 70km || || [[ATACMS|MGM-140 ATACMS]] || [[전술 탄도 미사일]] || [[미국]] || 미상 || 최소 5 || 추후 추가 공여 가능 ||사거리 128~165km[* MGM-140 Block 0, MGM-140 Block 1] || |||||||||||||| '''우크라이나군의 다연장로켓''' || || 이름 || 종류 || 개발 국가 || 운용 수량 || 비축 || 추가 계획 || 기타 || || 빌카 || [[다연장로켓]] || [[우크라이나]] || ? || - || || 배치중 || || [[BM-30]] || [[다연장로켓]] || [[소련]] || 81 || - || - || || || [[BM-27]] || [[다연장로켓]] || [[소련]] || 76 || 63+ || - || 노획(6+) || || [[BM-27|Bureviy]] || [[다연장로켓]] || [[우크라이나]] || 1+ || - || - || BM-27 개량형 || || [[BM-21|Verba]] || [[다연장로켓]] || [[우크라이나]] || 38+ || - || - || BM-21 개량형 || || [[BM-21]] || [[다연장로켓]] || [[소련]] || 339+ || - || - || 서방지원[* 폴란드 (20+), 불가리아 지원], 노획(34+) || || [[TOS-1]] || [[다연장로켓]] || [[소련]] || 6+ || - || - || 전량 노획 || || [[M270 MLRS]] || [[다연장로켓]] || [[미국]] || 24 || - || 8 || 서방지원[* 독일(5), 영국(3), 프랑스(3), 노르웨이(11), 이탈리아(2) 지원/ 지원물자 [[https://www.n-tv.de/politik/Scholz-verspricht-Ukraine-modernes-Flugabwehrsystem-article23369513.html|독일]][[https://twitter.com/KyivIndependent/status/1532187915073294339|영국]] [[https://forsvaretsforum.no/artilleri-ukraina/norge-gir-langtrekkende-rakettartilleri-til-ukraina/274055|노르웨이]][[https://www.regjeringen.no/no/aktuelt/noreg-stottar-ukraina-med-langtrekkjande-artilleri-og-radarar/id2977717/|#]] [[https://en.defence-ua.com/weapon_and_tech/modern_us_m270_or_himars_already_destroys_russians_ukraines_defense_intelligence_gives_a_hint-2705.html|미국으로부터 추가 공여 가능성]][[https://www.repubblica.it/esteri/2022/10/30/news/ucraina_armi_italia_governo_meloni-372178516/amp/|이탈리아(유료 기사)]]다만 운용에 어려움이 있을 거라 당장 주는 것은 어렵다는 입장이 있었고 미국 측에서 가장 짦은 거리의 미사일을 공여하겠다고 밝힌 보도가 있었다. 아마 MLRS가 아닌 HIMARS 공여가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대신 독일이 3대 지원해줄 예정이다. 영국 또한 지원을 천명한 상태.] || || [[M142 HIMARS]] || [[다연장로켓]] || [[미국]] || 20 || - || 19 || 서방 지원[* [[https://en.defence-ua.com/weapon_and_tech/modern_us_m270_or_himars_already_destroys_russians_ukraines_defense_intelligence_gives_a_hint-2705.html|미국 공여]] [[https://m.dcinside.com/board/war/2735371?page=7|추가로 4대 공여 예정]] [[https://twitter.com/idreesali114/status/1549728300062359552|추가 공여 예정]][[https://www.defense.gov/News/Releases/Release/Article/3594318/biden-administration-announces-new-security-assistance-for-ukraine/|1대 추가 공여]]] || || [[RM-70]] || [[다연장로켓]] || [[체코]] || 20+ || - || || 서방지원[* 체코가 20대 이상의 RM-70을 제공한데 이어, RM-70 Vampire 4D(수량 미상)을 추가 제공했다.] || || [[TRG-230]] || [[다연장로켓]] || [[터키]] || 1+ || - || - || 터키 공여 || || [[M-63 플라멘|RAK-12]] || [[다연장로켓]] || [[크로아티아]] || 2 || || || 크로아티아 공여, [[M-63 플라멘]]의 경량화 파생형 || || [[BM-21|APR-40]] || [[다연장로켓]] || [[루마니아]] || 4 || || || 크로아티아 공여 추정 || === 방공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우크라이나 공군)] |||||||||||||| '''우크라이나 육군의 방공 장비''' || || 이름 || 종류 || 개발 국가 || 운용 수량 || 비축 || 추가 계획 || 기타 || || [[9K330 토르]] || [[지대공 미사일]] || [[소련]] || 6대 || - || - || || || [[9K33 오사]] || [[지대공 미사일]] || [[소련]] || 125대 || - || - || || || [[스트렐라|9K35 스트렐라-10]] || [[지대공 미사일]] || [[소련]] || 150대 || - || - || || || 9K31 스트렐라-1 || [[지대공 미사일]] || [[소련]] || || 48대 || - || || || [[2S6 퉁구스카]] || 자주 대공포 || [[소련]] || 75대 || - || - || || || [[ZSU-23-4 쉴카]] || 자주 대공포 || [[소련]] || 300대 || - || - || || || [[판치르-S1]] || 자주 대공포 || [[러시아]] || 4+대 || - || || 노획[*우크라전] || || [[게파트 자주대공포|게파트]][* 독일 지원 물자(최대 50), 미국(요르단으로부터 구매,60)] || 자주 대공포 || [[독일]] || 49대 || - || 78대 || 육군, 공군 운용 || || [[AN/TWQ-1 어벤저]][* 미국 지원 물자] || 지대공 미사일 || [[미국]] || 20대 || || ?대 || || || [[아스터 미사일|SAMP/T]][* 프랑스, 이탈리아 지원 물자] || 지대공 미사일 || [[프랑스]],[[이탈리아]] || 1대 || - || ?대[* [[https://en.interfax.com.ua/news/general/878355.html|최소 1대 이상]]이며 공군 훈련병이 훈련을 위해 파견된 것으로 보아 공군에 배속될 가능성이 높다.] || || || '''[[패트리어트 미사일]]'''[* 미국,독일, 네덜란드 지원 물자] || 지대공 미사일 || [[미국]] || 포대 2대 || - || 포대 1대, 발사대 4대[* [[https://m.dcinside.com/board/war/3093899|#(미국)]][[https://www.whitehouse.gov/briefing-room/statements-releases/2023/01/05/joint-press-statement-following-a-call-between-the-president-joe-biden-and-the-chancellor-of-the-federal-republic-of-germany-olaf-scholz/|#(독일)]][[https://edition.cnn.com/europe/live-news/russia-ukraine-war-news-10-06-23/h_d052640752c7bdeec562ddcceec4ed0d|#(독일)]][[https://www.telegraaf.nl/nieuws/1521780026/nederland-heeft-intentie-om-patriot-luchtafweer-naar-oekraine-te-sturen|#(네덜란드)]] 우크라이나 공군이 운영하고 있다.]|| || === 보병 ===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제식화기로 [[AKM]], [[AK-74]], [[AKS-74U]]를, 특수부대용으로 자국산 Fort 계열 화기를 사용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5.56mm NATO탄으로 갈아탈 계획이었으나 전쟁으로 중단되었다. 대신 전쟁이 진행되면서 서방 국가들에게서 다량의 무기들을 공여받았고, 러시아군의 [[AK-12]]를 비롯한 최신 개인화기까지 대량으로 노획하는데에 성공했다. 1차 대전기의 무기부터 최신형 장비까지 장비가 다양하다. 대전차 화기는 동구권제와 서방제가 혼재되어 있는 양상이며, 무척 다양하게 사용중이다. RPG 계열과 [[9K111 파곳]], [[9M113 콘쿠르스]] 같은 구소련제 구형 대전차 미사일, 자체개발한 스키프(스투흐나-P), RK-3 코르사르 미사일과 돈바스 내전 이후 도입한 [[FGM-148 재블린]], [[NLAW]], [[M141 BDM]], [[PSRL-1]], 러시아의 침공 이후 공여된 [[AT4]], 칼 구스타프, 판저파우스트 3까지 전차를 부술 수 있는 중화기는 국적 가리지 않고 도입해 사용중이다. 심지어 21세기 정규전에선 효용이 다 한 줄 알았던 [[대전차 수류탄]]과 [[대전차포]]도 엄연한 주력 병기로 본연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RKG-3]] 대전차 수류탄은 3D 프린터로 출력한 날개를 달고 드론에 매달아 정밀 타격하는 방식, [[MT-12]] 대전차포는 서방이 지원한 정찰자산을 활용해 적을 찾아낸 다음 트럭이나 [[MT-LB]]로 신속히 전개해 포격을 퍼붓고 이탈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쏠쏠한 전과를 올리고 있다. 보병용 지대공 미사일도 마찬가지인데 이글라, 스트렐라 같이 현지 보병에게 익숙한 구소련/러시아제 장비는 물론 전쟁 전부터 대량도입한 미국제 스팅어, 전쟁 발발후 영국에서 지원한 [[스타스트릭]], 노르웨이에서 지원받은 미스트랄까지 다양하게 갖추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VU68pFMYQBY|우크라이나군이 쓰는 소련제 무기 영상]] === 육군항공대 === |||||||||||||| '''우크라이나군의 헬리콥터''' || || 이름 || 종류 || 개발 국가 || 운용 수량 || 비축 || 추가 계획 || 기타 || || [[Mi-24]] || [[공격헬기]] || [[소련]] || 35 대 || - || || || || [[Ka-52]] || [[공격헬기 ]] || [[러시아]] || 1 대 || || || 노획 || || [[Mi-8]] || [[수송헬기]] || [[소련]] || 52 대 || - || - || || || [[Mi-26]] || [[수송헬기]] || [[소련]] || 11 대 || - || - || || || [[Mi-2]] || [[수송헬기]] || [[소련]] || 14 대 || - || - || || == 기타 == * 구소련군에서 물려받은 [[데도브시나]] 등의 가혹행위와 부조리 문화의 폐해가 심각하기로 크림 위기 이전에 악명높았다. 병사에 대한 복지 역시 이를 경시하던 구소련군 문화와 전시 상황이라는 극한 상황 때문에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2014년 [[유로마이단 혁명]] 후 집권한 [[페트로 포로셴코]] 대통령 시절 군사력 증강과 함께 병영 복지가 크게 개선되었다.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러시아군을 효과적으로 방어해 우크라이나군의 사기가 크게 올라갔다고 한다.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연줄이나 뇌물로 군 징집을 회피하고 방탕한 삶을 즐기는 일부 우크라이나 청년들의 기행이 SNS 등을 타고 널리 알려져 범국민적인 비난을 사는 등,아직 우크라이나군 내부의 모순이 완벽히 청산된건 아니다. * 전투에서 기존에는 쉽게 보지 못했던 방식을 응용하고 있다. 전선이 넓고 포격전 위주의 전장에서 정찰용 드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동시에 상업용 드론에 다양한 수류탄을 개조해 자폭드론으로 쓰거나 카메라를 보면서 정확히 투하하고, 적극적으로 [[크라우드펀딩]]을 이용하고, 포병의 신속한 목표 획득 등 능률의 향상을 위해 [[우버]]의 UI를 벤치마킹한 자체 앱(GIS Arta)을 만들고, 전투 지휘와 피드백을 [[디스코드]]와 [[구글 미트]]로 해결[[https://twitter.com/Osinttechnical/status/1608256238458130433|#]][[https://twitter.com/Militarylandnet/status/1732507206300352860|#(국토방위군)]]하는 등, 러시아군보다 인력이나 물자 등이 부족해도 궁여지책이 일부 섞인 창의성으로 극복하는 모습을 자주 보이고 있다. == 관련 문서 ==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기갑차량)] [include(틀:우크라이나 관련 문서)] * [[군사력]] * [[무기 관련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