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울산광역시의 남자고등학교]][[분류:남구(울산)의 고등학교]][[분류:1987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울산광역시 남구의 고등학교)] ||<-3> '''[[남구(울산광역시)|{{{#000000,#dddddd 울산광역시 남구}}}]]의 [[고등학교|{{{#000000,#dddddd 고등학교}}}]]'''[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파일:울산제일고등학교 교표.sv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1 울산제일고등학교}}}'''[br]蔚山第一高等學校[br]{{{-1 Ulsan Jeil High School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울산제일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2> '''교훈''' ||'''정의(正義), 자율(自律), 창의(創意)''' || ||<|2> '''상징''' || '''교목''' ||[[소나무]]|| || '''교화''' ||[[매화]] || ||<-2> '''국가''' ||[include(틀:국기,국명=대한민국)] || ||<-2> '''분류''' ||[[사립 학교|사립]] [[남자고등학교]] || ||<-2> '''개교''' ||[[1988년]] [[3월 7일]] {{{-2 ([age(1988-03-07)]주년)}}}[br]'''울산제일고등학교''' || ||<-2> '''설립자''' ||김장배 || ||<-2> '''이사장''' ||김장배 || ||<-2> '''교장''' ||제15대 정병태 || ||<-2> '''교감''' ||김형수 || ||<-2> '''재학생 수''' ||391명{{{-2 (2023년)}}} || ||<-2> '''교직원 수''' ||46명{{{-2 (2023년)}}} || ||<-2> '''재단''' ||학교법인 동신학원 || ||<-2> '''관할 교육청''' ||[[울산광역시강남교육지원청]] || ||<-2> '''주소''' ||[[울산광역시]] [[남구(울산광역시)|남구]] [[남부순환도로]] 107 ([[옥동(울산)|옥동]]) || ||<-2> '''웹사이트''' ||[[http://www.ulsanjeil.h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ulsanjeilofficialpag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instagram.com/ulsanjeil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울산제고.jpg|width=100%]]}}}|| || 학교 전경 || [[울산광역시]] [[남구(울산)|남구]] [[옥동(울산)|옥동]]에 위치한 사립 일반계 남자고등학교로 1987년에 개교하였다. 양옆으로 [[성광여자고등학교]], 울산과학관이 있다. 울산의 대표적인 사립 남자고등학교이다. 1980~90년대에는 별도의 입시를 쳐서 입학하는 비평준화 학교였지만 2000년대에 [[평준화정책|평준화]]된 이후부터는 중학교 내신으로 입학할 수 있게 되었다. == 학교 연혁 == *1987년 3월 27일: 학교법인 동신학원 허가, 초대 이사장 설립자 김장배 박사 취임 *1987년 11월 4일: 울산제일고등학교 설립인가(24학급) *1987년 12월 2일: 초대 심손 교장 취임 *1988년 3월 7일: 제1회 입학식(입학생 563명) *1991년 2월 9일: 제1회 졸업(졸업생 522명) *2003년 11월 14일: 한솔관 개관. *2021년 9월 1일: 제15대 정병태 교장 취임 *2022년 1월 25일: 제32회 졸업식(졸업생 181명), 누적 졸업생 수: 14,351명 *2022년 3월 2일: 제35회 입학식(입학생 128명) == 교훈 및 상징 == * 출처: 울산제일고 홈페이지 === 교표 === [[파일:울산제일고등학교 교표.svg|width=100]] === 교화 === 교화는 [[매화]]다. === 교목 === 교목은 [[소나무]]다. === 교가 === >'''작사·작곡: 심손''' >태백의 억센 뜻 가슴에 안고 태화강 물굽이에 지혜를 닦아 >여명에 솟구치는 황지의 비룡되어 오대양 거센 파도 밀쳐 나가리 >아 나라의 영광 울산제일고 >아 인류의 횃불 울산제일고 == 학교 특징 == === 학습 분위기 === 근처 학교[* [[무거고등학교]], [[문수고등학교]], [[학성고등학교]] ]에 지원했다가 떨어져서 온 학생들이 거의 대부분이다.[* 지원할 때 쓰지 않아도 걸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 그 덕분에 학생 수가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다.]보통 반의 3분의 2가 튕겨서 온 학생들이다. 교사들도 대부분 공부를 시키는 편이나 문과반에서는 포기하는 교사도 있다. == 학교 시설 == '''본교-한솔관-체육관''' 순으로 위치해 있다. === 본교 === 학교 모양이 위에서 봤을 때 'ㄷ'자를 좌우대칭한 모습이다. 'ㄷ'자의 윗변은 '''구관''' 아랫변은 '''후관'''이라는 이름이 있지만 잘 사용하진 않는다. 세로변은 딱히 이름이 없다. 'ㄷ'자 중앙에 텅 빈 곳은 '''한솔터'''라는 공원이 있다. 소나무 한 그루를 중심으로 주변에 야자수나 꽃 같은 게 예쁘게 배치되어 있다. 동아리나 반장이 지시사항 등을 받으러 갈 때 여기서 자주 모인다. === 한솔관 === 1층에는 시청각실, 2층에는 음악실, 3층에는 배구부실이 있다. 대개 1층의 시청각실을 '''한솔관'''이라고 부른다. 학생회 모임이나 강연, 공연 같은 건 거의 여기 1층에서 한다. === 체육관 === '''동신관'''이라는 이름이 있지만 잘 쓰이진 않고 '체육관'으로 불린다. 학교 축제인 ''''한솔제'''가 여기서 열린다. 배구가 교기(校技)라서 배구코트와 관람석이 크게 마련되어 있다. 점심시간이나 야자시간에 가보면 배구부가 연습하고 있어서 체육관을 못쓴다. 그러나 현재 배구부는 해체되었다. '''체육관에선 실내화까지 벗어야 한다.''' 배구부 연습을 위해서 체육관 바닥이 배구장처럼 되어 있는데, 이게 자그마치 1억이 들었다. 양말만 신고 들어가야 한다. 한솔제 때는 바닥에 매트를 깔아서 괜찮다. 2층에는 기타실이 있다. 1학년, 3학년은 가 볼 일이 없고, 2학년 때 여기서 주 1회 기타를 배운다. 드럼이나 베이스도 마련되어 있어서 밴드부가 여기서 연습한다. 2022년도에 체육관에서 전국체전 배구경기를 진행했다. 이 때문에 체육관 부근 공사를 진행했었다. == 학교 생활 == === 주요 행사 === ||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개최시기"로 추가해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 학교 일과 === || 시간 || 일과 || || ~ 08시 30분 || 등교 || || 08시 30분 ~ 08시 40분 || 학급 조례 || || 08시 40분 ~ 09시 30분 || 1교시 || || 09시 40분 ~ 10시 30분 || 2교시 || || 10시 40분 ~ 11시 30분 || 3교시 || || 11시 40분 ~ 12시 30분 || 4교시 || || 12시 30분 ~ 13시 30분 || 중식 || || 13시 30분 ~ 14시 20분 || 5교시 || || 14시 30분 ~ 15시 20분 || 6교시 || || 15시 30분 ~ 16시 20분 || 7교시 || || 16시 20분 ~ 16시 40분 || 청소, 학급 종례 || || 16시 40분 ~ 18시 30분 || 자율학습 1차 || || 18시 30분 ~ 19시 30분 || 석식 || || 19시 30분 ~ 21시 30분 || 자율학습 2차 || === 두발규정 === 원래는 뒷머리가 교복 옷깃에 닿지 않고 옆머리가 귀에 닿지 않으며 앞머리는 눈썹에 닿지 않아야 했었다. 파마나 염색, 투블럭, 왁스는 금지였다. 그러나 [[우신고등학교(울산)#s-5|근처 모 학교]]의 사건 이후 2018년부터 두발 규정이 크게 완화되었고, 척 보기에 단정해 보이면~~도대체 그 단정하다는 기준이 무엇인진 모르겠으나~~ 패스. 투블럭도 허용되었다. 다만 파마나 염색 등등은 여전히 금지다. 2022년 6월 2일부로 교칙이 바뀌어 파마를 자유로이 할 수 있게 되었다. == 출신 인물 == ||[[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거나 등재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김대경(배구)|김대경]]: 전 배구선수. * [[이태봉]]: 전 배구선수. * [[안대룡]]: [[울산광역시의회]] 의원 * [[안세훈|안세훈]]: 법무법인 정향 소속 변호사 * [[정희태]]: 대한민국의 배우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가끔 가다 옥동으로 가려고 하는 학생들이 실수로 453번 버스를 타서 멘붕에 빠지기도 한다. 그럴 시에는 그냥 가만히 있어라. 공업탑 로터리에서 내려서 환승하면 된다. 성급하게 내렸다가 남부순환도로 한복판에 홀로 남겨질 수도 있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성광여고앞(22403·22404)'''}}}}}} || || {{{#ffffff 직행}}}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99ff; font-size: .95em" [[울산 버스 1401|{{{#ffffff 140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99ff; font-size: .95em" [[울산 버스 1421|{{{#ffffff 142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99ff; font-size: .95em" [[울산 버스 1703|{{{#ffffff 170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99ff; font-size: .95em" [[울산 버스 1713|{{{#ffffff 171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99ff; font-size: .95em" [[울산 버스 1723|{{{#ffffff 172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99ff; font-size: .95em" [[울산 버스 1733|{{{#ffffff 1733}}}]]}}} || || {{{#000 일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124|{{{#000 124}}}]]}}}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307|{{{#000 307}}}]]}}}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401|{{{#000 40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405|{{{#000 405}}}]]}}}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406|{{{#000 406}}}]]}}}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412|{{{#000 41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413|{{{#000 41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415|{{{#000 415}}}]]}}}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417|{{{#000 417}}}]]}}}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427|{{{#000 427}}}]]}}}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432|{{{#000 43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453|{{{#000 45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472|{{{#000 47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482|{{{#000 48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492|{{{#000 49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504|{{{#000 504}}}]]}}}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712|{{{#000 71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713|{{{#000 71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714|{{{#000 714}}}]]}}}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724|{{{#000 724}}}]]}}}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5em" [[울산 버스 824|{{{#000 824}}}]]}}}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옥현주공아파트(22401·22402)'''}}}}}} || || {{{#ffffff 직행}}}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99ff; font-size: .95em" [[울산 버스 1127|{{{#ffffff 1127}}}]]}}} ||}}} === 철도 === == 사건·사고 ==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합니다.|| 학교에 멧돼지 출현 [[http://www.uj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290121|#]] == 기타 == * 한솔관, 한솔터, 한솔제 등 ''''한솔''''이 학교의 시그니쳐인데, 학교에서는 이걸 쓸 때 [[아래아]]를 사용해 ''''ㅎᆞㄴ솔''''이라 적는다. 하지만 이것은 잘못되었다. 원래 의미는 '큰 소나무'인데, 옛말으로 'ㅎᆞㄴ'은 '한개의'라는 뜻이고, '한'이 '큰' 이라는 뜻이다. 그러니까 'ㅎᆞㄴ솔'은 '하나의 소나무'라는 초라한 뜻이 되는 것이다. * 위치가 산에 있다 보니 [[멧돼지]]가 나타나기도 한다...실제로 나타났으며 전문 사냥꾼을 동원해 포획했다. 실제로 비오는날 혹은 다음날 운동장에 보면 동물 발자국이 많이 찍혀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