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울트라 시리즈]][[분류:2012년 영화]][[분류:일본의 슈퍼히어로 영화]][[분류:하세가와 케이이치]] [include(틀:울트라 시리즈)] ||<:><-5><#369F36> '''[[울트라맨 제로]] 시리즈''' || ||<#63CC63> 울트라맨 제로 외전 [[킬러 더 비트스타]] (2010) ||<#389561><|2><:>←||<#63CC63> '''울트라맨 사가''' (2012) ||<#389561><|2><:>→||<#63CC63> [[울트라 제로 파이트]] (2012) || ||<#d2d2d2><-2><:> '''작품 정보''' || ||<-2><:> [[파일:US_H_h4_2.jpg|width=100%]] || || '''타이틀''' ||<:> ウルトラマンサーガ|| || '''개봉일시''' ||<:> [[2012년]] [[3월 24일]] || || '''상영시간''' ||<:> 90분 || || '''장르''' ||<:> [[특촬]], [[액션]] || || '''감독''' ||<:> 오카 히데키 || || '''각본''' ||<:> [[하세가와 케이이치]] || || '''주연''' ||<:> [[DAIGO]], [[츠루노 타케시]], [[스기우라 타이요]] 등 || || '''음악''' ||<:> 하라 후미오 || || '''원작''' ||<:> [[츠부라야 프로덕션]] || || '''공식 사이트''' ||<:> [[http://www.ultramansaga.com/]]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2년 3월 24일에 상영한 [[울트라 시리즈]]의 극장판. '''[[울트라맨 다이나]] 15주년, [[울트라맨 코스모스]] 10주년 기념작품이다.''' [[울트라맨 제로 THE MOVIE - 초결전! 베리알 은하제국]]의 후속작으로 원래는 '제로·다이나·코스모스 울트라맨 사가 미래를 꼭 껴안아'라는 제목으로 2011년 겨울에 상영될 예정이었다. [[울트라맨 제로]], [[울트라맨 다이나]], [[울트라맨 코스모스]]가 크로스 오버되는 극장판으로 최초로 2D, 3D 동시 상영되는 극장판. 주제곡은 [[DiVA]].[* AKB48의 파생 그룹. 우리나라의 3인조 여성 그룹과는 이름만 같을 뿐 별 관계가 없다.]의 Lost the way. 세계관이 엄청 어두운 편인데, [[촉각우주인 배트 성인]]의 [[포스트 아포칼립스|실험장이 되어 대부분의 인간들이 사라진 지구]] 퓨처 어스에서 생존자 여성 7명이 [[팀 U]]라는 방위본부를 결성하여 힘겹게 괴수들과 싸워나간다는 설정. 이번 작품을 통해 [[울트라 시리즈]]의 [[평행우주]] 설정이 명확하게 만들어졌다. 여담으로 팀 U의 멤버는 전부 [[AKB48]] 멤버들로 캐스팅되었다. 또한 제로의 새 인간체 타이가의 배우 는 본업이 가수인 [[DAIGO]]가 캐스팅됐다. == 등장인물 == * [[타이가 노조무]] & 울트라맨 제로 * [[아스카 신]](울트라맨 다이나) * [[하루노 무사시]](울트라맨 코스모스) * [[팀 U]] * 안나 * 미사토 * 사와 * 논코 * 리사 * 미사오 * 히나 * 지구에 남은 아이들 * 타케루 배우는 타카무라 료마, 국내판 성우는 [[강시현(성우)|강시현]]. 본작에 등장하는 아이들 중 비중이 큰 소년으로 아스카가 이곳에 왔을 때 가장 절친한 소년이었으나 아스카가 행방불명된 이후로 말을 잃어버렸다. 그러나 아스카, 즉 울트라맨 다이나가 아직 죽지 않았다고 확신을 하고 있으며[* 다이나가 행방불명되던 당시 현장에 있었는데, 그때 다이나에게서 무언가 빛나는 물체가 빠져나오는 것을 목격했다. 그래서 극중 내내 거주지를 나가려 했던 것.] 그 현장에서 다이나의 빛을 발견하고 근성으로 삽질을 하여 빛=리플래셔를 찾아내고 그것으로 다이나를 부활시킨다. 나중에는 다시 말문이 트이며 하이퍼 젯톤이 사망한 영향으로 사람들이 돌아오며 엄마[* 타케루의 엄마 역의 배우는 [[울트라맨 넥서스]]에서 [[사이다 리코]](=[[다크 파우스트]]) 역을 맡았었다. 2022년 7월 11일에 병으로 요절했다.]와 재회한다. * 사야 * 리츠 * 미코 * 렌 * 켄 * 히로 * 쿠 * 카나타 * 네오 프론티어 스페이스 * [[슈퍼 GUTS]] * [[유미무라 료]] * [[카리야 코우헤이]] * [[나카지마 츠토무]] * 지구평화연합 TPC * [[히비키 코스케]] * [[코우다 토츠유키]] * 코스모스 스페이스 * [[모리모토 아야노|하루노 아야노]] * 하루노 소라 * M78 월드 * [[하야타 신]](울트라맨) * [[모로보시 단]](울트라 세븐) * [[고 히데키]](울트라맨 잭) * [[호쿠토 세이지]](울트라맨 에이스) * [[오오토리 겐]](울트라맨 레오) === 등장 울트라맨 === * '''[[울트라맨 사가(울트라맨)|울트라맨 사가]]''' * [[울트라맨 제로]] * [[울트라맨 다이나(울트라맨)|울트라맨 다이나]] * [[울트라맨 코스모스(울트라맨)|울트라맨 코스모스]] * 레전드 파이브[* 배우들이 잠시 나오며 원래는 전투신도 있었으나 위에 언급된 대로 감독판과 [[울트라맨 열전]]용 편집판에서만 볼 수 있다.] * [[울트라맨]] * [[울트라 세븐]] * [[울트라맨 잭]] * [[울트라맨 에이스]] * [[울트라맨 레오]] == 등장 괴수 & 우주인 == * 메인 빌런 * [[촉각우주인 배트 성인#s-2.2|촉각우주인 배트 성인]] * [[하이퍼 젯톤]] * [[고대괴수 고메스|고대괴수 고메스(S)]] * [[심해괴수 구비라]] * [[흉포괴수 아스트론]] * 코스모 스페이스의 괴수 * [[우호거조 리도리아스]] * [[고대폭수 골메데]] * [[지중괴수 모그루돈]] * [[독가스괴수 에리갈]] * [[운석소진수 미닌]] * [[전격괴수 볼길스]] * [[카오스 헤더 0]] * 편집된 괴수군단[* 극장판 본편에선 편집되어 [[울트라맨 열전]], 울트라맨 제로 크로니클에서 방영된 디렉터즈 판에서만 볼 수 있다.] * [[자력괴수 앤트라]] * [[쌍두괴수 판돈|쌍두괴수 킹 판돈]] * [[경호원괴수 블랙킹]] * [[미사일초수 베로크론]] * [[폭군괴수 타일런트]] * 그 외 * [[우주구체 스피어]] * [[제국기병 레기오노이드]] == 평가 == 예상한 것과 달리 울트라 시리즈의 주제를 잘 농축한 수작이라는 평을 받았다. 또한 [[아스카 신]]이 사실상 본 극장판의 진 주인공이란 평가를 받았으며 15년만에 나온 진정한 완결편이란 평가도 받았다. 코스모스의 후일담 또한 코스모스를 본 사람들에겐 큰 감동을 선사한다. 이 작품을 계기로 다이나와 코스모스의 인기가 티가와 가이아를 역전하는 등 팬덤에는 여파가 상당히 크게 남았다.[* 다이나는 최종화가 다소 아쉬운 작품이란 평이었는데 이 작품을 통해서 완전체가 됐다는 평을 받으며 지금도 팬덤내에서 명작으로 꼽히고 있다. 코스모스도 방영 당시엔 평가가 영 아니었는데 이걸 보고 "다시 보니 괜찮네?"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하지만 지나치게 [[신파극]]을 추구했으며 다이나와 코스모스를 모르면 즐길 부분이 크게 줄어든다는 비판도 있다. 하지만 이런 호평과는 달리 극장에선 동시기에 개봉한 [[가면라이더X슈퍼전대 슈퍼 히어로 대전]]에 밀렸으나, 흥행은 제작비 약 1억 4천만엔에 흥행은 5억 7천만엔으로 제작비 외 지출비용을 고려해도 극장흥행수익만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극장과 영화사가 남남이거나, 계열사라 해도 수평적인 관계라 철저히 매출을 반반으로 나누는 국내 및 해외와 달리 자체적으로 극장을 모회사, 자회사로 지닌 쇼치쿠 배급이라 전체 매출에서 지출만 뺀 상당수가 수익이 됐다.] 격투씬은 일부 팬들에겐 다소 아쉬운 평가를 받았는데 화려한 하이스피드 액션을 메인으로 잡은 반면 종래의 거대 히어로다운 묵직한 육박전은 전혀 나오지 않아 울트라맨스러움은 다소 못하다는 평. 하지만 이것이 오히려 최신 트랜드에 맞는다는 평도 있다. 팀U로 캐스팅 된 [[AKB48]] 멤버들은 당초의 우려와 달리 오히려 연기를 매우 잘해서 호평받았다. 특히 주연인 안나 역의 [[아키모토 사야카]]의 연기는 매우 호평.[* 원래 연기를 잘한다는 멤버였고 지금도 연기자로 활발하게 활동한다.] 하지만 타이가를 연기한 [[DAIGO]]는 너무 과장된 연기를 해서 비판 받았다. 여담으로 DAIGO는 이후의 울트라맨 시리즈에선 노래로만 참여하는데 노래는 잘 뽑는단 소리를 듣고 있다. 이 작품의 스토리는 개봉 전년인 2011년에 발생한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으로 상처입은 일본인들의 마음에 격려하는 내용임이 제작진 인터뷰를 통해 밝혀졌다. 기획 단계에서는 현재와는 다른 내용으로 진행되다가 지진을 계기로 큰 변경이 있었다고 한다. 작품 중 등장하는 배경도 당초에는 완전히 폐허가 된 지구를 상정했지만 재해를 연상시킬 수 있다는 이유로 인간만이 사라진 텅 빈 도시 중심으로 완화되었다, 엔딩에서는 지진의 집중적인 피해를 입었던 도호쿠 지방의 지도를 클로즈업하는 장면이 있다. 그리고 당초엔 울트라 형제 VS 괴수병기의 전투씬이 있었는데[* [[고 히데키]]가 인간체에서 울트라맨 잭으로 변신하는 장면이 수록된 마지막 공식 작품이다.] 작품의 주제와 관계가 없다는 이유로 편집되었다. 그나마도 블루레이에 삭제씬이 안 들어가서 많은 이들이 아쉬워했다. 그런데 삭제 장면 자체가 안 들어간 걸 보면 울트라 극장판 최초로 디렉터즈 컷이 나올 것으로 예상했으나 2013년 4분기까지 소식이 없다가 12월 7일 DC판을 상영한다고 한다. 그리고 신 울트라맨 열전에서 이 감독판을 TV판 분량으로 편집해서 방영하였다. 그래도 묻어두기에는 아까웠는지 [[울트라맨 타이가]] 0화로 이 삭제 영상을 재편집해서 공개하기도 했고, 2020년에 방영하는 [[울트라맨 크로니클 제로 & 지드]]에서 '''드디어 감독판 영상이 공개됐다'''. 그리고 [[https://m-78.jp/news/post-5743|울트라맨 제로 10주년 기념 BD-BOX]]에 일반판과 더불어 감독판이 완전한 형태로 수록되었다. 그 후 현재까지도 감독판 단독으로는 미디어화가 되지 않고 있다. == 국내 개봉 == [[파일:울트라맨 사가 국내.jpg]] 2015년 2월 5일에 국내 개봉 예정이였다. 연출은 [[김정령]] PD. [[울트라 형제]]의 성우를 [[이호인(성우)|이호인]], [[전광주]]로 유지시키지 않고 [[대원방송 성우극회|자사 전속]]으로 돌린 걸로도 모자라, 제로/사가 역에 [[임하진]]을 캐스팅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욕을 바가지로 먹었었다. 당시 성우진에 대해서 "[[전속 시리즈|전속 도배]]는 넘어갈 수 있어도 [[임하진/성희롱 논란|임하진의 출연만큼은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격분했었고 당시 임시 특촬물 갤러리인 [[로한 갤러리]]와 [[성우 갤러리]]의 연합으로, 네이버 울트라맨 사가 페이지를 완전히 털기 시작할 정도로 욕을 먹을 정도였다. 관련 영화로 [[도가니]], [[변태]] 등이 나올 정도면 뭐...결국 이 영향으로 임하진은 완전히 강판되고 제로/사가의 성우는 [[이재범(성우)|이재범]]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국내 개봉일도 3주 연기되어 2월 26일에 개봉되었다. 하지만 강판당한 성우 임하진은 네이버 영화정보 페이지나 울트라맨 네이버 카페 등에서 자신에게 악의적인 댓글이나 강판 요구를 한 회원들에게 경찰에 고소를 하는 뒷통수를 시전했다. 더빙 퀄리티에 대해서는 그럭저럭 괜찮다는 반응. 특히 [[타이가 노조무]] 역의 [[이동훈(성우)|이동훈]]은 원판 배우가 워낙 환상적인 발연기를 보여줘서 [[초월더빙]]이라는 말을 들을 정도. 개봉후 2016년 9월에 [[DVD]]로 출시되었다. [[http://www.yes24.com/Product/Goods/30669301|관련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