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울트라 시리즈]][[분류:2010년 영화]][[분류:일본의 슈퍼히어로 영화]] [include(틀:울트라 시리즈)] ||<:><-5><#369F36> '''[[울트라맨 제로]] 시리즈''' || ||<#63CC63> [[울트라 은하전설 울트라맨 제로 VS 다크롭스 제로]] (2010) ||<#389561><|2>←||<#63CC63> '''울트라맨 제로 THE MOVIE - 초결전! 베리알 은하제국''' (2010) ||<|2>→||<#63CC63> 울트라맨 제로 외전 [[킬러 더 비트스타]] (2011) || ||<#d2d2d2><-2><:> '''작품정보''' || ||<-2><:> [[파일:超決戦! ベリアル銀河帝国.jpg|width=100%]] || || '''타이틀''' ||<:> ウルトラマンゼロ THE MOVIE 超決戦! ベリアル銀河帝国 || || '''개봉일시''' ||<:> [[2010년]] [[12월 23일]] || || '''상영시간''' ||<:> 100분 || || '''장르''' ||<:> [[특촬]], [[액션]] || || '''감독''' ||<:> 아베 유이치 || || '''각본''' ||<:> 아베 유이치 || || '''주연''' ||<:> [[미야노 마모루]], [[코야나기 유우]], [[하마다 타츠오미]] 등 || || '''음악''' ||<:> [[카와이 켄지]] || || '''테마곡''' ||<:> [[걸 넥스트 도어|GIRL NEXT DOOR]] - 『운명의 물방울 ~Destiny's star~』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0년]] [[12월 23일]] 전국에서 개봉된 [[울트라 시리즈]] 탄생 45주년 기념작. 전작 [[대괴수 배틀 울트라 은하전설 THE MOVIE]]의 후속작. 주인공은 전작의 마지막 부분에서 활약했던 신 히어로 [[울트라맨 제로]]. [[대괴수 배틀 울트라 은하전설 THE MOVIE]]의 악역으로 나온 [[울트라맨 베리알]]이 [[페러렐 월드]]의 다른 우주에서 '''은하황제 카이저 베리알'''로 부활하여 우주 제패와 울트라 전사에의 복수를 기도한다. 아버지 [[울트라 세븐]]으로부터 울트라 제로 브레슬랫을 건네받은 [[울트라맨 제로]]가 다른 우주로 건너가 동료들과 함께 장렬한 싸움을 벌인다. 대괴수 배틀 시리즈와 함께 울트라 시리즈들중 가장 전형적인 [[스페이스 오페라]] 장르에 가까운 작품으로 각 우주를 누비며 동료들을 만나고 모험을 떠난다는 기존 시리즈들과 차별화되는 우주 활극 스타일로 진행된다는 특징이 있다. 제로의 인간체로 '[[아누 성인 란]]'[* 제로가 그의 정의로운 마음에 반하여 빈사의 위기에 놓인 그를 구해주고 란의 육체로 활동한다. 란의 몸으로 변신할 수 있는 것은 3번 뿐이다. 그리고 울트라맨 제로가 그의 몸을 떠나면 란의 정신이 깨어난다.]이 등장하며, 그 동생 나오[* 정황상 [[점보그 A]]의 주인공 이름을 오마쥬 한 듯 하다.]는 후반부에 쟌보트에 탑승하게 된다. 이번 작품은 울트라 시리즈 45년 기념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츠부라야 프로덕션의 70년대 거대 히어로 작품들의 주역들을 리파인해 등장시켰다. 그런데 여러 의미로 후덜덜하다. [[울티메이트 포스 제로]] 참조. 그리고 제로의 강화폼인 얼티밋 아머의 설정과 수록 OST의 제목으로 [[울트라맨 넥서스]]와의 연관이 드러났다. --N 프로젝트의 부활-- 본작과 연관되는 작품으로 DVD작인 '울트라맨 제로 VS 다크롭스 제로'가 있다. [[다크롭스 제로]]는 본작에서 '''양산형'''으로 등장한다. 이번작에서도 울트라 형제 외의 빛의 나라 울트라맨들이 잠깐 등장하였는데 맥스와 제논일 뿐이고 그레이트, 파워드, USA, 울트라 보이는 영화에 나오지 못하였다. 삭제된 장면 중에서 빛의 나라 울트라맨들이 다크롭스 군단과 전투하는 장면이 더욱 나오면서 고모라들이 지켜보는 장면이 있었다. 허나 이 장면은 잘리고 멀리서 광선 쏘다가 베리얼 군단에게 공격당하는 장면이 나와 아쉬워하던 사람들이 무지 많았다. == 등장인물 == * [[울티메이트 포스 제로]] * [[울트라맨 제로]]/[[아누 성인 란]] * 아누 성인 나오[* 배우는 후에 [[울트라맨 지드]]에서 [[아사쿠라 리쿠]] 역을 맡은 [[하마다 타츠오미]].] * [[잔보트]] * [[에메라나 공주]] * [[그렌 파이어]] * [[미러 나이트]] * [[빛의 나라]] * [[울트라맨 킹]] * [[울트라의 아버지]] * [[울트라의 어머니]] * [[조피(울트라 시리즈)|조피]] * [[울트라맨]] * [[모로보시 단|울트라 세븐]] * [[울트라맨 잭]] * [[호쿠토 세이지|울트라맨 에이스]] * [[히가시 고타로|울트라맨 타로]] * [[오오토리 겐|울트라맨 레오]] * [[아스트라(울트라 시리즈)|아스트라]] * [[야마토 타케시(울트라 시리즈)|울트라맨 80]] * [[호시 료코|유리안]] * [[울트라맨 맥스(울트라맨)|울트라맨 맥스]] * [[울트라맨 제논]] * [[히비노 미라이|울트라맨 뫼비우스]] * [[울트라맨 히카리]] * '''[[울트라맨 노아]]''' * 불의 해적단 * 가르 * 기르 * 그르 * 이차원의 백성[* 성우는 [[미러맨]]에서 [[카가미 쿄타로]]를 맡았던 이시다 노부유키로, 의도적으로 동일 인물임을 암시하는 캐스팅이다. 스태프롤에서도 울트라의 아버지보다 위에 위치하여 단순한 엑스트라가 아님을 드러내고 있으며 미러 나이트의 아버지라는 설도 있다.] * 베리알 군단 * [[울트라맨 베리알]] * [[강철장군 아이아론]] * 암흑참모 다크고네 * [[제국엽병 다크롭스]] * [[제국기병 레기오노이드]] * --공룡전사 자우라-- [[파일:external/pbs.twimg.com/C30JWtbUoAAO-yt.jpg]] [[파이어맨(특촬)|파이어맨]]의 목숨을 빼앗았던 강수 킹자우라를 리파인한 베리알군의 간부. 원래는 아이아론, 다크고네에 이어서 리파인된 거대 히어로 vs 리파인된 적 괴수(우주인) 역할로 나올 예정이었고 설정화나 슈트도 제작되었으나 개봉 일정으로 인해서 짤렸다. 이로 인해 그렌 파이어만 유일하게 리파인된 라이벌이 없는 캐릭터가 되었다. 원전과 가장 동떨어진 형태의 리파인으로 원작에서는 [[불사신괴수 린돈]]과 비슷한 외형이었지만 리파인된 모습은 [[핵괴수 기라드라스]]를 기반으로 [[고지라]]나 [[고대괴수 고모라]] 같은 정통파 공룡형 괴수들을 모티브로 완전히 뜯어고쳐서 간지나는 디자인이 되었다. == 평가 == 성인 시청자가 보기엔 다소 간단한 내용이긴 했지만 전체적인 내용의 기승전결은 완성도가 높은 편이며 이해하기 쉬운 모험 활극과 장인정신이 느껴질 정도로 수준 높고 깔끔한 CG 연출은 주 관객인 어린이들을 매료시킬 정도로 훌륭했고 액션은 어른들도 만족시킬만 했다. 일반적으로 울트라맨 제로 시리즈 중 최고 명작은 울트라맨 사가로 여겨지지만 이쪽이 더 나았다는 사람들도 있다. 중국에서는 [[울트라맨 사가]]보다 이쪽이 더 흥행했다. 특히 절정 부분에서 나오는 [[울트라맨 노아]]의 등장 신의 전율과 감동은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작품 이후 넥서스가 얼마 동안 크게 재조명을 받기도 했다. 이 작품을 좋아하는 팬들은 이후 울티메이트 포스 제로의 비중이 너무 없다고 아쉬워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