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padding:0px" ||<:><#CC0000> [[파일: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_4.png|width=65px]] ||<-2><:><#CC0000> {{{#gold {{{+1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 [br] 全国重点文物保护单位[br]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공포}}} || ||<#ffffff><-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china7.jp/yuanmingyuan111.jpg|width=100%]]}}} || ||<-3>[include(틀:지도, 장소=圆明园遗址,높이=250px, 너비=100%)]|| ||<:><|4><#CCC>명칭 || 한국어 || 원명원유지 || || 간체 || 圆明园遗址 || || 번체 || 圓明園遺址 || || 영어 || Old Summer Palace || ||<:><#CCC>분류 ||<-2> 고유지[br](古遗址) || ||<:><#CCC>시대 ||<-2> [[청나라|청]] || ||<:><#CCC>일련번호 ||<-2> 3-0221-1-041 || ||<:><#CCC>주소 ||<-2>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하이뎬구]] 칭화시루28호[br]北京市海淀区清华西路28号 || ||<:><#CCC>등재 ||<-2> [[1988년]] || ||<:><#CCC>차수 ||<-2> 제3차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 || ||<:><#CCC> 국가 지정 명승지 등급 ||<-2> AAAAA급 ||}}} [목차] [clearfix] == 개요 == [[베이징시]] [[하이뎬구]]에 있던 [[청나라]] 황실의 [[정원]]이었다. 3.5km^^2^^의 면적에 서양식 건축물, 중국 각 지방의 건축 양식을 모아놓은 건물들이 있었으며, 만원지원(萬園之園, 만 개 중의 정원, 정원 중의 정원)이라고도 불렸다. 또한 청 황실에서 소장한 진귀한 보물과 동식물을 보관한 장소이기도 했다. 유럽식 건축양식의 [[서양루]] 등은 [[주세페 카스틸리오네]]와 다른 유럽인들이 참여하여 설계했다. 1860년 [[제2차 아편전쟁]] 도중 프랑스군의 약탈에 이어, 포로 살해에 대한 보복인[* 39명이 협상장에 갔다가 체포되어 포로가 됐는데, 다구 포대 전투에서 청군이 너무 깨져서 분노한 청군들이 20명을 죽였다.] 영국군의 공격으로 불에 타 소실되고 소장품들은 모두 약탈당했다. 이에 빅토르 위고를 비롯한 지식인들은 영국군과 프랑스군을 비판했다.[* 게다가 원명원을 불태운 8대 엘긴 백작 [[https://en.wikipedia.org/wiki/James_Bruce,_8th_Earl_of_Elgin#China_and_Japan|제임스 브루스]]의 아버지 7대 엘긴 백작 [[https://en.wikipedia.org/wiki/Thomas_Bruce,_7th_Earl_of_Elgin|토마스 브루스]]는 그 유명한 엘긴 마블을 파르테논 신전에서 떼온 적 있다.] [[서태후]]가 [[함풍제]]와 처음 만나 사랑을 나누던 곳이기도 하다. 원명원이 불타 없어진 후 서태후가 거금을 들여 원명원 재건사업을 추진하려고 했으나[* 서태후는 원명원을 재건해 함풍제와의 추억을 되살리고 싶어했다고 한다.] 재정낭비라며 [[동태후]]의 강한 반대로 무산되었다. 동태후는 서태후와 함풍제의 사랑의 장소가 재건되는 것을 원치 않았다고 한다. 원명원이 애초에 파괴되지 않았거나, 서태후에 의해 재건되었다 하더라도 20세기 홍위병들의 손길을 피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이화원의 경우에도 문화대혁명 기간 파괴는 면했지만 훼손이 아예 없지는 않았다.] 현재는 공원화되었다.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alternative_history&no=19626&page=1|원명원의 파괴 이전과 이후 모습들]] == 복원 == [[파일:원명신원 중국 저장.jpg]] [[저장성]] [[둥양시]]에 있는 [[헝디엔 월드 스튜디오]]에는 원명원을 실물 크기로 재현한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4/18/0200000000AKR20150418030400089.HTML|원명신원]]이 있다. 이 원명신원을 세운 헝디엔그룹의 회장은 원래 원명원 복원에 관심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당국으로 부터 복원 허가가 나지 않자 계획을 바꿔, 다른 곳에 원명원을 재현한 공원을 만든 것이다. 물론 공식인증을 받은 복원이 아닌 헝디엔 그룹이 자체적으로 시행한 사업이기는 하지만, 옛 기록을 꼼꼼하게 참고히여 꼼꼼하게 재현했다. 때문에 비싼 입장료에도 원명원의 옛 모습이 어떠했는지 궁금해하는 관광객들이 많이 몰려 인기 관광지로 손꼽힌다. [[파일:중국 주하이 5.jpg]] [[파일:중국 주하이 4.jpg]] 남부 [[광둥성]] [[주하이]]에도 원명신원이 있는데, 원명원의 구조와 비슷하기는 하지만 위의 사례처럼 그대로 복원한 것은 아니고 자금성이나 천단 등의 요소를 추가하였다. 해당 정원의 건설 목적이 베이징을 방문하기 어려운 남중국쪽 주민들에게 고궁을 간접 경험시켜주기 위한 일종의 테마파크이기 때문이다. [각주] [[분류:중국의 관광지]][[분류:중국의 없어진 건축물]][[분류:중국의 문화재]][[분류: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분류:서태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