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모음 분류)] {{{+2 [[圓]][[脣]][[母]][[音]] / Rounded vowel}}} 소리를 낼 때, 입술(순)이 동그랗게(원) 된다고 해서 원순모음이다. [[한국어]]에서는 전설모음에 2개(ㅟ[y], ㅚ[ø̞][* 근래 들어서는 /wi/, /we̞/처럼 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화자가 많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허용 발음'''일 뿐, 표준은 아니다.], 후설모음에 2개(ㅜ[u], ㅗ[o])가 있다. 한국어의 원순모음은 영어의 원순모음과 다르게 입술을 앞으로 확실히 내밀고 발음한다. 원순 정도에 따라 압축과 돌출로 나눈다. 영어로 압축은 'compressed vowel', 돌출은 'protruded vowel'이라고 부르며 전설 원순 모음은 압축하는 것이, 중설, 후설 모음은 돌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래에 기호들도 압축/돌출 여부가 앞과 같지만 근저모음부터는 둘을 따지지 않는다. 중설, 후설 압축 모음의 [[일본어]],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등에서 볼 수 있다. 한국어의 방언에서 'ㅓ'를 완전한 원순도, 평순도 아닌 불완전한 모음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지만 압축 모음으로 표시하진 않는다. 자음에서도 원순화가 일어나는데, 이는 별개의 기호를 사용하지 않고 보조 기호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ᵝ/ᶹ, ʷ 2가지가 있는데, ᵝ/ᶹ는 입술이 돌출되지 않는 원순화를 나타내며, ʷ는 반대로 입술이 돌출되는 원순화를 뜻한다.  ̹는 [[결합 문자]]로 사용되며 모음의 원순화를 나타낸다.[* 한국어 표기에 사용되는 ʌ̹([[ㅓ]]) 등의 표기에 사용되어 '원순'''화'''되는 것(반원순)'을 의미함.] 똑같은 말을 평순모음보다 원순모음으로 변조해서 발음했을 때 더 귀여운 느낌을 주는 듯하다.[* 마찬가지로 마지막 말이 받침 없이 끝날 때 '[[ㅇ]]' [[이응체|받침을 추가하면]] 더 귀여운 느낌을 주기도 한다.] 현재 [[나무위키]]에는 모음에 대한 문서들이 입술의 모양에 따른 분류가 아닌 혀의 높이에 따른 분류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해당 문서들로 연결하는 것으로 대신한다. * [[고모음#전설원순|전설 원순 고모음]] /y/ * [[중고모음#전설원순|전설 원순 중고모음]] /ø/ * [[중모음#전설원순|전설 원순 중모음]] /ø̞/ * [[중저모음#전설원순|전설 원순 중저모음]] /œ/ * [[저모음#전설원순|전설 원순 저모음]] /ɶ/ * [[근고모음#근전설원순|근전설 원순 근고모음]] /ʏ/ * [[고모음#중설원순|중설 원순 고모음]] /ʉ/ * [[근고모음#중설원순|중설 원순 근고모음]] /ʊ̈/ * [[중고모음#중설원순|중설 원순 중고모음]] /ɵ/ * [[중저모음#중설원순|중설 원순 중저모음]] /ɞ/ * [[근고모음#근후설원순|근후설 원순 근고모음]] /ʊ/ * [[고모음#후설원순|후설 원순 고모음]] /u/ * [[중고모음#후설원순|후설 원순 중고모음]] /o/ * [[중모음#후설원순|후설 원순 중모음]] /o̞/ * [[중저모음#후설원순|후설 원순 중저모음]] /ɔ/ * [[저모음#후설원순|후설 원순 저모음]] /ɒ/ [[분류:음성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