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게임 쿠키런의 맵, rd1=쿠키런/스테이지/원시림, other2=연세대학교의 응원가, rd2=연세대학교/응원가/2000년 이전, paragraph2=7)] || [[파일:지리산 대륙폭포골.jpg|width=100%]] || || [[파일:지리산 칠선계곡 원시림.jpg|width=100%]] || || [[지리산]] 칠선계곡 원시림의 모습. 이 원시림은 1999년부터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된 상태이다. [[https://www.hani.co.kr/arti/PRINT/237308.html|칠선계곡 ‘지리산 최후 원시림’ 꼭꼭 숨어라!]] || [목차] == 개요 == 原始林.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은 채 자연상태 그대로를 유지하고 있는 [[숲]]을 말한다. [[영어]]로는 Old-growth forest라는 표현이 일반적으로 쓰이며, 달리 Primary forest, Virgin forest, First-growth forest 등으로도 표현한다. 경작은 물론이요, 인간이 다니는 길과 기타 숲의 식생에 대한 인위적인 간섭 또한 제한한다. 대부분의 자연 공원도 정부에서 보호하며 이런저런 관리를 하기에 제외되는 편이다. == 현황 == 현대에는 [[열대]] 지방의 [[밀림]]과 [[냉대기후|아한대]]의 [[타이가]]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브라질]], [[캐나다]], [[러시아]] 이 세 국가를 합친 원시림 넓이가 세계 원시림의 61%를 차지한다. 다만 [[아마조니아]]의 경우 통념과 달리 원시림이 아니라는 주장이 있다. [[원주민]]들이 오랜 세월 숲에 살면서 자연과 상호 작용하며 변화시켰다는 것. 게다가 나날이 열대우림을 개간하여 환경파괴 문제에 직면해 있기도 하다. [[아프리카]] 역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사하라 이남 지역]]은 원시림이 많았으나 근 몇 십년 동안 벌목과 천연자원 채취 등의 이유로 숲이 많이 파괴되었다. [[인도네시아]]와 [[파푸아뉴기니]] 지역 역시 [[팜유]] 생산을 위한 [[기름야자]] 재배로 인해 나무 절반 이상이 벌목되어 숲이 파괴된 상태이다. 의외로 [[유럽]]에도 극히 일부나마 일부 남아있다. [[폴란드]]와 [[벨라루스]] 국경에 위치한 [[벨로베즈스카야 숲|비아워비에자 숲]]이 바로 그것. 이곳은 자연의 보고 그 자체로, 양국의 [[국립공원]]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도 지정되어 있다. [[일본]]은 전쟁이 적지는 않았지만 대규모의 외침은 드물었기에 원시림이 꽤 남아 있다. [[시라카미 산지]]의 [[너도밤나무]] 숲이 대표적인 원시림이고 개척이 비교적 늦었던 [[홋카이도]] 일대에도 원시림이 상당히 남아 있다. 예전엔 [[한반도]]에도 원시림이 상당히 분포했었다. 남부의 일부 활엽수림이 그랬고, 근대까지도 북부의 [[개마고원]]과 [[백두산]] 등에 넓은 원시림이 있었다. 물론 [[일제강점기]], [[6.25 전쟁]], [[고난의 행군|북한 경제의 몰락]] 등을 거치면서 여러모로 많이 파괴되었다. 대한민국은 소빙기와 함께 서민들에게도 온돌이 보편화 되면서, 무분별한 벌목으로 숲이 많이 황폐화되었다. 이후 일제강점기때 [[녹화사업]]을 추진하였으나, 6.25 전쟁을 거치며 다시 황폐화되었고, 이후 다시 추진한 [[녹화사업]]을 거쳐서 대부분 [[은사시나무|인공 조림으로 숲을 채운 상태]]다. 처음부터 원시림으로 남은 곳은 [[제주도]]와 [[울릉도]] [[성인봉]]의 일부 지역[* 울릉 성인봉 원시림이라는 이름으로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천연기념물]] 제189호로 지정되어 있다.]과 [[강원특별자치도]] 일부,[* 특히 [[설악산]], 점봉산, [[방태산]], 곰배령으로 이어지는 [[태백산맥]] 중턱에는 원시림이 잘 보존되어있다.] [[지리산]] 일부 정도이다. [[비무장지대]]도 원시림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많지만 이곳도 사람의 손길이 닿았기 때문에 세간의 인식과는 달리 '''비무장지대는 원시림이 아니다.''' 천연림 정도의 표현이 적합하다. 현재 대한민국의 원시림 대부분은 [[대한민국의 국립공원|국립공원]], 또는 산림보호법에 의거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으로[* 산림 내 분포하는 식물의 유전자와 종 또는 산림생태계 보전을 위해 시ㆍ[[도지사]] 또는 지방산림청이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을 지정하고 있으며, 원시림ㆍ고산식물지대ㆍ희귀식물 자생지 등 7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 지정되어 보호받고있다. [[분류: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