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456754848175.jpg|width=100%]]}}}|| || [[1박 2일]]의 방송일은 일요일이다. 사진의 인물은 [[김종민]]. || [목차] [clearfix] == 설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5sYBQS-C5M)]}}} || >“무서운 얘기 하나 해드릴까요? '''내일 월요일이에요'''” >---- >드라마 <[[미생(드라마)|미생]]> 8회 중에서. 안영이가 장백기에게 月曜病 {{{#808080 | }}} Monday Blues[* [[Blue Monday]]라고도 부른다. Blue라는 단어는 [[파란색]]이라는 의미 뿐만 아니라 우울한, 침울한, 처진 상태를 의미하기도 한다.] [[휴일]]이 끝나고 [[평일]]이 시작될 때 나타나는 [[피로]] 등의 각종 [[방어기제]]. 의외로 [[표준국어대사전]]에 정식으로 실려있는 어휘이다.[[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pageSize=10&searchKeyword=%EC%9B%94%EC%9A%94%EB%B3%91|링크]] 게다가 일요병도 실려있다. 근본적인 원인은 [[노동]]이 힘들기 때문이다. 매번 오는 월요일을 싫어하는 사람은 많아도 매번 오는 휴일을 싫어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불타는 금요일]]이 그 예시. 하지만 평일의 시작이 다른 평일보다 유난히 더 힘든 이유는 주말동안 쉬면서 흐트러졌던 생활리듬과 앞으로 다가올 노동에 대한 심리적인 부담감 때문이다. 보통은 월요일이 평일의 시작인 곳이 많기 때문에 월요병이라고 부르지만, 노동 환경이나 문화에 따라 [[평일]]이 시작되는 요일이 다른 요일일 경우, 화요병~일요병[*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월요병과 일요병만이 실려있다. 일요병은 휴일 여가의 권태로 인한 허탈감 등의 의미가 있다. 일요일 저녁의 우울함과 거의 같은 뜻이다. 또한 월요일이 정기휴일인 곳에 근무하는 경우 화요병이 월요병을 대신한다.]등의 파생어가 쓰일 수 있다. 비슷한 증상으로는 [[방학]] 이후 찾아오는 [[개학]]병, 개강병과 [[명절]]이 돌아올 때마다 나타나는 [[명절증후군]]이 있다. 일요일 밤 방송의 마지막 코너가 끝날 때 [[조건반사]]적으로 허무감이나 [[현자타임]]을 느끼는 원인이기도 하다. 과거 [[대한민국]]에서는 《[[개그콘서트]]》가 전성기였을 때, 일요일 밤 마지막 시간대에 방송했기 때문에 개콘이 끝날 때 나오는 [[스티비 원더]]의 'Part Time Lover'나 이 프로그램의 마지막 코너인 [[봉숭아 학당(개그콘서트)|봉숭아 학당]]의 오프닝 음악 [[https://www.youtube.com/watch?v=GZGwR2NarWs|아이들의 합창]]([[보리울의 여름]] OST)를 들을 때 이 현상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 그 외 == * [[1970년대]] 신문 기사에도 등장하는 것으로 봐서는, 아마도 그 시절부터 쓰이던 단어인 듯하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702100020920102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7-02-10&officeId=00020&pageNo=1&printNo=17033&publishType=00020|기사]] 도시화로 말미암아 일요일에 쉬는 생활 패턴이 자리 잡은 시기가 1970년대라 그런 것으로 보인다. * [[가필드]]는 가필드 자신이 월요병이 아니라 월요일이 자신을 싫어한다고 항변하는데....꼭 진짜 같다. * [[네모바지 스폰지밥]]의 [[스폰지밥(네모바지 스폰지밥)|스폰지밥]]은 [[일 중독]]이어서 [[Thank Gosh It's Monday|오히려 좋다고 한다.]] * 또 [[브레드 이발소]]의 [[윌크]]도 월요일을 좋아한다. * 1999년~2000년 사이에 방영된 [[MBC]] '''월'''화 드라마 [[허준(드라마)|허준]]은 엄청난 인기를 구가하면서 오히려 허준을 보려고 월요일을 기다리는 진풍경이 벌어지기도 했다. * [[연합뉴스TV]]는 월요병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너무 심하면 일요일에 잠깐 출근해 일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라고 소개한 바 있다. [[https://www.yna.co.kr/view/MYH20131124007400038|#]] 당연히 이를 본 네티즌들은 황당하다는 반응이었다.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12778.html|#]] * [[트위터]]에는 '''‘월요일을 알리는 개새끼’'''라는 계정이 있었는데, 월요일 자정이 될 때마다 '''월월월월월월월'''거리며 짖는 트윗을 무려 '''7년 가량''' 남겨 왔다. 하지만 2021년 2월 22일에 본인이 첫 출근이라 0시에 못 짖었다며 사과했고, 트위터 계정은 폭파되었다. 대신 요즘은 월요일마다 타임라인에 인기 트렌드로 ''''개쓰레기요일''''이라는 트렌드가 올라온다. * [[Pixel Gun 3D]]의 무기 '총 계획자'[* gun이 아닌 total이다 [[언어유희]]인 듯]는 평소에는 스크린에 [[금요일|FRD]]를 띄우고 있지만 재장전 시 스크린이 빨간색으로 변하고 사이렌 소리가 나면서 글자가 [[월요일|'MON']]으로 바뀐다.[* 게임 개발자 시즌 무기다. [[큐빅게임즈|개발자]]들이 얼마나 월요일을 싫어하는지 알 수 있는 무기] * [[영국]] 벨파스트 건강 사회복지 트러스트와 [[아일랜드]] 왕립 외과의학의 심장병 전문의 공동 연구진에 따르면 일주일 중, [[심장마비]] 및 [[심근경색]]의 발병률이 높은 요일이 월요일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를 통해 월요병이라 불리는 블루먼데이 현상이 통계적으로 확인됐지만, 유독 월요일에 많이 발병하는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https://biz.chosun.com/science-chosun/medicine-health/2023/06/05/AILNKTVT4BCF3PBSXXRCMJQTGY/|관련 기사]] [각주] [include(틀:로그 누락 문서/기여자 내역, 문서명=월요병)] [[분류:월요일]][[분류:노동]][[분류:한자어]][[분류:로그 누락 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