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Webley Self-Loading Pistol}}}'''[br]''웨블리 자동권총''}}}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ebley_&_Scott_455_(6971800477).jpg|width=100%]]}}} || || '''종류''' ||[[자동권총]] || || '''원산지''' ||[[파일:영국 국기.svg|width=23]] [[영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10년]]~[[1942년]] || || '''개발''' ||웨블리 & 스콧 || || '''개발년도''' ||[[1910년]] || || '''생산''' ||웨블리 & 스콧 || || '''생산년도''' ||[[1910년]]~[[1932년]] || || '''사용국''' ||[[파일:영국 국기.svg|width=23]] [[영국]] || || '''사용된 전쟁''' ||[[제1차 세계 대전]][br][[제2차 세계 대전]] || ||<-2> {{{#White '''기종'''}}} || || '''파생형''' ||Mk. I[br]Mk. Iz || ||<-2> {{{#White '''제원'''}}} || || '''탄약''' ||.455 웨블리 오토[* 군용][br].32 ACP[* 경찰용] || || '''급탄''' ||7발들이 박스탄창 || || '''작동방식''' ||숏 리코일 || || '''총열길이''' ||127mm || || '''전장''' ||216mm || || '''중량''' ||1.13kg || || '''탄속''' ||236m/s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SDygkzGQR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ikxKhQD9ok)]}}} || ||<-2> [[Forgotten Weapons]]의 리뷰 및 사격영상 || [[영국]]에서 개발하고 사용한 군경용 [[자동권총]]. == 상세 == [[1910년]] 부터 생산되었으며 처음으로 채택된 곳은 [[런던광역경찰청]]이었다. 경찰청에서 채택된 모델은 .32ACP 탄을 사용하는 Mk. I이었다. 그 이후 [[1912년]] [[영국 해군]]에서 .455 웨블리 오토 탄을 사용하는 모델이 채택되었고 그에 따른 영국 박격포 기마부대와 [[영국 공군]]에서 똑같이 .455 웨블리 오토 탄을 사용하는 모델을 채택하여 [[제1차 세계 대전]]은 물론이고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사용하게 된다. 웨블리 이전에도 영국에서 자동권총으로 [[마스 권총]]을 채택하려는 의사가 있었으나, 실험을 치른 총이 별로여서 제식 채용에 실패하였다. 하지만 채택이 된 후 [[잼]]이 자주 걸리는 현상이 발생했는데 이는 .455 웨블리 오토 탄의 화약이 코르다이트였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였고 이후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사용하는 화약을 [[나이트로셀룰로스|면화약]]으로 바꾼 후 잼이 걸리는 문제는 많이 줄었으나 손잡이의 그립감이 이상해졌다고 한다. 화약을 [[나이트로셀룰로스|면화약]]으로 바꾼 모델은 Mk. Iz라고 제식명을 부여받았다. 초기형 모델은 안전장치가 공이 왼쪽에 있었지만 이후에 생산된 모델은 모두 총몸 왼쪽에 있었다. 군용 웨블리 또한 안전장치가 총몸에 있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1차 세계대전/연합군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영국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자동권총]][[분류:보병 무기/세계 대전]][[분류:1910년 출시]][[분류:1932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