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Webley–Fosbery}}}'''[br]''Webley–Fosbery Automatic Revolver''[br]''웨블리-포스베리 자동 리볼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Webley-Fosbery_1837.jpg|width=100%]]}}}|| || '''종류''' ||[[리볼버]] || || '''원산지''' ||[[파일:영국 국기.svg|width=23]] [[영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01년]]~[[1939년]] || || '''개발''' ||조지 V. 포스베리 || || '''개발년도''' ||[[1895년]] || || '''생산''' ||웨블리 & 스콧 || || '''생산년도''' ||[[1901년]]~[[1924년]] || || '''생산수''' ||4,750정 || || '''사용국''' ||[[파일:영국 국기.svg|width=23]] [[영국]][* 장병 개인 지참.] || || '''사용된 전쟁''' ||[[보어 전쟁]][br][[제1차 세계 대전]] || ||<-2> {{{#White '''기종'''}}} || || '''원형''' ||[[웨블리 리볼버]] || ||<-2> {{{#White '''제원'''}}} || || '''탄약''' ||.455 웨블리[br][[.38 ACP]] || || '''급탄''' ||중절식 6발(.455 웨블리) / 8발(.38 ACP)짜리 리볼버 실린더 || || '''작동방식''' ||반동 작동식 || || '''총열길이''' ||100mm || || '''전장''' ||280mm || || '''중량''' ||1.24kg || || '''탄속''' ||190m/s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zOm66SNmvo)]}}} || || Forgotten Weapons의 .38 ACP 버전 리뷰 영상. 무려 '''8연발'''이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2t2jdLDHHg)]}}}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EqkcVlzVSw)]}}} || ||<-2> [[Forgotten Weapons]]의 리뷰 및 사격 영상 || [[파일:cd7378ae5fea9fd4c306e84e955d095e.gif]] [[웨블리 리볼버]]의 파생형으로 세계 최초의 '''자동 리볼버'''라는 특징을 가졌다. 실린더의 지그재그 홈이 특징이다.[* 이 지그재그 홈의 용도는 격발시 반동력으로 회전탄창이 돌아가게 해주는 것이다.] .455 구경 버전 6연발과 . 38 ACP를 쓰는 8발들이 바리에이션이 있다. == 개발 == [[파일:external/68.media.tumblr.com/tumblr_ofejbtL2rm1sns7veo1_500.gif]] 작동방식.[* 물론 그냥 실린더가 이런 식으로 돌아간다 정도로만 이해해야 한다. 실제 포스베리는 저 짤과는 모양이 확실히 다르다.] 자동 권총의 초창기 시기였던 19세기 말, 빅토리아 훈장을 받은 군인이자 몇 가지 총기를 발명했던 조지 빈센트 포스베리 대령은, 반동을 이용하여 차탄이 장전되는 [[자동권총]]에 흥미를 느꼈지만, 초창기 자동권총의 상당수가 기계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었던 것에 문제 의식을 느꼈다. 따라서 당시 신뢰성을 보장하던 리볼버에 편리한 자동권총을 합친 새로운 무기를 개발하기 시작한다. 리볼버는 반동을 온전히 사용자가 흡수해야하고, 손가락 힘으로만 방아쇠를 당기고 실린더가 움직여서 차탄이 장전되는 방식이었기에 연사력과 명중률, 반동 면에서 불리했고 자동권총은 반동을 통해서 차탄이 장전되며 동시에 반동을 흡수하는 방식이었기에 명중률과 반동이 우월했다. 때문에 1895 ~ 1896년 사이에 [[콜트 싱글 액션 아미]]를 개조한 시제품이 완성되고, 나름 쓸만하다는 판단을 내려지자 당시 영국 권총계의 왕좌를 차지하고 있던 웨블리 사에 이 새로운 개념을 제안한다. 웨블리 사에서는 이 포스베리 대령의 아이디어를 당시 잘나가던 자사의 [[웨블리 리볼버|웨블리 & 스콧 리볼버]]에 적용하여 1900년 상용화를 시작한다. == 민간판매와 군에서의 운용 == 웨블리-포스베리 리볼버는 신기한 작동 방식 덕에 민간의 스포츠용 권총으로 팔려 나가기 시작했고, [[보어 전쟁]]때부터 영국 육군과 해군에 실험적인 목적으로 소수가 판매 되기도 했다. 그러나 곧 사용자들의 불평이 이어지기 시작했다. 일단 반동에 의한 작동기구의 부피와 무게가 일반적인 [[자동권총]] 보다 크고 무거워 초탄 장전을 위해 힘이 많이 드는데다가, 작동기구가 너무 뻑뻑하고, 방아쇠 압력도 지나치게 무거우며, 반동을 이용하여 리볼버 탄창을 작동시키는 구조 때문에 한손 사격시에는 명중률이 떨어진다는 점등이 지적 되었다. 여기까지는 민간 사용자들의 불만이었지만... 군에서 운용해본 결과, 리볼버의 적은 장탄수 + 당시 자동권총보다 떨어지는 낮은 신뢰성과 명중률 + 복잡한 작동구조로 인한 고장율의 증가로 군에서 도저히 쓸 수 없는 물건이었다. 방아쇠만 당기면 회전탄창이 돌아가 불발이 나와도 다음 탄을 쏠 수 있는 리볼버와는 달리, 반동에 의한 작동기구에 의해 재장전이 되는 구조 때문에 불발탄이 있으면 차탄이 장전되지않는 자동권총의 약점을 그대로 갖고 있었고, 상자형 탄창으로 빠르게 재장전이 되는 자동권총의 장점도 못살리고, 지나치게 복잡한 작동기구 덕에 기계적 신뢰성도 낮고, 진흙과 물에 의한 오염에도 취약했던 것이다. 결론적으로 리볼버의 신뢰성과 반동으로 장전되는 자동 권총의 편리성을 합쳐보려는 이상적인 목적으로 설계되었으나 [[현실은 시궁창]]. 서로의 장점을 합쳐보려 했으나 단점만 합쳐졌고, 여기에 덤으로 신뢰성까지 부실한 괴작이 탄생하고 말았다. 심지어 공교롭게도 이 리볼버에 호환하는 탄환 중 하나인 .38 ACP는 이 리볼버와 마찬가지로, 리볼버와 자동권총의 장점을 모두 취하려는 세미 림드 탄환이다. 하지만 이 탄환 역시 별로 이점도 없이 어정쩡해서 지금은 잘 안 쓰는 탄환이다. 결국 군에서의 정식채용 같은 것은 없었고, 경찰조직에서도 거들떠 보지 않았으며, 극소수가 연합군 장교들의 개인물건으로 전장에 돌아다녔을 뿐이었다. 웨블리사에서는 1924년까지 생산을 이어 가기는 했으나 총 생산량은 5000정 내외에 불과한 실패작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39년까지 자사 카탈로그에 실려 있었다고 한다. ==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 === 영화 / 애니메이션 === [[파일:external/4.bp.blogspot.com/792px-TMF_3.jpg|width=400]] * [[느와르]]의 고전영화 '[[몰타의 매(영화)|몰타의 매]]' 에서 등장. * [[세계 최고의 암살자, 이세계 귀족으로 전생하다(애니메이션 1기)|세계 최고의 암살자, 이세계 귀족으로 전생하다 1기]] 1화에서 타르트가 사용한다. * 1974년작 괴작 SF영화 [[자도즈]] (Zardoz) 에서 주연인 [[숀 코너리]]의 주무기로 등장한다. [[파일:웨블리-포스베리.gif]] * 애니메이션 [[프린세스 프린서플]]의 [[안제(프린세스 프린서플)|안제]]가 작가진의 잘 알려진 괴악한 총기선정 센스탓인지 첫화 추격씬에서 웨블리 포스베리 리볼버를 사용한다. 이후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해당 움짤이 꽤 관심을 받았다. 위에 언급했듯 실총은 한손 사격 명중률이 그리 좋지 못하지만 안제는 항상 한손으로만 쏜다.[* 어쩌면 20세기 중반까지 정석적인 권총 사격술은 한 손 사격이었다는 것을 고증한 것 일수도 있다.] === 게임 === * [[배틀필드 1]]에서 멀쩡한 원본을 제치고 먼저 등장했다. 의무병 전용 무장으로 등장한다. * [[베르됭(게임)]]에서 ANZAC 군이 일반 웨블리 리볼버와 함께 들고 나온다. * [[아카츠키 전광전기]]의 등장인물 중 하나인 [[아노님]]이 들고 있는 리볼버 두 정이 이 총이다. * [[패솔로직 2]]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기 중 하나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2차 보어전쟁/영국 보병장비)] [include(틀:1차 세계대전/연합군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리볼버]][[분류:보병 무기/세계 대전]][[분류:1901년 출시]][[분류:1924년 단종]][[분류:자동권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