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앨범)] ---- ||<-2> '''{{{+1 웨스 몽고메리}}}[br]Wes Montgomer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Wes_Montgomery_(1967_Gibson_portrait).jpg|width=100%]]}}} || || '''본명''' ||존 레슬리 몽고메리[br]John Leslie Montgomery|| ||<|2> '''출생''' ||1923년 3월 6일|| ||[[미국]] [[인디애나 주]] [[인디애나폴리스]]|| ||<|2> '''사망''' ||1968년 6월 15일 (향년 45세)|| ||[[미국]] [[인디애나 주]] [[인디애나폴리스]]|| || '''직업''' ||기타리스트|| || '''장르''' ||[[재즈]]|| || '''활동''' ||1947년 ~ 1968년|| || '''링크''' ||[[http://www.wesmontgomery.com/|공식 사이트]]||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재즈 기타리스트다. 재즈사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타 연주자로 거론된다. == 생애 == 웨스 몽고메리는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에서 1923년 3윌 6일 태어났다. 웨스라는 이름은 그의 중간 이름인 레슬리의 애칭이었다. 부모는 그가 어릴 때 이혼했으며 웨스와 형제들은 오하이오주 콜럼버스로 이사했다. 그리고 그 곳에서 고등학교를 다녔다, 웨스의 형 몽크는 석탄과 얼음을 팔기 위해 일찍 학교를 중퇴했다. 그리고 돈을 꽤 벌어 전당포에서 산 4현 테너 기타를 웨스에게 선물해주는데 이게 웨스가 기타를 처음 접한 계기이다. 수 년 동안 그 기타로 연습을 했으나 이후 그가 말하길 6현 기타를 갖게 되고 다시 기타를 처음부터 익히기 위해 애를 썼다고 한다. 이후 가족은 인디애나폴리스로 돌아왔고 웨스는 용접공 자리를 얻고 1943년 결혼하였다. 그는 댄스 파티에서 찰리 크리스쳔의 음반을 처음 들었고 다음 날 바로 6현 기타를 샀다고 한다. 그리고 그는 찰리 크리스쳔의 음악을 따라하려 독학을 이어갔다. 20살이 되었을 즈음 그는 낮에는 우유 공장에서 일하고 밤에는 클럽에서 찰리 크리스쳔의 곡을 연주했다. 1948년 라이오넬 햄튼이 인디애나폴리스에 공연을 하러 왔을 때 기타리스트를 찾고 있었는데 웨스 몽고메리를 만나게 되면서 그를 고용했다. 그렇게 그의 음악인 커리어가 시작되었다. 웨스는 라이오넬 햄튼과 2년을 일했고 이후 인디애나폴리스로 돌아와 [[에디 히긴스]], 로저 존스와 연주를 했다. 1957년 이후 몽고메리는 형제들과 서쪽으로 가 퍼시픽 재즈와 계약하고 많은 녹음 세션을 진행했다. 이후 형제들과 몽고메리 브라더스라는 밴드를 조직했고 1958년 발매된 음반에서 처음으로 그의 상징이 되는 엄지피킹 사운드를 선보인다. 그는 낮에는 용접공으로 일하며 아내와 7명의 아이들을 부양하고 밤에는 클럽들에서 연주를 이어갔다. 그의 연주에 감명 받은 [[캐넌볼 애덜리]]는 그를 [[리버사이드 레코드]]로 이적시켰다. 그리고 거기서 그의 첫 리더작을 녹음하게 된다. 1960년대부터는 재즈 페스티벌에서 공연하고 [[마일스 데이비스]], [[존 콜트레인]] 등과 협연하며 거장 반열에 올라섰다. 1960년대 후반에는 팝 연주곡 앨범을 발매하기도 했다. 이는 재즈팬들에게 실망감을 주었다. 1968년 6월 5일 심장마비로 사망하였다. == 평가 == 비밥과 함께 모던재즈가 시작된 이후 기타라는 악기는 중요한 혁명가들에 의해 악기의 위상이 올라갔다. 그 첫번째가 [[찰리 크리스찬]]이고 찰리 크리스찬을 정통으로 잇는 기타리스트가 웨스 몽고메리이다. 탄탄한 비밥라인과 임프로바이제이션과 더불어 옥타브 주법과 같이 기타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개성을 더하는 테크닉의 개발을 하는 그는 혁명가였다. 특히 그가 만들어낸 엄지 피킹은 공장 일을 마치고 야밤에 가족들을 깨우지 않고 기타 연습을 하기 위해 그가 고안한 방법인데 이는 되려 기타의 톤을 풍성하게 만들어주는 효과를 낳게 되었다. 웨스 몽고메리의 엄지 피킹은 단순히 다운 피킹만 하는 게 아니라 업 피킹도 하기 때문에 습득하기 매우 어려운 주법중 하나다. 웨스 몽고메리의 기타 연주는 후대 재즈 기타리스트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조지 벤슨]], 팻 마티노, [[리 릿나워]], [[팻 메스니]], [[조 패스]]등이 그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다. == 디스코그래피 == 1959 The Wes Montgomery Trio ([[리버사이드 레코드|Riverside]]) 1960 [[The Incredible Jazz Guitar of Wes Montgomery]] ([[리버사이드 레코드|Riverside]]) 1960 Movin' Along ([[리버사이드 레코드|Riverside]]) 1961 So Much Guitar ([[리버사이드 레코드|Riverside]]) 1962 Full House ([[리버사이드 레코드|Riverside]]) 1962 Bags Meets Wes! with Milt Jackson ([[리버사이드 레코드|Riverside]]) 1963 Boss Guitar ([[리버사이드 레코드|Riverside]]) 1963 Fusion! Wes Montgomery with Strings ([[리버사이드 레코드|Riverside]]) 1963 Portrait of Wes 1964 Guitar on the Go ([[리버사이드 레코드|Riverside]]) 1964 Movin' Wes (Verve) 1965 Bumpin' (Verve) 1965 Smokin' at the Half Note with Wynton Kelly (Verve) 1966 Goin' Out of My Head (Verve) 1966 California Dreaming (Verve) 1966 Tequila (Verve) 1966 Jimmy & Wes: The Dynamic Duo with Jimmy Smith (Verve) 1967 A Day in the Life (A&M) 1968 Down Here on the Ground (A&M) 1968 Road Song (A&M) 1969 Further Adventures of Jimmy and Wes with Jimmy Smith (Verve) 1969 Willow Weep for Me (Verve) [[분류:미국의 재즈 아티스트]][[분류:미국의 기타리스트]][[분류:재즈 기타리스트]][[분류:1923년 출생]][[분류:1947년 데뷔]][[분류:1968년 사망]][[분류:인디애나폴리스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