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어 위키)] [include(틀:한국어 위키/위키미디어)] ||<-2> {{{+1 '''위키문헌'''}}}[br] || ||<-2> {{{#!wiki style="margin: 10px" [[파일:영어 위키문헌 로고.svg|width=60%]]}}} || || '''사이트 종류''' ||[[위키위키]]|| || '''위키 엔진''' ||[[미디어위키]] || || '''개설일''' ||[[2003년]] [[11월 24일]] ^^([age(2003-11-24)]주년)^^ || || '''사용 언어''' ||74개 || || '''회원가입''' ||선택 || || '''영리 여부''' ||'''비영리''' || || '''소유자''' ||[[위키미디어 재단]] || || '''라이선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CC BY-SA 4.0]]''' || || '''현재 상태''' ||운영 중 || || '''관련 사이트''' ||[[https://wikisource.org/wiki/Main_Pag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공식 홈페이지]][br][[https://ko.wikisource.org/wiki/|[[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한국어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위키문헌'''(Wikisource)은 [[위키미디어 재단]] 산하의 프로젝트 중 하나로, [[위키백과]]의 자매 프로젝트이다. == 상세 == 여기는 저작권이 자유인[* 즉, 저작권이 없거나 GFDL 등]텍스트 자료들을 모으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간단히 말해서 일종의 전자 [[도서관]]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최대 규모인 [[폴란드어]]판에는 885,629개의 문서가 있고, [[한국어]]판에는 19,377개의 문서가 있다(2021년 3월 21일 기준).[[http://meta.wikimedia.org/wiki/Wikisource|#]] 한국어판의 구 명칭은 '''위키자료집'''이었으나, [[위키미디어 공용]] 같은 [[파일]] 자료실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은 데다가 위키문헌 내가 아닌 위키백과에서 정해진 것이었기 때문에, 이후 합의를 통해 '''위키문헌'''으로 다시 정해졌다. 영어판을 비롯한 위키문헌의 몇몇 언어판에서 서브 프로젝트로 '''[[위키프로젝트]]'''(WikiProject)라는 걸 두는데[* 몇몇 [[위키백과]]에도 위키프로젝트가 있다. 영어판, 한국어판 위키백과가 예.] [[나무위키:프로젝트|나무위키 프로젝트]]의 원조격으로 볼 수 있다. 한국어 위키문헌에는 아직 위키프로젝트가 없다. 한국어 위키문헌은 위키백과를 제외한 다른 위키미디어 자매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존재감이 없었다. 심지어는 위키백과 내에서도 '위키백과에 올리기 뭣한 1차자료들 모으는 곳' 정도로만 인식되는 편었는데... 다행히도 [[Daum]]에서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을 기증받고 본격적인 문서 생성이 빨라지면서 꾸준히 성장하는 중이다. 1년 반동안 350개 올라오던 시절에서 벗어난 지 오래, 2015년 12월~2016년 4월 기준 늘어난 문서 수는 1500개 정도로 비교적 나아진 편이며, 한국어판에서는 위키백과를 제외한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중에서는 위키낱말사전에 이어 가장 활발한 참여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어]]나 [[한문]]으로 쓰여진 한국 [[고전소설]]의 원문은 구하기도 힘든 데 반해 [[https://zh.wikisource.org/wiki/Wikisource:%E9%A6%96%E9%A1%B5|중국어 위키문고]][* 여기선 위키문헌을 위키문고라고 부른다.]의 경우 [[한문]]으로 쓰인 고전문헌에 익숙한 덕분인지 2021년 3월 21일 기준으로 360,564편의 문헌자료가 존재하며 전 세계 위키문헌 순위에서도 6위다.[[https://zh.wikisource.org/wiki/Special:%E7%BB%9F%E8%AE%A1|#]] 한문에만 익숙하다면 여기 올려진 [[사서오경]], 흠정 [[24사]]와 기타 정사서 [[동관한기]], [[신원사]], [[청사고]]를 읽을 수 있고 [[자치통감]]을 원본이나 호삼성 음주로도 마음껏 읽을 수도 있고 여기에 올려져 있는 [[사고전서]] 수록 서적들을 살펴볼 수도 있다. 또한 중국 문헌이 아닌 한문 문헌 중에서도 중요도가 높은 문헌이 수록된 경우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삼국사기]]나 [[고려사]], [[일본서기]]를 비롯한 일본 [[육국사]] 등이 수록되어 있다. 위키문헌에 실린 작품은 [[현진건]], [[김유정(소설가)|김유정]] 등 [[저작권]]이 만료된 [[대한민국]] 작가들의 작품을 수록하거나, [[성경]]의 한국어 번역본 내용을 판별(1911년 대영성서공회에서 출판한 최초의 한글 완역 《[[https://ko.m.wikisource.org/wiki/%EC%85%A9%EA%B2%BD%EC%A0%BC%EC%85%94|셩경젼셔]]》, 1938년에 이를 개정한 《[[https://ko.m.wikisource.org/wiki/%EC%85%A9%EA%B2%BD_%EA%B0%9C%EC%97%AD|셩경 개역]]》, 1961년의 [[https://ko.m.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D%95%9C%EA%B8%80%ED%8C%90|개역한글판]]과 1이를 한자어로 번역하여 1963년 출판한 [[https://ko.m.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A%B0%84%EC%9D%B4%EA%B5%AD%ED%95%9C%EB%AC%B8%ED%95%9C%EA%B8%80%ED%8C%90|개역간이국한문한글판]] 등)로 수록하거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등재 문서를 옮기거나, 저작권이 만료된 다른 언어권 작가들의 작품 [[번역]]과 법과 판례 등이다. 최근엔 법 등재 활동이 상당히 활발하다. 또한 [[https://ko.m.wikisource.org/wiki/%EC%9C%84%ED%82%A4%EB%AC%B8%ED%97%8C:%EC%98%9B%ED%95%9C%EA%B8%80_%EB%AC%B8%ED%97%8C_%EC%A0%84%EC%9E%90%ED%99%94_%ED%94%84%EB%A1%9C%EC%A0%9D%ED%8A%B8/2023%EB%85%84_%EC%83%81%EB%B0%98%EA%B8%B0|봉사 활동]](봉사 시간이 주어진다)의 일환으로 위키문법을 이용해 고전 문헌을 디지털화하는 작업이 활발해지고 있다. 생각보다 자료량이 많다. [[노자]]의 《[[도덕경]]》 원문도 실려있다. 소설 전문(全文)이 필요한 [[교사]]라거나 공부가 필요한 [[학생]]들은 참고해보는 것도 괜찮다. 한 예시로, 김유정의 〈[[동백꽃]]〉은 [[http://ko.wikisource.org/wiki/%EB%8F%99%EB%B0%B1%EA%BD%83|여기로]] 다른 언어판과 다르게 한국어판은 [[법]]([[헌법]], [[법률]], [[규칙]], [[조례]] 등)과 판례 관련 문서가 유난히 많다. [[https://ko.wikisource.org/wiki/특수:새문서|여기]]에서 새로 추가되는 문서들을 볼 수 있다. 2018년 1월 5일 오후 9시 30분 39초 한국어 위키문헌을 [[WikiStat]]에서 보여주기 시작했다. [[분류:위키미디어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