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우주|Universe]]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주)] == 노래 == * 2015.08.13. [[UnivEarth]] - 리듬게임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의 수록곡 * 2019.04.03. [[Universe(황민현)|Universe (별의 언어)]] - 가수 [[황민현]]의 디지털 싱글 * 2019.11.14. [[reality in BLACK#Universe|Universe]] - 걸그룹 [[마마무]]의 [[reality in BLACK|정규 2집]] 수록곡 * 2019.02.19: [[[12:00\]#s-3.5|Universe]] - 대한민국 걸그룹 [[이달의 소녀]]의 미니 3집 [[[12:00\]]] 수록곡 * 2021.01.09. [[Universe (Official髭男dism)|Universe]] - 일본 밴드 [[Official髭男dism]]의 5번째 싱글 * 2021.04.15. [[Youniverse|Universe]] - 보이그룹 [[DKZ]]의 싱글 4집 * 2021.12.14. [[Universe(NCT)#Universe (Let's Play Ball)|Universe (Let's Play Ball)]] - 보이그룹 [[NCT]]의 [[Universe(NCT)|정규 3집]] 타이틀곡 * 2022.04.20. [[YOUNI-BIRTH#YOUNI-BIRTH]] - 보이그룹 [[YOUNITE]]의 [[YOUNI-BIRTH|미니 1집]] 수록곡 == 앨범 == * 2017.12.26. [[Universe(EXO)|Universe]] - 보이그룹 [[EXO]]의 겨울 스페셜 앨범 * 2019.04.03. [[Universe(황민현)|Universe]] - 가수 [[황민현]]의 디지털 싱글 * 2021.12.14. [[Universe(NCT)|Universe]] - 보이그룹 [[NCT]]의 정규 3집 * 2022.04.20. [[YOUNI-BIRTH]] - 보이그룹 [[YOUNITE]]의 미니 1집 == 기타 == === [[현대 유니버스|현대자동차의 리어엔진 버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현대 유니버스)] === [[위니베르|글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위니베르)] === [[유니버스(웹툰)|웹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유니버스(웹툰))] === [[UNIVERSE(펜타곤)|펜타곤의 팬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UNIVERSE(펜타곤))] === [[UNIVERSE(플랫폼)|엔씨소프트의 K-POP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UNIVERSE(플랫폼))] === [[김헌곤 유니버스|김헌곤의 별명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헌곤 유니버스)] == 창작물 == === [[유니버스(서브컬처)|창작물 속의 가상의 세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유니버스(서브컬처))] === [[∀ 건담]]의 [[명대사]] === [[∀ 건담]]의 등장인물 [[하리 오드]]의 [[명대사]](?). 49화 35초쯤에 나온다. 최종 결전에서 [[김 깅가남]]의 [[턴 엑스]]를 공격하며 외친 말이다. I 필드 배리어로 턴 엑스의 움직임을 묶으려 했지만 깅가남은 "이 턴 엑스 대단해! 역시 턴A의 형님! 스모의 에너지도 모두 흡수하고 있다! 알고는 있는 거냐, [[하리 오드]]!"라며 씹어버린다. '''그래도 돌격하며 한 대사.''' [[∀ 건담]]에서 파생되어 일반에 정착한 대표 격인 단어 [[흑역사]]처럼 널리 쓰이지는 않지만 아는 사람들은 일상에서 가끔 뜬금없이 '유니버스!'라고 외친다. 사실 [[문 레이스]]가 흔히 쓰는 감탄사라고 하며, 극장판에서는 [[로랑 세아크]]도 이 말을 외쳤다. 전투 중에 외친 걸 보면 감탄사로만 아니라 전투구호로도 널리 쓰이는 모양이다. 이후 각종 게임에서 재현되며 하리를 대표하는 대사가 되었다. [[슈퍼로봇대전 OGs]]에서는 [[게슈펜스트 Mk-II#s-2|게슈펜스트 Mk-II 타입 S]]에 [[레첼 파인슈메커]]를 태워 [[궁극 게슈펜스트 킥]]을 사용하면 '''[[https://youtu.be/9DX_IaXs5YQ?t=55s|유니버어어어설!!]]''' 이라고 외친다. 레첼의 성우가 하리와 같은 [[이나다 테츠]]임을 이용한 [[성우개그]]. [[나는 친구가 적다]]의 [[시구마 리카]]가 외치는 명대사이기도 하다. 정확히는 리카가 [[하리 오드]]가 하던 걸 패러디하는 것이지만. 다만 애니에서 [[후쿠엔 미사토|담당 성우]]의 강렬한 톤이 인상 깊은지라 그 작품에서 [[카시와자키 페가수스|이 배역]]으로 출연하던 [[오키아유 료타로]]도 [[이나다 테츠]]에게 이 연기를 들려주고 싶었다고 말했을 정도다. === [[페르소나 3]]의 개념 === 마지막 싸움에서 [[페르소나3]]의 [[주인공(페르소나 3)|주인공]]이 커뮤니티(유대)의 힘으로 얻은 '''모든 것의 시작이자 끝인 힘'''. 각성 페르소나인 메사이어가 스토리에서 직접 등장이 없고 최후의 전투에서 메사이어 대신 유니버스를 깨우쳐 유니버스를 사용해 싸운단 점에서 페르소나 능력은 아니나 사실상 메사이어를 대신해 각성 페르소나의 위치를 가져갔다. === [[뮤(로드 오브 히어로즈)|로드 오브 히어로즈에 등장하는 초지능 인공위성]]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뮤(로드 오브 히어로즈))]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세계관, version=395)] [[분류:영어 단어]][[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