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만화]]나 [[애니메이션]]쪽은 게임과는 미묘하게 사정이 달라[* 게임에서는 시스템 변화의 영향력이 있으나, 만화나 애니메이션쪽은 단순한 '표현'영역 속에서 판가름된다는 게 그 중 하나다.] '비슷하지만 독립적 작품성이 인정되는' 경우가 적다. 같은 제작자, 혹은 후속작이라면 모를까. 그래서 [[게임]]쪽과 비교하면 [[패러디]]라거나 [[오마주]]라는 말이 많이 쓰이고, 특정 작품에 영향을 받은 파생작의 계보가 뚜렷한 편이다. 하지만 [[표절]] 문서에도 나와있듯, 잘 만들어야 한다. 재해석과 재구축에 실패한 것이라면 그것이 패러디의 의도를 지녔든, 오마주의 의도를 지녔든 그저 표절일 뿐이다. == 작품 목록 == === 유사성의 중심에 있는 작품 === ==== [[죠죠의 기묘한 모험]] ==== [[능력자 배틀물|능력자 배틀]]물의 중심에 있는 작품. [[헌터×헌터]]나 [[원피스(만화)|원피스]] 등 많은 작품들이 영향을 받았다. 본작은 [[게임]]에도 적잖은 영향력을 미쳤다. * [[스파2]]의 [[가일]]은 본작2부의 [[루돌 폰 슈트로하임]]의 영향을 받았다. * [[KOF]]의 [[니카이도 베니마루]]는 본작 3부의 [[장 피에르 폴나레프]]의 영향을 받았다. === 전체적으로 베꼈다고 취급되는 작품 === ==== 공인된 경우 ==== 특히 [[만화]]같은 경우, 개인 레벨에서 찍어낼 수 있고 작품은 쏟아져 나오기 때문에, 법적으로 걸고 넘어지면 넘어트릴 수 있으나 그렇게 되지 않고 있는 경우가 많다. 정말로 법적 판결이 난 작품이라면 각각 따로 표기. * [[이로마]]의 한국 만화 [[악바리]]는 [[으랏차차 짠돌이네]]의 표절로 드러났고, 이후 이로마는 책임을 지고 만화쪽에서 완전히 물러났'''었'''다. * 배금택의 한국 만화 [[Y세대 제갈공두]]는 [[크레용 신짱]]의 표절. 제갈공두 해당 문서를 보면, 결말이 꽤 자아비판적이다(...). ==== 의혹만 받고 있는 경우 ==== * [[위치 헌터]] - 전체적이라기보단 다른 작품들 부분부분이지만, 그게 워낙 많아서(...) * [[아웃복서]] - [[더 파이팅]]을 그냥 그대로 [[트레이싱]]한 장면들이 난무하는 작품. 특이하게 더 파이팅을 좌우반전 된 형태로 트레이싱 해 넣었는데(즉, 더 파이팅의 그림을 좌우반전하면 아웃복서와 일치) 이는 좌우반전된 형태로 출간된 해적판을 트레이싱했기 때문이다(...). 애초에 장태관이라는 만화가 자체가 저작권 등에 별 관심이 없는, 소위 말하는 대본소 작가인지라.. * [[썅년의 미학]] - [[저스툰코미코|저스툰]]에서 연재하고 있는 [[웹툰]]으로 [[아라사짱 시리즈]] [[그림체]]와 [[4컷만화]]라는 구성을 베끼다시피했다. 하지만 저스툰이 상대적으로 주목도가 낮고 무엇보다도 의혹과는 별개로 '''단행본이 대박을 나서''' 웹툰 플랫폼과 출판사 모두 쉬쉬하고 있는 상태.[* 연재하는 웹툰 플랫폼인 [[저스툰코미코|저스툰]]이 단행본을 발매한 출판사 위즈덤하우스에서 운영하는 곳이다. 사실상 한통속] 덤으로 '''[[일본]] 진출 예정'''에 단행본 후속작 제목은 썅년의 미학 플러스라고 해서 대놓고 아라사짱 시리즈를 의식했다.[* 아라사짱 무수정의 국내정발명은 '''아라사의 달콤한 일상 플러스'''] === 일부 요소가 유사한 작품 === * 고독한 참수자 - [[이노센트(만화)|이노센트]] : 두 작품 모두 [[참수형]]을 주로 집행했던 실존 사형집행인의 일생을 다룬 작품이다. 소재도 유사하거니와 연출 방식에도 유사한 점이 많다. * [[꾸러기 수비대]] - [[12영웅전사]] * [[괴도 세인트테일]] - [[신풍괴도 잔느]] * [[기동전사 건담]]의 [[빔 사벨]], [[우주형사 갸반]]의 레이저 블레이드는 [[스타워즈]]의 [[라이트세이버]]에서 가져왔다고 한다. * [[낙제 기사의 영웅담]]과 [[학전도시 애스터리스크]]는 [[https://i.imgur.com/1jrnBDm.jpg|도입부의 진행이 거의 똑같다(...).]] ~~[[수렴진화]]~~ * [[디즈니]]의 [[라이온 킹]]은, [[데즈카 오사무]]의 [[밀림의 왕자 레오]]를 모방했다는 논란에 휩싸인 적이 있다. * [[디즈니]]의 [[타잔(애니메이션)|타잔]]과 [[Key(브랜드)|Key]]의 [[CLANNAD]]는 '가족애'가 주된 요소이다 보니~~ 의외로~~ 공통점이 많다(...). 다만 [[라이온 킹]]의 경우와는 달리 큰 줄기가 비슷한것이 아닌, 그저 비슷한 주제를 쓰다보니 우연히 비슷한 요소가 들어가게 된것 뿐이지 [[클라나드]]가 [[타잔(애니메이션)|타잔]]을 배꼈다고 볼 수는 없다. 다만 서양권에서 [[타잔(애니메이션)|타잔]]의 [[In My Heart]]+[[오카자키 토모야]] 관련 매드무비를 종종 볼 수는 있다. * [[로보트 킹]]의 주인공 로봇은 [[자이언트 로보]]의 [[GR2]]와 유사하게 생겼다. * [[봉신연의(만화)]] - [[아카메가 벤다!]] : 부패한 정권을 처단하고 새로운 정권을 새운다는 중심 주제가 닮았으며, 봉신연의의 경우 [[보패]], [[아카메가 벤다!]]의 경우 [[제구(아카메가 벤다!)|제구]]라고 불리우는 특수 능력을 가진 사용자 맞춤형 아이템을 활용한다는 설정이 비슷하다. * [[북두의 권]]의 경우, 비쥬얼적으로는 [[매드 맥스]]등 당시 인기있던 것들의 모양을 굉장히 많이 가져왔다. 하지만 강렬한 오리지널 요소로 인해 표절작으로 취급받지는 않고, 오히려 북두의 권에서 모티브를 가져간 수많은 파생작들을 낳았다. 자세히는 [[북두의 권]]항목에 더 볼 수 있다. * [[안녕 자두야]] - [[반지 시리즈]] - [[파파독 시리즈]] 일상물, 코미디 만화라는 점과 등장인물들이 SD로 이루어져 있는 점이 비슷하다. 안녕 자두야가 전체적인 현실적인 내용이 많다면 파파독은 주인공의 아버지가 개가 되었다는 비현실적 요소가 가미되었지만 내용은 연애 플래그가 얼마 없으며 반지 시리즈는 연애 플래그가 가득하고 알록달록한 색으로 칠해져 나온다. * [[엔젤전설]] - [[엘리트 건달]] * [[엽기 삼국지]] - [[대화삼국]] 뒤집어지는 내용의 삼국지 파생작이라는 점, 2000년대 초반에 만들어졌다는 점과 [[삼국지덕후]]들에게도 크게 알려지지 않은 애니메이션이라는 점이 유사하다. * [[자고로 영웅은 소년에게서 나온다]] - [[이야기 여행]]: 둘 다 위인전, 역사 소재 2D 애니이며 80화도 훨씬 넘게 방영했다. * 초대 [[태권V]]의 디자인은, [[마징가Z]]와 굉장히 유사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하지만 그 시기에 그런 원통형 로봇은 [[철인 28호]]나 [[겟타로보]]등 유행타는 형상의 하나였기 때문에 어느정도 피할 구멍은 있다. 단, '''슈퍼 태권V는 답이 없다.''' * [[터닝메카드]] - [[듀비카]], [[조디악 나이츠(중국 애니메이션)|조디악 나이츠]] * [[톰과 제리]] - The Cat Concerto, [[루니 툰]] - Rhapsody Rabbit : 주인공(톰, 벅스 버니)이 피아노로 연주하는 곡과 줄거리 구성 면에서 서로 흡사한 점들이 있어 개봉 당시 표절 논란이 빚어진 적도 있었다. * [[히어로 스쿨Z]] - [[히어로 써클]]: 카툰풍의 그림체에 주역들이 히어로를 맡게 되고 주인공보다는 다른 등장인물들이 부각되는 점이 비슷하다. [[분류:만화]][[분류: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