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록맨 시리즈)] ||<-2>
{{{#ffffff,#ffffff '''{{{+1 유성의 록맨 트라이브}}}''' (2007~2008)[br]流星のロックマントライブ[br]Shooting Star Rockman Trib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ID0033710.pn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ffffff,#ffffff 장르}}}''' ||[[사이언스 픽션|SF]], [[액션]] || || '''{{{#ffffff,#ffffff 원안}}}''' ||[[캡콤]] || || '''{{{#ffffff,#ffffff 감독}}}''' ||[[카토 타카오]] || || '''{{{#ffffff,#ffffff 시리즈 구성}}}''' ||아라키 켄이치(荒木憲一) || || '''{{{#ffffff,#ffffff 캐릭터 디자인}}}''' ||[[아다치 신고]] || || '''{{{#ffffff,#ffffff 프롭 디자인}}}''' ||[[치카오카 스나오]] || || '''{{{#ffffff,#ffffff 미술 감독}}}''' ||코야마 토시히사(小山俊久) || || '''{{{#ffffff,#ffffff 색채 설계}}}''' ||마츠오카 타마에(松岡珠江) || || '''{{{#ffffff,#ffffff 촬영 감독}}}''' ||히로세 카츠토시(広瀬勝利) || || '''{{{#ffffff,#ffffff 3D CG 감독}}}''' ||[[쇼가쿠칸|쇼가쿠칸 뮤직&디지털 엔터테인먼트]] || || '''{{{#ffffff,#ffffff 편집}}}''' ||하기노 쿄코(萩野郷子) || || '''{{{#ffffff,#ffffff 음악}}}''' ||나루세 슌헤이(鳴瀬シュウヘイ) || || '''{{{#ffffff,#ffffff 음향 감독}}}''' ||와타나베 준(渡辺 淳)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치노 타카토시(千野孝敏)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XEBEC]] || || '''{{{#ffffff,#ffffff 제작}}}''' ||[[테레비 도쿄]][br][[쇼가쿠칸 슈에이샤 프로덕션|쇼가쿠칸 프로덕션]] || || '''{{{#ffffff,#ffffff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07년 10월|2007. 11. 03.]] ~ 2008. 03. 29. || || '''{{{#ffffff,#ffffff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테레비 도쿄]] / (토) 08:45 || || '''{{{#ffffff,#ffffff 편당 러닝타임}}}''' ||12분 || || '''{{{#ffffff,#ffffff 화수}}}''' ||21화 || || '''{{{#ffffff,#ffffff 시청 등급}}}''' ||정보 없음 || || '''{{{#ffffff,#ffffff 관련 사이트}}}''' ||[[https://www.tv-tokyo.co.jp/contents/rockma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유성의 록맨 시리즈]] 중 [[유성의 록맨 2]]의 스토리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유성의 록맨(애니메이션)]]의 후속 방영작. 감독은 [[카토 타카오]], 캐릭터 디자이너는 전작에 이어 [[아다치 신고]]. 앞선 유성의 록맨 애니메이션도 절대 퀄리티가 우수하다고 할 만한 애니가 아니지만 소소한 재미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작은 완전 막장 전개를 보여줬다. 생각보다 인기를 끌지 못하면서 게임은 3편까지 나왔지만 애니메이션은 여기서 완결되었다. 편 당 10분임에도 총 횟수가 21화밖에 되지 않는다면 어떤 수준인지 대충 짐작이 간다.[* 앞의 1기는 같은 10분이지만 55화 분량. 어지간한 20분 애니의 1기와 맞먹는 분량이다.][* 이것보다 더 짧은 분량의 애니로는 [[폭 TECH! 바쿠간]]으로 한편당 4편씩 묶어 방영해 총 50화지만 애니 분량이 '''5분'''이라서 편수에 비해 1쿨 분량 밖에 안나온다. ] 내용은 높은 수준의 문명을 지녔던 '무'라는 초고대 대륙의 유산 '오파츠'를 중심으로 일어나는 사건들을 중심으로 흘러간다.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까마득한 과거에 무 대륙은 현재보다도 훨씬 높은 수준의 전파 체계를 구축해 마침내 [[라 무]]라는 강력한 전파체를 탄생시킨다. 하지만 이 전파체가 자신을 신이라 부르며 이상 조짐을 보이자 무의 사람들은 라 무를 무 대륙과 함께 통째로 봉인시켜 버렸다. 결국자신들이 만들어 낸 것을 통제하지 못한 것이다. 그리고 이 봉인을 푸는 열쇠가 바로 베르세르크, 시노비, 다이너소어의 오파츠다. 이 오파츠가 라 무의 힘을 나누어 담은 것이라 큰 힘을 지녔기 때문에 악당들이 계속해서 꼬인다. 그 힘으로 큰 돈을 벌려고 하는 [[예티 블리자드|고리 몬지로]]와 인정받지 못하는 자신의 미술이 미래에 받아들여지는 것을 보기 위해 영생을 바라는 [[팬텀 블랙(유성의 록맨 시리즈)|하이드]][* 칙칙하고 우울한 [[이토 준지]]풍 그림을 그려 놓고 아름답다는 소리를 늘어 놓는다. ]가 손을 잡는다. 그들은 무의 유산 박람회에 쳐들어가, 오파츠 중 하나인 베르세르크의 검을 훔치려 하나 마침 친구들과 함께 박람회를 관람하러 온 [[호시카와 스바루]]가 [[슈팅 스타 록맨|록맨]]으로 전파변환해서 저지한다. 그 와중에 [[워 록]]이 베르세르크의 검을 삼켜버린다. 스바루는 단센 대학으로 불려가 [[닥터 오리히메]]에게 무 대륙에 관한 정보를 듣는다. 나머지 두 오파츠를 찾아 악당들이 라 무와 무 대륙을 부활시키는 것을 막아달라고 요청받아 협력한다. 그 임무를 돕겠다고 [[히비키 미소라]]가 쫓아다니는데 아이돌 답지 않게 활동에 소홀해지곤 한다. 방송 중에 빠져나가서 홀로그램으로 대체하는 짓을 하기도 한다. 이후 [[소로]]/[[브라이]]가 새로운 적으로 등장한다. 스바루가 오리히메와 처음 대면했을 때 갑자기 단센 대학에 쳐들어와 스바루를 공격한다. 코 앞에서 쏜 개틀링을 모조리 피하는 등 등장하자마자 스바루를 압도하지만 이 때는 닥터 오리히메의 재밍(Jamming)포[* 전파체나 전파변환한 인간에게 특수한 파장의 전파를 발사하여 큰 데미지를 입힌다. 이후에 고요우다 경부가 같은 계열의 무기인 재밍 빔을 사용한다. ]에 역관광당하고 물러난다. 그 후에도 유적 탐사 중에 말도 없이 공격하는 등 초반부에는 갑툭튀하는 이상한 녀석으로 나온다. 또한 무지막지하게 강해서 실체화와 전파화를 자유자재로 해가면서 록맨을 말 그대로 찍어 누른다. 배틀카드 스텔스 레이저와 매드 발칸을 사용하기도 한다. 오파츠가 날뛰어서 아무 때나 변신이 되는 등 워 록에게 무리를 주곤 하더니 브라이에게 무참히 밟힐 때도 힘을 못 썼다. 그런데 갑자기 스바루가 이상한 공간에 들어가더니 베르세르크의 검을 뽑은 후 통제가 가능해진다.[* 원작과는 트라이브 온의 이벤트가 많이 다르다. 게임에서는 오파츠 안의 망령들에게 몸을 빼앗길 위기에 처했다가 [[시로가네 루나|루나]]와의 유대의 힘으로 통제를 하게 된다. ] 이 때 시노비는 하이드에게, 다이너소어는 고리에게 빼앗겨버리고[* 이때 닥터 오리히메가 스바루를 대차게 까면서 잠깐 본색을 드러낸다.] 서로 오파츠를 빼앗기 위한 삼파전이 시작된다. 이 과정에서 오파츠가 지닌 힘이 전파 바이러스들을 끌어들여 도시가 대혼란에 빠진다. 하이드와 고리의 목적은 무의 부활로 같아 우선 무의 부활을 저지하려는 록맨을 먼저 제거하기로 하고 손을 잡는다. [[주인공 보정]]과 하이드가 모종의 이유로 싸우다가 가버리는[* 자신의 그림이 제대로 평가될때 도움이 될거라 생각하고 미술 수업을 하고 있어서 싸우다 말고 가버린다. 사실은 다들 그림수업보다 루나가 만들어오는 간식에 훨씬 관심이 있다는 것을 나중에 하이드도 알게된다.. ] 등 록맨에게 우세해지기도 했다. 이후 팽팽하게 싸우다가 하이드가 자신의 미술 수업에 찾아온 스바루의 어머니 [[호시카와 아카네]]를 인질로 잡고 스바루를 꾀어 내어 고리와 함께 협공함으로써 록맨을 궁지로 몰아넣는다.[* 이때 아카네는 1기의 19화 중 록맨이 택배 일을 할 때 만났었기 때문에 록맨을 택배원 오빠라고 부르고 [[하프 노트]]는 택배원 언니라고 부른다. ] 하지만 록맨이 당하기 직전에 닥터 오리히메가 [[엠프티]]를 데리고 나타난다. 이 때 엠프티가 오파츠를 하나씩 가진 고리와 하이드를 일방적으로 관광보내며 강력한 전투 능력을 과시한다. 오리히메는 엠프티를 통해 오파츠를 뺏더니만 록맨을 속였다는 것을 밝힌다. 자신은 과학자로서 라 무를 부활시켜 전파 체계가 완전히 변화된 세계를 여는게 영광이라고 말한다. 록맨은 속았다는 것에 분노해서 베르세르크로 변신해 엠프티와 싸우지만 엠프티의 강함에 속수무책으로 당한다. 때마침 현장으로 온 [[아마치 마모루]]가 엠프티가 오리히메 박사의 차로부터 에너지 공급을 받고 실제론 속이 비어있다는걸 알고 [[고요우다 헤이지]]에게 알려줘서 그가 재밍포로 에너지 공급을 끊는다. 그러나 오리히메가 오파츠 시노비와 다이너소어를 엠프티에게 공급하여 엠프티는 별도의 에너지 공급원 없이도 무쌍을 찍을 수 있게 된다. 이 와중에 워 록이 집어삼킨 베르세르크와 엠프티가 가진 나머지 오파츠들이 공명하면서 무 대륙의 봉인이 풀려리고 그로 향하는 관문이 열려버린다. 록맨을 시작으로 엠프티 등 다들 줄줄이 따라 들어가게 된다. 따라 들어온 엠프티에게서 스바루를 지키기 위해 워 록은 전파변환을 풀어버리고 혼자 엠프티를 따돌리고, 스바루와 그를 찾기 위해 들어온 [[하프 노트]]는 자고 있는 소로를 발견한다. 여기서 소로의 정체가 밝혀진다. 엠프티는 워 록에게서 베르세르크의 검까지 뺏고 결국 오리히메가 라 무를 부활시킨다.[* 이 때 이미 고리와 하이드는 유리한 쪽에 붙어야겠다며 오리히메에게 붙어버린다. ] 하지만 스바루가 라 무를 저지하기 위해 베르세르크의 검을 뽑는 순간 모든 오파츠의 힘을 얻어 트라이브 킹으로 변신하고 한 번의 일격으로 엠프티를 썰어버렸다.[* 검을 휘둘러 전방으로 속성이 각각 다른 검기 3개를 날렸다. 원작의 트라이브 킹의 차지샷과 동일하다. ] 이 때 라 무가 봉인되어 있던 건물이 무너지고 록맨 일행은 게이트를 통해 무 대륙에서 탈출한다. 이윽고 부활한 라 무가 게이트를 통해 무 대륙 밖으로 나오려고 한다. 그리고 이 때부터 게임을 안했다면 이해하기 매우 힘든 급전개가 나오는데, 게이트를 비집고 현실 세계로 나오려고 하는 라 무를 갑자기 나타난 브라이가 막더니[* 칼의 넓적한 면으로 에너지를 뿜는다. 매우 엉성해서 마지막 화 즈음에 전투씬 연출이 퇴화할대로 퇴화한 느낌. ] 록맨에게 3개의 오파츠의 힘으로 관문을 파괴하라고 한다. 록맨이 이에 응하여 필살기 '카이저 델타 브레이커'를 사용했는데 관문이 아니라 라 무로 공격이 들어간다. 라 무가 게이트 안으로 점점 밀려나자 브라이는 도로 관문으로 들어가 버리고 얼마 안 가 게이트는 소멸한다. --보통 애니라면 7~8화는 될 정도의 분량이 7~8분으로 처리되었다.-- 결국 무 대륙은 소멸하고 세상은 또 다시 평화를 되찾는다. 오리히메는 무 대륙에서 고요우다에게 체포되기 직전에 무너지는 건물로 도망쳤으니 일단 지구상에서 존재가 말소된 셈이다. 이건 관문으로 도로 들어간 브라이도 마찬가지. ~~게임판에서는 브라이가 후속작인 유성의 록맨 3에서 재등장하여 스토리에 관여하는데 애니판에서는 소멸했으니 후속편을 제작할 수가 없다.~~ 엔딩에서 등장인물들이 미소라의 콘서트를 관람하는 것으로 막이 내린다. [* 이 부분이 상당히 아스트랄하다. 미소라가 그동안 유적을 쏘다니며 얻은 영감으로 만든 곡으로 콘서트를 여는데 오프닝 곡과 같은 노래다. 이 때 1기에서 죽었던 [[FM 성인]]들이 죄다 멀쩡히 부활해서 콘서트를 관람하고 있다. 그 앞 줄에는 이 FM 성인들과 전파변환했던 인간들이나 기타 관련 인물들이 앉아 있는데 이 부분이 가장 의문스럽다. FM 성인 크라운과 전파변환한 쟝 크로느 벨몬드 죠르죠와느 14세도 있는데, 이 분은 500년 전의 인간이며 본인은 1기에서 크라운과 전파변환했을 때를 빼고는 등장한 적도 없다. 그런데 크라운의 앞줄에 별도로 멀쩡히 서서 콘서트를 관람하고 계신다. 1기의 흑막이었던 후타바 츠카사도 2기 내내 안 나오다가 이 에필로그에서 한 번 등장한다. ] == 등장인물 == 선역: 😇, 악역: 😈, 중립: ❔, 진한색: 중요인물 === 주요 등장인물 === * '''[[호시카와 스바루]]''' 😇 * '''[[워 록]]''' 😇 * '''[[히비키 미소라]]''' 😇 * [[하프 노트|하프]] 😇 * '''[[시로가네 루나]]''' 😇 * [[우시지마 곤타]] 😇 * [[사이쇼인 키자마로]] 😇 === 호시카와 일가 === * [[호시카와 아카네]] 😇 === 아마켄 === * [[아마치 마모루]] 😇 * [[우타가이 신스케]] 😇 === 무 대륙 관련 악역 === * '''[[닥터 오리히메]]''' 😈 * '''[[소로]]''' 😈 → 😇 * [[예티 블리자드|고리 몬지로]] * [[팬텀 블랙(유성의 록맨 시리즈)|하이드]] === 그 외 === * [[캔서 버블|캔서]] 😇 * [[후타바 츠카사]] 😇 * [[고요우다 헤이지]] 😇 == 주제가 == * 유대의 웨이브(絆 ウェーブ - [[후쿠엔 미사토]] [youtube(W_NI0-OfqNo)] 1기와 동일하게 작중 아이돌 히비키 미소라가 불렀다는 설정의 오프닝 곡.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제1화 || ムーの遺産[br]무의 유산 ||<|2> 아라키 켄이치[br](荒木憲一) ||<|2> [[카토 타카오]] ||<|2> [[타카하시 히데야]] || 세라 유코[br](世良悠子) || 2007.11.03. || || 제2화 || ムーの封印[br]무의 봉인 || 이시카와 타케토모[br](石川健朝) || 2007.11.10. || || 제3화 || ブライの襲撃[br]브라이의 습격 ||<|2> 쿠보타 마사시[br](久保田雅史) ||<|2> 도쟈가겐[* 쿠사카 나오요시(日下直義)의 필명.][br](どじゃがげん) ||<|2> 쿠사카 나오요시[br](日下直義) ||<|2> 노모토 마사유키[br](野本正幸) || 2007.11.17. || || 제4화 || 発動、ベルセルクの剣![br]발동, 베르세르크의 검! || 2007.11.24. || || 제5화 || ヒマナラの雪男[br]히마나라의 설남 ||<|2> 치바 카츠히코[br](千葉克彦) ||<-2> 히라오 미호[br](平尾みほ) ||<|2> [[타카하시 아키라]] || 2007.12.01. || || 제6화 || ヒマナラのムー遺跡[br]히마나라의 무 유적 ||<-2> 나가사와 츠요시[br](長澤 剛) || 2007.12.08. || || 제7화 || ハイドとゴースト[br]하이드와 고스트 ||<|2> 아미야 마사하루[br](あみやまさはる) ||<|2> 도쟈가겐 ||<|2> 단 유이치[br](段 雄一) ||<|2> 노모토 마사유키 || 2007.12.15. || || 제8화 || 試しの剣[br]시험하는 검 || 2007.12.22. || || 제9화 || ドッシーの真相[br]닷지의 진상 ||<|2> 마루카와 나오코[br](丸川直子) || 히라오 미호 ||<|2> 타카하시 히데야 ||<|2> [[아다치 신고]] || 2008.01.05. || || 제10화 || ブラキオの願い[br]브라키오의 소원 || 마츠다 타케시[br](松田剛吏) || 2008.01.12. || || 제11화 || 潜入! ナンスカ村[br]잠입! 난스카 마을 ||<|2> 마츠무라 유카리[br](松村ゆかり) ||<|2> 도쟈가겐 ||<|2><-2> 노모토 마사유키 || 2008.01.19. || || 제12화 || 恐怖の神様[br]공포의 신 || 2008.01.26. || || 제13화 || 修行でおさる[br]수행이라오 ||<|2> 치바 카츠히코 || 카미츠보 료키[br](上坪亮樹) || 타카하시 히데야 ||<|2> 타카하시 아키라 || 2008.02.02. || || 제14화 || 忍者屋敷のオーパーツ[br]닌자 저택의 오파츠 || 이시카와 타케토모 || 츠쿠시 다이스케[br](筑紫大介) || 2008.02.09. || || 제15화 || 三つ巴、オーパーツ争奪戦[br]세개의 원, 오파츠 쟁탈전 ||<|2> 아미야 마사하루 ||<|2> 도쟈가겐 ||<|2> 단 유이치 ||<|2> 타키야마 마사아키[br](滝山真哲) || 2008.02.16. || || 제16화 || ベラボーな作戦!?[br]벨라보한 작전!? || 2008.02.23. || || 제17화 || ハイドの策略[br]하이드의 책략 ||<|2> 쿠보타 마사시 ||<-2> 타카하시 히데야 ||<|2> 세라 유코 || 2008.03.01. || || 제18화 || オリヒメの正体[br]오리히메의 정체 || 모리 카이[br](森かい) || 타카하시 히데야 || 2008.03.08. || || 제19화 || 無のエンプティ[br]무의 엠티 || [[세키지마 마요리]] || 도쟈가겐 ||<-2> 노모토 마사유키 || 2008.03.15. || || 제20화 || 孤高の戦士ブライ[br]지고의 기사 브라이 ||<|2> 아라키 켄이치 ||<|2> 카토 타카오 ||<|2> 나가사와 츠요시 ||<|2> 아다치 신고 || 2008.03.22. || || 제21화 || ムー大陸の決闘[br]무 대륙의 결투 || 2008.03.29. || == 기타 == * 썬더 베르세르크를 제외한 다른 두 가지 폼인 파이어 다이너소어와 그린 시노비는 오프닝과 최종화에서만 등장한다. 이는 원래 4쿨(대략 44~52회)로 예정되어있던 작품이 급하게 조기종영하게 되면서 원래 작중에도 등장했어야 할 다이너소어와 시노비의 분량이 싸그리 잘려나갔기 때문이다. [[분류:유성의 록맨 시리즈]][[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07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08년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게임 원작 애니메이션]][[분류:SF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