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유제프 할레르 폰 할렌부르크}}}[* 흔히 [[영어]]&[[독일어]]식 발음인 '할러'로 알려져 있지만 정확한 [[폴란드어]] 발음은 '할레르'다.] [br]Józef Haller von Hallenburg'''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enerał_Józef_Haller.jpg|width=100%]]}}} || ||<|2> '''출생''' ||[[1873년]] [[8월 13일]] || ||[include(틀:국기, 국명=크라쿠프 대공국)] 유르치체 || ||<|2> '''사망''' ||[[1960년]] [[6월 4일]] (향년 86세) || ||[include(틀:국기, 국명=잉글랜드)] [[런던]]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include(틀:국기, 국명=폴란드)] || || '''복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br][[폴란드군]] || || '''참전''' ||[[제1차 세계 대전]][br][[소비에트-폴란드 전쟁|폴란드-소비에트 전쟁]] || [목차] [clearfix] == 개요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폴란드 제2공화국]]의 군인, 정치인. == 생애 == [[크라쿠프 대공국]]의 귀족 집안에서 태어났다. 할레르 가문은 15세기 무렵 [[프랑켄]] 지역의 [[로텐부르크옵데어타우버|로텐부르크]]에서 [[폴란드 왕국]]에 이주해 온 독일계 가문이었는데 세월이 지나 폴란드에 동화되어 민족정체성이 폴란드인으로 바뀌었고, 당연히 그 역시 폴란드인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의 외조부는 [[11월 봉기]] 당시 폴란드군을 이끌었으며, 아버지 헨리크 할레르는 [[1월 봉기]]에 참가한 경력이 있었다. 1882년 [[르비우|렘베르크]]로 이주하였다. [[성 이슈트반 왕관령|헝가리]]에서 중등 교육을, [[모라비아 변경백국]]에서 고등 교육을 받고 테레지아 사관학교를 졸업한 후 1895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소위로 임관하여 렘베르크 제11 포병연대에서 복무하였다. 1903년 알렉산드라 살라와 결혼하였고, 1906년에는 아들 에리크가 태어났다. 1910년 퇴역한 후 사회 운동에 뛰어들어 1912년 농민 협회의 감독관이 되었다. 1911년 시작된 소쿠(Sokół)[* [[폴란드어]]로 [[송골매]].] 운동[* [[체코슬로바키아]]에서도 같은 운동이 있었는데, [[체코어]]나 [[슬로바키아어]]로는 소콜 운동이라고 불렀다.]의 폴란드 분파에 참여하였고, 1912년 중반에는 소쿠 운동의 군사 훈련을 담당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유제프 피우수트스키]]가 창설한 친독 폴란드 군단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그러나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체결 후 [[독일 제국]]에게 폴란드 군단은 골칫거리로 여겨졌기 때문에 공격당해 무장해제되었다. 할레르 자신이 지휘하는 폴란드 제2군단[* 2차 대전 당시 브와디스와프 안데르스 장군이 지휘한 폴란드 제2군단과 다름.]도 5월 10일 카니우프(Kaniów)[* 현 우크라이나 카니우(Канів)] 인근에서 독일군의 공격을 받고 궤멸되었다. 할레르 자신은 현장을 탈출하여 [[카렐리아]]와 [[무르만스크]]를 거쳐 프랑스로 이동,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의 폴란드인 디아스포라 및 폴란드계 독일군 포로로 구성된 푸른 군대(Armée Bleue)을 조직하는 임무를 맡았다. 이 군대는 훗날 신생 폴란드군의 주축이 되었다. 1918년 [[폴란드 제2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신생 폴란드군의 장군이 되었고, 1920년 [[바르샤바 전투(1920년)|바르샤바 전투]]에 북부전선군 사령관으로 참여했다. 1926년 1월 31일 피우수트스키가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잡자 쿠데타에 반대 의사를 표명하며 군에서 사임하였고 정치적으로는 사나치아(Sanacja) 정권의 반대파로 활동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폴란드 망명정부]]에 합류하여 1940년부터 1943년까지 망명정부의 교육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이 시기 동생 [[https://en.wikipedia.org/wiki/Stanis%C5%82aw_Haller|스타니스와프 할레르]](Stanisław Haller de Hallenburg)를 [[카틴 학살]]로 잃었다. 2차대전이 끝나고 폴란드가 [[폴란드 인민 공화국|공산화되자]] [[영국]]에 잔류하였으며, 이후 1960년 런던에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유해는 1993년 4월 23일 폴란드로 돌아와 그가 태어난 [[크라쿠프]]의 성 아그니에슈카 수비대 성당 지하에 묻혔다. == 대중매체 == * [[Hearts of Iron IV]]에서는 폴란드 장관 중 한 명으로 등장하며 No Step Back DLC 이후 장군진에도 추가되었다. * [[Hearts of Iron IV]]의 모드 [[Hearts of Iron IV/카이저라이히|카이저라이히]]에서는 폴란드 왕국의 장군으로 등장한다. [[분류:1873년 출생]][[분류:1960년 사망]][[분류: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군/군인]][[분류:독일계 폴란드인]][[분류:폴란드의 독립운동가]][[분류:폴란드의 군인]][[분류:폴란드의 정치인]][[분류:군인 출신 정치인]][[분류:크라쿠프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