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송서)] [include(틀:남사)] [목차] == 개요 == 劉贊 (470 ~ 479) [[남북조시대]] [[송(남조)|유송]]의 황족으로 아명은 지수(智隨), 자는 중부(仲敷). == 생애 == 원래 [[명제(유송)|명제]] 유욱의 9남으로 생모는 양인(良人) 서씨(徐氏)였다. 당시 [[효무제(유송)|효무제]]의 아들들이 모두 명제에게 살해당해서 효무제의 대가 끊기게 되자, 명제가 선심을 쓰겠다고 유찬을 무릉왕으로 봉해서 효무제의 대를 잇게 했다. 476년, 유찬은 사지절(使持節), 독남서연청기5주제군사(督南徐兗靑冀五州諸軍事), 북중랑장(北中郞將), 남서주(南徐州) 자사로 전출되었다. 477년, 지절(持節), 독영주사주의양제군사(督郢州司州義陽諸軍事), 전장군(前將軍), 영주 자사로 전임되었다. 478년, 심유지가 소도성이 조정을 장악한 것에 대해 불만을 품고 반란을 일으킬 때 유찬은 심유지의 포위를 받은 상황에서 도독형상옹익양영남북진8주제군사(都督荊湘雍益梁寧南北秦八州諸軍事), 안서장군(安西將軍), 형주 자사가 되었다. 심유지의 반란이 평정된 뒤 강릉에 부임하였다. 유찬은 479년에 죽었는데, 이 시기를 전후하여 소도성이 유송의 마지막 황제인 [[순제(유송)|순제]] 유준으로부터 선양을 받아 제위에 오르니 이가 [[제(남조)|남제]]의 초대 황제인 [[고제(남제)|고제]]였다. [[자치통감]]에서는 유찬의 죽음에 대해 그가 병으로 죽은 것이 아니라고 기술했으며, 호삼성도 소도성이 유찬을 살해했다는 주석을 달았다. [[분류:송(남조)/황족]][[분류:470년 출생]][[분류:479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