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추기경)] [include(틀:역대 천주교 대전교구장)] ||<-3> '''제4대 [[천주교 대전교구|{{{#000000 천주교 대전교구}}}]]장''' [br] '''교황청 성직자부 장관''' [br] '''추기경'''[br] '''{{{+1 유흥식 [[라자로|{{{#000000 라자로}}}]]}}}'''[br] '''兪興植[* [[기계 유씨]] 37세손 '植' 자 항렬이다.]''' | '''Lazarus You Heung-sik'''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유흥식 라자로 추기경님.jpg|width=100%]]}}}|| ||<|2> '''출생''' ||<-2>[[1951년]] [[11월 17일]] ([age(1951-11-17)]세) || ||<-2>[[충청남도]] [[논산시|논산군]] {{{-2 (現 [[충청남도]] [[논산시]])}}} || || '''국적''' ||<-2>'''[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include(틀:국기, 국명=바티칸, 크기=17)][* [[추기경]]들은 [[바티칸 시국]]의 [[국적|시민권]]이 부여되기 때문에 예외적으로 [[복수국적]]이 허용된다.] || || '''사제 수품일''' ||<-2>[[1979년]] [[12월 8일]] ([age(1979-12-08)]주년) || || '''명의부제''' ||<-2>착한 목자 예수님 성당[* 관례상 바티칸에서 근무하는 신임 추기경들에게는 로마의 성당 하나씩을 명의 본당으로 지정된다. 유흥식 라자로 추기경은 로마에 있는 '제수 부온 파스토레 몬타뇰라'(착한 목자 예수님 성당)를 명의 본당으로 임명받았다.] || || '''명의주교''' ||<-2>대전교구 [[주교#s-4.1|명예주교]], 개인적 대주교 승품[* 장관으로 임무 수행을 하면서 대전교구장직을 사임하고 그 명예(emeritus)만 받게 되었으며, 같은 이유로 대교구장 자리에 취임함 없이 개인에게만 부여되는 자격으로(ad personam) 대주교로 승품하였다.] || ||<|4> '''주교임명일''' ||<-2>[[2003년]] [[6월 24일]] 부교구장 임명 || ||<-2>[[2005년]] [[4월 1일]] 교구장 계승 || ||<-2>[[2021년]] [[6월 11일]] 성직자성 장관 임명, 대주교 승품|| ||<-2>[[2022년]] [[5월 29일]] [[추기경]] 임명|| ||<|4> '''재임기간''' ||[[천주교 대전교구|대전교구]] 부교구장 ||[[2003년]] [[8월 19일]] ~ [[2005년]] [[4월 5일]] || ||대전교구장 ||[[2005년]] [[4월 6일]] ~ [[2021년]] [[7월 29일]][* 교구장 직무대행 포함] || ||[[바티칸|교황청]] 성직자부 장관 ||[[2021년]] [[8월 2일]] ~ || ||[[추기경]][* 제수 부온 파스토레 몬타뇰라(착한 목자 예수 성당)명의 부제] ||[[2022년]] [[8월 27일]] ~ || || '''학력''' ||<-2>[[논산대건고등학교]] {{{-2 ([[졸업]])}}} [br][[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2 (신학과 / [[학사]])}}}[br][[교황청립 라테라노 대학교]] {{{-2 ([[교의신학]] / [[박사]])}}} || ||<-2> '''공식 홈페이지''' ||[[https://www.djcatholic.or.kr/bishop/|추기경 홈페이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유흥식추기경_문장.jpg|width=100%]]}}} || ||<-3> '''LUX MUNDI[br](나는 세상의 빛이다)'''[* [[요한의 복음서|요한 복음]] 8장 12절에 나오는 구절로, 어두운 이 세상에 빛을 밝혀야 하는 [[주교]]직과 그리스도인의 사명을 뜻한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https://cbck.or.kr/Bishop/10000064|유흥식 라자로 추기경]] [[한국 가톨릭|대한민국 가톨릭교회]]의 제4대 [[천주교 대전교구]] 교구장 역임. [[교황청]] 성직자부 장관. 세례명은 [[라자로]]이다. [[2022년]] [[5월 29일]],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추기경]]으로 임명되면서 [[김수환]], [[정진석(추기경)|정진석]], [[염수정]]에 이은 네 번째 한국인 추기경이 되었다. == 생애 ==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교황청립 라테라노 대학교]](대학원 유학)에서 공부한 뒤, [[1979년]] [[12월 8일]] [[로마]]에서 [[성품성사|사제품]]을 받았으며, 1983년 교황청립 라테라노 대학교에서 [[교의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3년에 귀국 후 [[주교좌]] 대흥동성당 수석 보좌신부, 솔뫼성지 [[피정]]의 집 관장, 대전가톨릭교육회관 관장, 대전교구 사목국장, [[대전가톨릭대학교]] 교수 등을 거쳐 1998년 12월 대전가톨릭대학교 총장으로 임명됐다. === 대전교구장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교구장 착좌.jpg|width=100%]]}}} || || '''유흥식 천주교 대전교구 교구장 착좌식''' || [[2003년]] [[6월 24일]] 대전교구 부교구장 주교로 임명[* 서품은 동년 [[8월 19일]].]된 후 [[2005년]] [[4월 1일]]에 대전교구장직을 승계했다. 승계 후 5일 만에 [[4월 6일]] 대전교구 4대 교구장으로 착좌하였다. || [[파일:유흥식대주교_문장(1).jpg|width=100%]] || [[파일: Yuheungsikcoatofarms.png|width=100%]] || || '''대주교 시절 문장''' || '''주교 시절 문장''' ||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에 그의 공헌은 지대하다. 당시 [[바티칸]]에 세계 각국의 [[주교]]들이 모인 상황에서, [[프란치스코 교황]]과 40분가량 독대하는 등 뚝심을 보였다.[*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Daejeon을 대전이라고 읽는다"고 가르쳐 드림에도 불구하고 교황은 자꾸 "다에전"으로 읽었다고 한다. 마지막엔 대전이라 읽음에 성공했지만, 며칠 뒤에 교황이 [[바티칸]]에서 유 주교를 마주치고 "오! 다에전!"이라고 불러서 결국엔 실패했다고 한다.] [[천주교 대전교구]] 신자들에게는 특유의 온화하고 넉넉한, 선한 인상의 웃음이 트레이드마크. 강론 시간에 농담을 몇 개씩 섞기도 하는데, 가끔씩 정말 재미있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한다. 최근 강론의 대부분은 [[프란치스코 교황]]과 [[공의회|대전교구 시노드]] 이야기.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 생전에 서품을 받아, 농담과 진지한 교훈이 담긴 축하 인사를 피할 수 없었다. 김 추기경이 "유씨 집안에서 처음으로 주교가 되었다"며 유흥식 주교의 서품에 의미 부여를 했을 때, 좌중에 폭소가 터졌다고. 북한과의 교류, 협력에 적극적인 편이다. [[노무현 정부]] 말기에 나흘간 방북한 바 있고, 주교회의 사회복지위원회가 대북지원 사업을 주도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주교 수품 이래로 꾸준히 교황의 방북을 성사시키기 위해 교회내에서 노력해왔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1967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1860787?sid=100|#]] 그 때문인지 그의 추기경 임명이 향후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북 추진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를 주목하는 이들도 있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052922235183979|#]] 또한 [[진보주의|진보]]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정의구현사제단]]에 호의적인 주교 중 한 명이다. [[이명박 정부]] 때는 '녹색 순교'를 하겠다며 '4대강 사업 중단을 촉구하는 전국사제선언문'에 서명한 5명의 주교 중 하나였다. [[세월호 참사]]에 관심을 가지고 팽목항에 다녀오는 등 사회문제나 사회적 약자에게도 꾸준히 관심을 가져왔으며, 과거 [[1990년]] [[국군보안사령부 민간인 사찰 폭로 사건]] 당시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 위원으로서 사찰 대상이었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100500329213001&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90-10-05&officeId=00032&pageNo=13&printNo=13855&publishType=00020|*]] 반면, 평생 보수정당 소속[* [[민주자유당]]에 입당하며 정계에 입문했고 이후 [[한나라당]]에서 탈당하여 [[자유민주연합]]에도 몸 담았으며 이후 합당을 통해 한나라당에 복귀한 이후[[새누리당]]을 걸쳐 이후로 계속 [[자유한국당]], [[미래통합당]] 소속이였으며 최종 당적은 [[국민의힘]]이였다.]이었으며 보수 정부인 [[박근혜 정부]]에서 [[국무총리]]직까지 역임[* [[경남기업 회장 자살 사건]]으로 인해 임명 70일 만에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사퇴했다. 이는 [[허정]] 전 국무총리의 63일 다음으로 짧은 임기였다.]한 [[이완구]] 전 국무총리의 절친이자 멘토로 알려져 있다. 다만, 이건 각자의 정치 성향보다는 그 지역 교구장과 도지사 사이의 관계가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일단 이완구 본인부터가 천주교 신자이다. 2011, 2013, 2016년도 세계청년대회에 다녀오기도 하고, 제3회 한국청년대회, 제6회 아시아청년대회를 [[천주교 대전교구]]에 유치하는 등 청년사목 분야에도 관심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사회주교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해당 직책은 사회적 주요 현안에 관해, 주교회의 차원에서 공식적인 성명의 발표를 직접적으로 담당한다. 2018년 [[바티칸]]에서 열린 주교 시노드 중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한반도 평화기원 특별[[미사]]를 국무원장 피에트로 파롤린 추기경과 공동 집전하였다. 문재인 대통령의 [[프란치스코 교황]] 알현 때 대전교구 한현택 아우구스티노 신부가 통역을 맡으면서, 나중에 문 대통령 예방 관련 언론 인터뷰를 하기도 했다.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064136|#]] 2021년 7월 25일 끝으로 대전교구 공식 일정이 마무리되고, 7월 29일 로마로 출국했다. 후임자가 임명되기 전까지 [[김종수(종교인)|김종수]] 아우구스티노 총대리 주교가 교구장 서리로 임명되었다. 2022년 2월 26일 후임 교구장으로 김종수 주교가 임명되었다. === 교황청 성직자부 장관 대주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유흥식 성직자부 장관.png|width=100%]]}}} || || 성직자부 홈페이지 사진 || 2021년 4월 [[교황청]]을 방문했을 당시 [[프란치스코 교황]]으로부터 성직자성 장관직을 제안받았다고 한다. 이를 두고 심사숙고했고, 다시 교황을 만나 긴 시간 대화[* [[프란치스코 교황]]은 유 대주교의 밝은 표정, 유능한 행정력, 유창한 [[이탈리아어]] 실력 등의 임명 사유를 이야기해줬고, 유 대주교가 주저하자 빨리 결정하라며 재촉하기도 했다고 한다.]를 나눈 뒤 제안을 받아들였으며, 교황은 정식 임명 발표 전까지 침묵할 것을 명령했다.[* [[주교]]나 [[추기경]] 임명 시에도 당사자에게 정식 발표일 전 수일 내로 통보가 이루어지나, 교황청 기관지 <로세르바토레 로마노>에서 정식으로 발표하기 전까지는 침묵하는 것이 교회 내 법칙이다.] 2021년 6월 11일, [[프란치스코 교황]]은 대전교구장 유흥식 주교를 [[교황청]] 성직자성 장관에 지명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대주교]]로 승품하였다. [[한국인]]이 교황청 차관보급 이상의 직위에 임명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https://cbck.or.kr/Notice/20210624?gb=K1200|유흥식 주교, 교황청 성직자성 장관에 임명]] [[https://press.vatican.va/content/salastampa/it/bollettino/pubblico/2021/06/11/0376/00826.html|교황청 임명 소식]]. 2021년 8월 2일부터 이탈리아 출신 베니아미노 스텔라(Beniamino Stella, 1941 ~ )추기경 후임[* 스텔라 추기경이 장관으로 처음 직무한 것은 2013년 9월 중순부터 2021년까지 직무]으로 성직자성 장관 직무를 수행하기 시작했다. 8월 21일,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는 [[한국어]] [[미사]]를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한국인]] 신자 및 성직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집전하였다.[[https://www.youtube.com/watch?v=Pir83De6wZ4|유튜브 당시 중계방송]] 2021년 10월 22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무증상 확진판정을 받았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4987778|#]] 이후 계속 무증상 상태가 되자, 재검사 후 음성 판정을 받고 격리 해제되었다. 격리가 해제된 직후 [[프란치스코 교황]]은 그를 반갑게 맞이하면서 "라자로가 돌아왔다."는 농담을 했단다.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21/10/1029486/#|기사]] 유흥식 대주교의 [[세례명]]이 라자로인 점과, [[성경]]에 있는 [[라자로]]가 죽음에서 [[부활]]한 이야기에서 기인한 농담이다. 2022년 3월 반포된 교황령 “복음을 선포하여라” 반포에 따른 후속 조치 일환으로, 2022년 6월 5일부로 성직자성의 명칭이 성직자부로 변경되어[* 물론 [[교황청]] 기구의 정식 명칭은 [[라틴어]]로 되어 있지만, 그 [[한국어]] 번역 명칭 또한 2022년 5월 13일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상임위원회에서 '성직자부'로 확정하여 승인하였다.], 유흥식 추기경의 공식 직책도 교황청 성직자성 장관이 아닌 교황청 성직자부 장관으로 변경되었다.[[https://www.cpbc.co.kr/CMS/news/view_body.php?cid=824521&path=202205|#]] === 추기경 === [youtube(Gqddf9yojaY)] ▲ 2022년 8월 27일, 바티칸에서 거행된 추기경 서임식 영상과 유흥식 추기경의 인터뷰. 이 추기경 서임식에는 싱가포르, 동티모르, 몽골의 추기경이 임명되었다. 이들은 자국에서는 역사상 최초이자 자국 가톨릭 역사에 첫 추기경이 탄생이라 대통령/총리부터 주지사까지 와서 자국 공항에서 영접과 축하 행사까지 진행했다고 한다. 바티칸 현지 시간으로 2022년 5월 29일에 [[추기경]]으로 임명되었으며, 2022년 8월 27일에 공식적으로 서임되었다. 이는 성직자성 장관에 임명되었을 당시에도 예정되었다. 전통적으로 역대 [[교황청]] 각 부처 장관은 모두 추기경이었기 때문이다. 현직이 교황의 부제격인 교황청 부서장이므로 [[부제(성직자)|부제]]급 추기경으로 서임되었다. 앞서 서임된 [[한국인]] [[추기경]] 3명, 즉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 [[정진석 니콜라오 추기경]], [[염수정]] 안드레아 추기경은 모두 [[서울대교구]]장이 된 후에 추기경으로 임명되었다. 따라서 유흥식 라자로의 추기경 서임은 서울대교구장이 아닌 주교가 추기경이 되는 첫 사례이며, [[대한민국]] 출신 추기경으로는 4번째이다. 전문가들은 교황이 유흥식 대주교를 추기경으로 임명한 것은 교황의 방북을 위한 바티칸의 사전포석이라는 평가를 내린다.[[https://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20220529/113686051/1|#]][[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052922235183979|#]] [[분류:교황청 장관]][[분류:대한민국의 추기경]][[분류:천주교 대전교구장]][[분류:1951년 출생]][[분류:논산시 출신 인물]][[분류:가톨릭대학교 출신]][[분류:논산대건중학교 출신]][[분류:논산대건고등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대주교]][[분류:기계 유씨]][[분류:기계 유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