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육군군수사령부)] ||<-7><#228B22><:> '''{{{#ffffff {{{+1 육군종합정비창}}}}}}'''[br]'''{{{#ffffff 陸軍綜合整備廠}}}'''[br]'''{{{#ffffff Army Consolidated Maintenance Depot (C.M.D.)}}}''' || ||<#ffffff><-7><:>[[파일:attachment/종합정비창/depot.jpg|width=300]] || ||<-7><#228B22><:> '''{{{#ffffff }}}''' || ||<#228B22><:> '''{{{#ffffff 창설일}}}''' ||<-6><(> [[1975년]]('''육군종합정비창''')|| ||<#228B22><:> '''{{{#ffffff 별칭}}}''' ||<-6><(> || ||<#228B22><:> '''{{{#ffffff 소속}}}''' ||<-6><(> [[대한민국 육군]] || ||<#228B22><:> '''{{{#ffffff 상급부대}}}''' ||<-6><(> [[육군군수사령부]] || ||<#228B22><:> '''{{{#ffffff 규모}}}''' ||<-6><(> [[창]] || ||<#228B22><:> '''{{{#ffffff 역할}}}''' ||<-6><(> 육군 정비업무 지원 || ||<#228B22><:> '''{{{#ffffff 창장}}}''' ||<-6><(>[[대한민국 군무원|2급 군무원]](군무이사관) 강창호(육사45기)[* 前 [[육군탄약지원사령부|육군탄약지원사령관]](준장)] || ||<#228B22><:> '''{{{#ffffff 위치}}}''' ||<-6><(>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창원덕천리유적, 너비=100%, 높이=100%)]}}} || ||<#228B22><:> '''{{{#ffffff 웹사이트}}}''' ||<-6><(> [[http://www.logcmd.mil.kr|육군군수사령부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UfJ9SNZ7Ou0)] [[대한민국 국군]]의 '전군 지상공통장비 창 정비 지원'을 담당하는 [[육군군수사령부]] 예하 부대.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에 위치하고 있다. == 상세 == [[1950년대]]에 창설된 각 분야별(총포, 차량, 화포, 통신기기, 화학기기, 의무기기 등)기지/공작창을 통합하여 [[1975년]][* 실제로는 1996년 2월에 1정비창, 2정비창, 5정비창, 중앙수집근무대, 칠성사업단을 통합하여 창설.] [[대한민국 육군]] 종합정비창이 창설되었다. [[전차]], [[장갑차]], [[자주포]], [[곡사포]], 전투차량, 개인화기, 공용화기, 사통장비, [[통신병|통신]]장비, [[의무병|의무]]장비 등 [[대한민국 육군|한국 육군]]뿐 아닌 한국군 전체에서 사용되는 '''모든 지상 장비의 최종 [[정비]]와 재생을 실시한다.''' 사단 직할 보수대 및 군지사 예하 정비대대에서 하는 '야전정비'[* 4계단 [[정비]].]보다 한 차원 더 높은 정비[* 5계단 [[정비]].]를 하는 것이다. 육군 [[지상작전사령부]]와 [[제2작전사령부]] 예하 군수지원[[사령부]]와 [[대한민국 해군|해군]] [[군수전대]], [[대한민국 공군|공군]] [[작전지원전대]] 등에서 못 고치는 무기는 이곳으로 모여 재생되고, A1 같은 개량형이 있는 모델이 구형으로 입고될 경우 '''[[업그레이드|개량형으로 만들어서]] 출고'''한다. [[K-55]]가 창정비 들어가면 A1으로 탄생해서 나타난다. [[아이폰]]으로 비유하자면, [[아이폰 13]]이 고장나서 [[리퍼|서비스센터에 입고시켰더니]] 돌아온 건 [[아이폰 14]]라 생각하면 된다. 여길 들어오는 건 [[오버홀|장비를 아예 싹 뜯어서 새 장비를 만들려고]] 들어오는 것. 실제 내용이 수리라도, 여기서 이뤄진다면 수리라고 하지 않는다. 여기서 재생된 장비는 '''이전 등록이 말소되고 새 장비로 등록된다.''' 부대의 특성상 군 장비 정비에 특화된 기술직 [[대한민국 군무원|군무원]]이 엄청나게 많다. 군무원의 직렬에는 행정, 군수, 전차, 차량, 총포, 유도무기, 일반기계, 용접, 건축, 통신, 전자, 인쇄, 화학분석, 시설, 전기, 전산, 금속, 의공 직렬이 근무 중이다. 장교와 부사관보다 군무원의 비중이 높다. 이런 사유로 인하여 종합정비창과 예하 부대들의 경우 군무원들이 비교적 사병들과 느슨한 관계인 타부대와는 다르게 예전부터 철저하게 직급에 맞는 간부대우가 이루어졌으며(애초에 중대장에 준하는 공장장들 대부분이 군무원이다.) 부대 환경에 따라서 당직사령, 당직부관 근무에도 군무원들이 들어갔다. == 편제 == * 기동화력장비정비단 * 기동화력부품정비단 * 총포·사통장비정비단 * 통신전자장비정비단 * 생산지원단 * 정비기술연구소 * 특수무기정비단(이천) * 항공기정비단(진해) == [[창장]] == ||<-6><#228B22><:> '''{{{#ffffff 역대 육군종합정비창장}}}''' || ||<#228B22> '''{{{#ffffff 역대}}}''' ||<#228B22> '''{{{#ffffff 이름}}}''' ||<#228B22> '''{{{#ffffff 계급}}}''' ||<#228B22> '''{{{#ffffff 임관}}}''' ||<#228B22> '''{{{#ffffff 비고}}}''' ||<#228B22> '''{{{#ffffff 기타}}}''' || || 초대 || || || ||前 [[창장]] || || || 00대 || 이남일 || 예) [[준장]] || ||前 [[창장]] || || || 00대 || 서만열 || 예) [[준장]] || [[학생군사교육단|학군]] 17기[* 조선대] ||前 [[창장]] || || || 00대 || 김명규 || 예) [[준장]] || 육사39기 ||前 [[창장]] || || || 00대 || 박기섭 || 예) [[준장]] || 육사40기 ||前 [[창장]] || || || 00대 || 이기중 || [[대한민국 군무원|2급 군무원]] || ||現 [[창장]] || || == 부대 영상 == [youtube(twKWgeoqxSk)] [youtube(yurZ5cYqxck)] == 기타 == * 1999년 9월 6일 TV내무반 신고합니다에 방영되었었다. [youtube(LiEpzuEjMCw)] * [[2006년]] 8월 24일에 [[운전병]]의 부주의로 차량이 전복되어 앞좌석에 탔던 수송대 병사 세명 중 운전병과 경계 근무를 나가던 일병(가벼운 경상)을 제외하고 경계 근무에 투입되던 육군 [[병사]] 5명이 숨지는 사고가 있었다. 상급부대인 육군군수사(당시 사령부가 [[부산광역시]]에 위치) 본근대 [[장병]]들과 군무원들이 장례식에 동원되기도 하였다. 이 사고에서 선탑자는 없었고 100% 사병만 타고 있었으며 앞서 말한 같은 수송대 일병과 운전병 본인은 살아남았고, 운전병은 형사처벌을 받았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0179981|기사]] * [[2013년]] [[한국교육방송공사|EBS]] [[극한직업(TV 프로그램)|극한직업]]에 궤도장비정비단의 전차 재생공정이 방영되기도 하였다. 전차 재생공정 뿐만 아니라 그와 관련된 공정, 예를 들어 주물공장, 제청작업[* 산업용어는 쇼트 블라스트(Shot blast) 장비표면에 공기압으로 쇠구슬(쇼트볼)을 발사하여 녹이나 페인트를 벗기는 표면처리작업.], 궤도 재생공정(궤도에 있는 고무를 녹이기 위해 소각로에 집어 넣음. 고무는 재활용 불가), 도색공정 및 창정비 후 장비를 [[화차(철도)|화차]]에 실어 각 부대로 후송준비하는 장면 등이 방영되었다. [youtube(b8GnsdGG_EY)] * [[2021년]]에는 [[대한민국 육군]]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K1A1 전차의 우아한 기행〉이란 제목으로 창정비 과정을 요약하여 소개하였다. [youtube(bkSJaULS_dM)] * [[경전선]]의 지선인 [[덕산선]][* [[덕산역]]의 경우 2015년 [[http://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159935|지역 발전을 위해 폐역 결정이 내려졌다.]]]은 이 육군정비창에 장비를 반입하는 시설이다. * 뜬금없지만 이 부대에 출처불명의 [[Kar98k]]가 있다는 목격담이 있다. 창군 이래 단 한 차례도 제식이었던 적이 없는데 대체 무슨 인생... 아니 총생을 살았기에 육군종합정비창까지 흘러갔는지 불명. Kar98k는 [[한국광복군]]이나 [[독립군]]이 사용한 역사가 있기에 광복군 출신 육군 창설 멤버가 들고 온것 내지는 [[6.25 전쟁]] 당시 [[중국 인민지원군]]이 독일이 지원한 병기를 운용하던 [[중화민국 국군]]의 병기를 노획하거나 [[나치 독일군]]의 장비를 노획한 소련에게 공여받아 사용한 사례, 심지어 베트남 전쟁기 베트콩도 사용한 사례가 있기에 노획품으로 어딘가에서 굴러다니다가 입고된 게 아닐까 추측할 뿐... 비슷한 케이스로 한국 육군이 장비한 사진이 남아 있으며 전쟁기념관 신세를 지고 있는 [[MG34]]가 있다. 이쪽도 6.25 아니면 베트남전기에 중국군이나 베트콩에게서 노획했으리라 보이며, 전쟁기념관에서는 중국 인민지원군이 들고 온 걸 노획했다 설명하고 있다. [[분류:대한민국 육군]][[분류:육군군수사령부]][[분류:창]][[분류:의창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