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디시인사이드의 사건 사고)] ---- || [[파일:을용타.jpg|width=100%]] || || '''[[한상균(1973)|구도, 인물, 표정 모든 것이 완벽한, 대한민국 스포츠 역사에 길이 남을 한 컷]]'''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m4G-Ssx7p-w)] '''乙容打''' [[2003년]] [[12월 7일]] [[일본]]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에서 열린 [[동아시안컵]] 대회 [[코엘류호|대한민국]]과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중국의 국가대표]] 경기 도중 [[이을용]]이 자신의 발목을 걷어차서 [[쿵후축구]]를 하던 [[중국]] 선수 [[리이]][* 李毅. 당시 소속팀은 [[선전 FC]]. 2010년에 은퇴하였고 2020년부터 [[중국 갑급 리그]] [[쓰촨 주뉴]]의 감독을 맡고 있다.]의 뒤통수를 손바닥으로 폭행하면서 [[레드카드]]를 받고 퇴장을 받한 사건을 말한다. 좋게 말하면 때렸던 행위만을 말한다. 그래서, 위의 사진은 가격 직후 찍은 것이다.[[https://youtu.be/JG8lIMuqbkk?t=36|#]] 어원은 보통은 당사자인 이을용의 을용과 打(칠 타)의 합성어로 알려져 있으나 [[인조이재팬]] 유저들이 쓰던 은어에서 유래하였다는 설도 있다. 흔히 을'''룡'''타라는 표현으로도 인식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을용의 용은 [[두음 법칙|龍(용 룡)자가 아니라 容(얼굴 용)자라 이는 잘못된 표기다.]] 다만 당시 을용타 짤에서 [[용과 같이 시리즈|용과 같은]] 기백을 보여 농담 삼아 일부러 龍로 강조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 이을용의 이름 덕에 더 유명해졌다는 설도 있다. 예를 들어 이을용의 두 아들처럼 매우 흔한 이름인 태석이나 승준같은 이름이었다면 --태석타, 승준타-- 어감이 잘 안 살았을 것이라고. == 상황 == 대한민국을 상대로 이기려고 기를 쓰던 중국은 전반전 내내 심상치 않은 충돌을 계속 벌였다. 그러나 --늘 그랬듯이-- 한국은 전반 종료 직전 얻은 코너킥 찬스에서 [[이을용]]이 찬 [[크로스]]를 [[유상철]]이 헤더로 집어넣으면서 선제골을 기록했다. 전반전에서 얻은 점수를 유지하기 위해 공을 빙빙 돌리고 중국 쪽이 계속 공격적인 플레이로 나오자 이에 대한민국은 [[침대 축구]]를 시작해 시간을 점점 끌기 시작했다. 침대축구의 도발에 더욱 거친 소림축구 플레이로 보답하기 시작한 중국은 백태클도 불사하며 전반전보다 더 강하게 나오기 시작했다. 이미 전반에 [[안정환]]과 [[리웨이펑]]의 충돌까지 있었던 상황이어서 양 팀의 신경은 더욱 곤두서 있었다. 그래서 을용타 직후의 상황을 자세히 보면 리웨이펑이 이을용을 강하게 밀치면서 거칠게 싸움을 거는 장면이 나온다. 하지만, 보기와는 다르게 이을용은 의외로 소극적인 성격이라서, [[을용타]] 사건 당시에 동료 선수들은 '''"저런 행동을 할 사람이 아닌데 왜 그랬지?"''' 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후반 14분쯤에 이을용이 공을 잡았을 때 중국의 리이와 몸싸움을 벌이던 도중 리이가 이을용의 오른발 발목을 걷어차고 이에 분노한 이을용은 참지 못하고 순간적으로 발목을 걷어찬 리이의 뒤통수를 손바닥으로 때렸다. 결국, 리이는 곧바로 쓰러지고 다른 선수들이 싸우든 말든 누워서 뒹구르고 있다가 들것에 실려서 나갔는데 심판에게 어필하기 위해서 '''[[할리우드 액션]]'''을 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순간의 충격으로 넘어질 순 있어도 장시간 못 일어나고 실려갈 정도로 강하게 맞은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 [[이을용]]은 왜 거칠게 반응했나? === 이을용은 과거 발목 부상으로 당시 소속 팀이었던 [[부천 SK]]에서 퇴물 소리를 들으면서 고생을 한 적이 있다. 그리고 이 대회 첫 경기 홍콩전에서 발목을 다쳐서 경기를 고사하려고 했는데 출전할 선수가 없어 [[최강희(축구인)|최강희]] 전 대표팀 코치가 밀어넣는 바람에 어쩔 수 없이 뛰었다. 그렇게 예민해질 대로 예민해진 상태로 중국전에서 이을용은 전반전에 한국이 올린 득점의 어시스트를 하였다. 그래서 후반전이 시작되자마자 중국 선수들의 거친 견제를 받아 신경이 곤두서 있었고 그렇게 쌓인 [[스트레스]]가 [[트라우마]]인 발목을 건드리면서 폭발한 것이다. 사실 '''투사''', 속칭 싸움닭이나 미친개 타입의 선수는 팀에 꼭 필요한 존재다. 그런 선수가 있는 팀은 음으로 양으로 자신들의 페이스를 유지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거칠게 몸싸움을 해서 상대 선수들을 막아서는 투사 스타일은 이후 이을용 이외에도 [[김남일]], [[이천수]], [[김한윤]]이 있었고 2010년대에는 [[기성용]], 그 이후에는 [[황희찬]], [[조규성]]으로 이어지게 되며 세계적으로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레전드 [[에릭 칸토나]] --쿵푸킥--, '화산' [[올리버 칸]], 별명부터가 '[[네덜란드]] 싸움닭'이었던 [[에드가 다비즈]], '라장군' [[세르히오 라모스]], 1990년대 최고의 파이터형 수비수 [[야프 스탐]], '마태클' 로 부르는 지단 박치기 사건의 [[마르코 마테라치]], '깡페페' [[페페(축구선수)|페페]], '뎀자룡' [[무사 뎀벨레(벨기에)]], '''그리고 투사 기믹 축구의 최강자 찰장군 [[찰리 아담]]''' 등이 있다. 거기다가 이을용은 컨테이너 박스에서 전기장판을 켜면서 잠을 잤던 눈물겨운 시절을 겪는 등 많은 역경과 굴곡을 겪으며 어렵게 축구를 했던 선수다.[* 참고로 전기장판은 그를 아끼던 감독님께서 보일러가 안 나온다며 사 준 것이다.] 이런 선수들이 이른바 [[싸움닭]] 스타일이 되는 경우가 많다.[* 싸움닭이 있는 팀은 상대 팀의 저질 플레이나 반칙성 플레이, 침대축구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자칫 잘못했다가는 싸움닭의 성질머리에 말려들어 제대로 참교육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이천수]] 알람짤이나 김남일의 미국전 9대1을 보면 와닿을 것이다. 거기다 [[슈테판 에펜베르크|싸움닭 본인이]] [[올리버 칸|팀을 장악하는 리더십까지 뛰어나다면]] 그야말로 조직력의 극한을 맛볼 수 있다. 악동처럼 보이지만 든든한 행동대장으로 팀원들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이날 중국은 실력차를 메우기 위해 일부러 거친 플레이를 펼치며 대표팀의 페이스를 흩어놓는 전술을 들고 나왔는데 이는 축구판에서 대단히 흔하고 상식적인 방법이었다. 그런데 문제점은 중국이 한국의 멤버들을 몰라도 너무 몰랐다는 것이다. 상술했듯 원래 이을용은 부천 SK 시절 [[니폼니시]] 전 감독에게 훈련을 받았기 때문에 공을 세련되게 차는 거지, 똥이 더럽다고 피하는 스타일이 아니었다. 더구나 당시 한국 대표팀에는 이을용 못지 않은 터프가이 [[유상철]]도 같이 있었다. === 을용타가 경기에 영향을 끼친 것 === 결론부터 말하자면 별다른 영향을 끼친 것은 없었다. 일단 이후 상황을 보면 손바닥으로 뒤통수 한 대 맞은 걸로 쓰러져서 일어날 생각이 없었던 리이는 계속 침대 축구를 시전하다가 실려 나갔다. 하지만 발목을 걷어찬 것은 주심이 똑똑히 봤기 때문에 옐로우 카드를 받을 수밖에 없었다. 레드카드를 뽑았으나 [[벤치 클리어링]]이 일어나서 퇴장을 못 시키고 수습을 하던 심판은 정리가 된 뒤 [[확인사살|다시 레드카드를 이을용에게 확실히 보여주면서]] 그를 내보냈다. "한 판 뜨자!"란 분위기를 내며 모두 뛰쳐나와 싸우던 양 팀 선수들은 따로 카드를 받거나 하지는 않았다. 비록 이을용이 퇴장을 당했지만 경기는 중국 쪽으로 기울지 않았고 오히려 수적 열세로 인해 분노한 한국이 더욱 단단하게 뭉치면서 중국은 자연스럽게 수적 우위를 살리지 못하는 패턴에 빠져 버렸다. 한국은 안정적으로 공을 돌리면서 남은 시간을 충분히 활용했고 결국 1대 0으로 이겼다. 물론 [[우주방어]]만 한 게 아니라 [[안정환]]의 슛이 골대를 맞고 나가는 등 추가득점 찬스도 있었다. 경기 후 대회 2승째를 기록한[* 1차전에서 홍콩을 3대1로 꺾었다.] 한국은 일본과의 최종전에서 0대0 무승부를 기록했고 다득점으로 일본을 누르고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 필수 요소 을용타 == [[파일:external/wstatic.dcinside.com/ley_001.jpg]] ---- 당시 이을용의 분노에 찬 얼굴과 상대를 내려다보는 근엄한 포즈, 그리고 쓰러진 중국 선수 리이와 뒤에서 경악한 표정으로 뛰어오는 또 다른 중국 선수 [[양천(축구선수)|양천(杨晨)]][* 한때 [[독일]] [[분데스리가]]의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와 [[FC 장크트 파울리]]에서 뛰어 중국 최초의 분데스리거로 기록된 선수였고(당시 소속 팀은 리이와 같은 [[선전 FC]]) [[2000 AFC 아시안컵 레바논]]과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에도 출전했던 선수이다. 2007년에 은퇴하였으며 2021년부터 중국 U-16 대표팀의 감독을 맡고 있다.][* 리이의 정면 사진을 구하기가 힘들거나 귀찮았는지 가끔 양천이 리이인 것처럼 나온 합성물도 있었다. 예로 들면 양천이 킥을 맞고 쓰러지면서 뒤통수를 감싸쥔 리이로 변하는 식.]의 절묘한 구도가 [[합성 갤러리]]에서 [[https://www.instiz.net/pt/7279981|수많은 패러디를 낳았다]]. 이 패러디의 절정은 [[호베르투 카를로스]]가 [[말년병장|찬조출연한 짤방]]으로 절묘하면서도 리얼리티도 뛰어나다. 물론 시간이 많이 지나면서 더 많은 떡밥이 쏟아지게 되었기 때문에 별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사실 [[북두신권]]이었는데 일부러 힘 조절했다는 카더라도 있었다. * 농구선수 [[김주성(농구)|김주성]]과 관련된 사건인 [[김주성(농구)#s-4.1|주성타]]의 어원이 을용타다. 이때 피해자는 [[서장훈]]. * [[이말년]]도 패러디했다.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03759&no=48&weekday=sat&mobile=y|이말년시리즈(PC)]], [[http://m.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03759&no=48&week=sat|이말년시리즈(모바일)]] * [[와우만화]]에도 패러디 장면이 있다. [[http://horobi.egloos.com/5114089]] * [[슬라정]]도 패러디했다. [[http://www.lezhin.com/ko/comic/waitmrpark/4|박씨유대기(레진코믹스, 로그인 필요)]] * [[고지라군]]도 패러디했다. [[https://www.lezhin.com/ko/comic/cartoon_hero/110|4컷용사(레진코믹스, 로그인 필요)]] * [[우용곡]]도 [[한국 고대의 신화]]에서 [[미노타우로스]]를 때려잡는 [[테세우스]]로 패러디했다. [[https://www.emanbae.com/episode/103|#]] * Canon 광고에 등장하는 을용타 [youtube(-CBR3Izn8aI)][캐논 파워샷 G7 X Mark II] 안정환의 파워무비! episode 2. 을용타 * [[애국가]]에서도 합성되었다. [youtube(QOb8NGNOAyQ)] * --[[자자 파출리아]]도 패러디했다.-- [[파일:external/nbamania.com/mania-done-17bca0f6e4fc389aa04dba7782bd74fa_20170119135241_lbtpbgyb.png]] * --[[다니엘 린데만]]도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이탈리아]] 편에서 패러디하였다. 바닥에 누워 있는 것이 [[중국]] 출신인 [[장위안]]인 것이 미묘하다.-- [[파일:Screen Shot 2017-11-07 at 11.31.49 AM.png|width=400]] * --[[마블 퓨처파이트|모 게임]]에서도 빈번하게 볼 수 있는 장면이다.--[* 주로 타임라인 배틀에서 볼 수 있다. 밑에 사진에서 쓰러져 있는 캐릭터는 [[문 나이트]].] [[파일:개미타.jpg]] * 2018년 5월 [[황선홍]][* 선수와 감독 시절 쿵후 축구에 두 번이나 당했다. 선수로서는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개막을 1주일 앞두고 [[대한축구협회]]가 불도저식으로 밀어붙인''' 중국과의 평가전에서 '''[[황선홍|본인]]'''이, 감독으로서는 2023년 6월 U-23 대표팀의 [[엄원상]]이 당했다.] [[FC 서울]] 감독의 사퇴로 이을용이 감독대행이 되었는데 하필 첫 홈 경기가 바로 [[어린이날]] [[슈퍼매치]]. 이에 [[골닷컴]]에서 [[http://sports.new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216&aid=0000094460|슈퍼매치 기념 을용타 포스터]]를 제작했다.[* 첫 경기는 경남 FC와의 원정 경기였다.] 당시 슈퍼매치를 앞두고 만든 포스터가 마치 수원과 서울의 화합을 뜻하는 그런 의미를 담고 있어서 양 팀 팬들은 '우리가 아무리 전북을 같이 욕해도 우리의 사이가 좋은 건 절대 아니다.' 라고 반발이 심했기 때문이다.[* 2016년 [[전북 현대 모터스 심판매수 사건]] 당시 [[위 아더 월드|슈퍼매치 경기에서 서로 전북의 매수 행위를 비판]]한 적이 있었다.] * [[얀 베르통언]]이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와의 4강전 막판에 [[킬리안 음바페]]한테 시전했다. [[얀 베르통언|이쪽]]은 [[이을용|원조]]와는 달리 운 좋게 경고로 끝났다.[* [[얀 베르통언]]에 앞서 [[킬리안 음바페]]가 시간 지연을 이유로 경고를 받았다.] --[[손흥민|소속 팀 동료]]가 알려줬다 카데-- 2021년엔 [[리오넬 메시]]도 시전했지만 재수없게도 VAR 화면에 걸리면서 퇴장당했으며, 2022년에는 대한민국 대표팀 감독인 [[파울루 벤투]]가 이를 [[앤서니 테일러]]에게 시전할 뻔했지만 선수단에게 피해가 갈 것을 우려한 나머지 포기했다고 한다. * 을용타가 대중화된 지 약 3년 후 [[2006 FIFA 월드컵 독일]]에서 [[브라질]]과 [[일본]]의 경기에 벤치에서 대기하고 있던 [[호베르투 카를루스]]가 벤치 앞에 옆으로 누워서 경기를 보는 장면이 포착되었다. 이 모습으로 인해 '[[말년병장|카를루스 병장]]'이라는 짤방이 탄생했고 이 짤을 을용타랑 합성한 짤도 있다. [[파일:attachment/malbyeong.png]] * [[함대 컬렉션]]의 [[새뮤얼 B. 로버츠(함대 컬렉션)|새뮤얼]]도 역사고증을 토대로 [[https://www.pixiv.net/member_illust.php?mode=medium&illust_id=68438307|패러디했다.]] * [[집사레인저]] 71화에서 패러디되었다. * [[랜덤채팅의 그녀!]] 27화에서 [[박하민(랜덤채팅의 그녀!)|박하민]]이 [[최준우(랜덤채팅의 그녀!)|최준우]]에게 시전했다. * [[취사병 전설이 되다(웹툰)|웹툰 취사병 전설이 되다]] 214화에서 패러디되었다. [[최미연(취사병 전설이 되다)|최미연]]이 자신한테 치근덕대는 학교 선배를 응징할 때 똑같이 시전한다. * [[어쩌다보니 천생연분]] 49화에서 패러디되었다. * [[골 때리는 그녀들]] 시즌 4의 감독대전에서 이을용이 오랜만에 [[백지훈]]에게 직접 을용타를 시전하였다.[[https://youtu.be/a8_BUPMBWUA?t=947|#]] 그리고, 백지훈은 안 아프게 맞았는데도 일부러 데굴데굴 바닥에 누워서 구르는 몸개그를 보여줬고, 이을용도 곧바로 백지훈을 밟아버리는 을용워크를 선보였다(...). == 이을용이 말하는 을용타 == 이 일에 대해 이을용 본인은 순간의 화를 참지 못한 것에 대해서 자기 자신의 잘못을 인정했다. 2년 뒤인 2005년 [[이을용]]은 을용타에 대해 '''"순간적인 흥분을 참지 못한 것을 후회하고 있다."'''는 말을 하였으며 다양한 패러디에 대해선 [[대인배|'''"사람들이 재미있게 즐겼다면 그걸로 됐다."''']]는 말을 남겼다. [[강원 FC]]가 창단했을 때는 인터뷰에서 '''"본인의 잘못이며 다시는 일어나서는 안 되는 일이다"''' 라고 이야기를 하기도 했다. 이 사건 때문에 이을용이 '''찍혀서''' 잠시 대표팀에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고 아는 사람도 있는데 이는 사실과 다르다. 당시 [[조 본프레레]] 전 감독은 빠르고 강한 스타일의 선수를 선호했는데 이을용은 이미 30줄을 넘긴 터라 '주력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중용하지 않았다. 다만 본프레레가 짤린 이후 [[딕 아드보카트|아드보카트호]]에서는 많이 뽑혔으며 [[2006 독일 월드컵]]에도 출전했다. 2011년 이을용은 선수 생활 은퇴를 앞두고 당시를 회고하며 '''온 국민에게 큰 웃음을 준 것에 만족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2011년 10월 23일, 이을용의 은퇴 경기에서 [[강원 FC]] 선수들은 결승골을 넣은 후 을용타 세리머니를 했다. 시전자는 [[김진용(축구선수)|김진용]]. --진용타.-- ---- [[파일:external/sccdn.chosun.com/2011102501001846800160782.jpg]] ---- 을용타 문서는 [[위키백과]]에도 존재하는데 그것도 [[영어 위키백과]]와 [[중국어 위키백과]]에까지 존재한다. 그리고 중국어 위키백과의 문서명은 [[https://zh.wikipedia.org/wiki/%E4%B9%99%E5%AE%B9%E6%89%93|乙容打]]다. 중국어 위키백과에는 한국인의 [[반중]] 감정과 연관지어 [[간도]] 문제와 [[동북공정]]까지 끼워서 서술해 놨다. 아쉽게도 2023년 현재는 간도 문제는 고사하고 한중관계의 서술은 하나도 포함되지 않은 지극히 중립적인 서술로 바뀌었다. ---- [youtube(DVwXpKySY8Q)] ---- 지금은 본인도 신나게 패러디할 정도로 즐기는 듯하다. == 여담 == * 본인 자체와는 관련이 없지만 2019년 AFC U-17 월드컵에서 대한민국 vs 멕시코와의 경기가 치러지기 전 라인업 소개를 [[SBS]] 캐스터인 [[배성재]]가 맡았는데 [[이태석(축구선수)|이태석]]이 있자 그는 '''을용타의 아들 이태석'''이라고 --친절하게(?)-- 소개했다. * 조원희 유튜브에 출연하고 나서 말하길, 당시 경기가 끝나고 난 뒤 라커룸에서 만나 서로 사과하고 받아 줬다고 한다. * 2020년 [[KBS]]의 [[피파 온라인 4]] 예능 [[위 캔 게임]]에 이을용과 그의 두 아들인 [[이태석(축구선수)|이태석]]과 [[이승준(2004)|이승준]]이 함께 출연했는데 시청자들 앞에서 자기소개를 할 때 "을용타의 아들"이라고 말했다. [[https://youtu.be/Y5dkulFPK1c?t=16|#]] --즉 아직 [[이태석(축구선수)|태석타]]와 [[이승준(2004)|승준타]]가 남아 있다.-- * 이을용은 이 사건 이후 벌금 1000만원을 냈다고 한다. * [[여자 축구]]에서도 2022-23 시즌 [[아스날 WFC]]에서 을용타 구도가 나왔다. [[https://m.ruliweb.com/best/board/300143/read/61238478|#]] == 관련 문서 == * [[이을용]] * [[쿵후 축구]] * [[태권 축구]] * [[공한증]] [[분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EAFF E-1 풋볼 챔피언십]][[분류:축구 사건 사고]][[분류:사이타마현의 사건사고]][[분류:2003년/사건사고]][[분류:짤방]][[분류:디시인사이드/밈]][[분류:인터넷 밈/스포츠/대한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