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죽기 전에 꼭 봐야할 한국 영화 1001)] [목차] == 개요 == '''{{{+1 [[義]][[理]][[的]] [[仇]][[討]]}}}''' [[1919년]]에 김도산(1891 ~ 1921)이 극본·연출하여 '''한국 최초로 만들어진 [[영화]]'''이다. [[1919년]] [[10월 27일]] [[단성사]]에서 공개되었다. 이 의리적 구토의 개봉일인 10월 27일을 영화의 날로 기념하고 있으며, 2019년을 한국 영화 100주년으로 기념하였다. 의리적 구토에서 '구토'는 [[구토|먹은 것을 게워낸다]]는 뜻이 아니라 '원수 갚음'을 뜻하는 일본어 단어 '아다우치'([ruby(仇, ruby=あだ)][ruby(討, ruby=う)]ち)의 한자 표기를 [[한국한자음]]으로 읽은 것이다. 제목이 '의리적 구투(仇[[鬪]])'로 잘못 알려져 있기도 한데[* 한국 영화사 연구 초창기에 영화인들의 기억과 증언을 기록하였고 이것이 재인용되면서 확산된 것이다.] 상영 당시 제목은 구토가 맞으며 구투라는 단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단성사]]의 초일(初日) >관객이 물밀듯이 들어와 > >[[신파]] 신극좌 김도산 일행의 경성에서 촬영된 신파 [[활동사진]]이 조선에 처음으로 지난 27일부터 단성사 무대에 상장(上場)된다 함에 초저녁부터 [[조석|조수]]같이 밀리는 관객 남녀는 삽시간에 아래 위층을 물론하고 빽빽히 차서 [[만원#s-2|만원]]의 패를 달고 표까지 팔지 못한 대성황이었더라. >그런데 제일 번화한 것은 각 권반[* 券班. 일제강점기 기생들의 조합]의 [[기생]] 온 것이 무려 200여명이나 되어 더욱 이채를 내었더라. 영사된 것이 시작하는데 우선 [[실사판|실사]]로 [[남대문]]에서 경성 전시의 모양[* 의리적 구토의 서막으로 상영된 '경성 전시(全市)의 경(景)'을 가리킨다. 이것과 같이 촬영된 '경성 교외 전경'은 1919년 11월 3일 역시 단성사에서 김도산의 두번째 연쇄극인 '시우정(是友情)'에 삽입되어 상영되었다.]을 비춤에 관객은 노상 갈채에 박수가 야단이었고 그 뒤는 정말 신파 사진과 배우의 실연 등이 있어서 처음 보는 조선 활동사진이므로 모두 취한 듯이 흥미있게 보아 전에 없는 성황을 이루었다더라.[* 맞춤법을 현대어에 맞게 수정함.] >----- >[[매일신보]] 1919년 10월 29일 당시 기사를 보면 만원사례를 이룬 개봉 당일의 분위기를 알 수 있다. 영화표 가격은 1등석 1원, 2등석 60전, 3등석 40전이었다. 서민음식 취급을 받던 [[설렁탕]] 한 그릇이나 [[담배]] 한 갑이 당시 10전이었다고 하니 아주 못 볼 가격은 아니었지만, 1등석 가격은 부담스러워하는 서민들이 많았다.[* 그도 그럴 것이, 오늘날의 담배값이나 설렁탕 값을 기준으로 생각하면 1원은 2020년대 기준으로 2만원 중반~3만원 초반대에 해당하는 값이다. 소설 [[운수 좋은 날]]에서 인력거를 타려던 학생이 '일 원 오십 전은 너무 과한데'라고 불평하던 대목을 떠올려 보자.] 다만 이 영화는 온전한 극영화가 아니라, 기차나 서울역 등 극장 무대에 올릴 수 없는 장면을 촬영해 연극 공연 중 스크린을 통해 보여주는 '연쇄극'의 형태였기 때문에 영화가 아니라 연극에 가깝다는 지적도 있다. 이런 견해에 따르면 [[월하의 맹서]]를 한국영화의 효시로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편, 의리적 구토보다 2년 4개월 빠른 1917년 6월 개봉한 '과거의 죄'가 한국 최초의 영화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으나[[https://www.joongang.co.kr/article/2837921#home|#]], '과거의 죄'는 당시 일본의 인기배우 무라다 마사오가 주연을 맡고 텐카츠에서 제작한 일본 영화인 것으로 밝혀졌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2851642#home|#]] == 줄거리 == 주인공 송산은 본시 부유한 집 아들로 태어났으나, 일직이 모친을 잃고 [[계모]] 슬하에서 불우하게 자라난 몸이었다. 집안이 워낙 부유하고 보니, 재산을 탐내는 계모의 간계로 말미암아 가정엔 항상 재산을 둘러싼 알력이 우심했다. 이리하여 송산은 이 추잡한 가정을 떠나 좀더 참된 일을 하다가 죽으려는 결심을 하는데, 우연히 뜻을 같이 하는 죽산과 매초를 만나 [[의형제]]를 맺고 정의를 위해 싸울 것을 다짐한다. 한편 계모의 흉계는 날로 극심해 가서 드디어 송산을 제거하려는 음모를 꾸민다. 송산의 신변이 위태로워짐을 알게 된 의동생 죽산과 매초가 격분해서 정의의 칼을 들지만 송산은 이를 말린다. 그는 오직 가문과 부친의 위신을 생각해서 모든 것을 꾹 참고 견디자니 마음이 울적하고 괴로워 맹리 술타령으로 보낸다. 이러한 송산의 은인자중도 보람없이 드디어 최후의 날이 오고야 만다. 계모 일당의 발악이 극도에 올라 송산의 가문이 위기에 이르게 된 것이다. 이제는 더 이상 좌시할 수 없는 송산은 눈물을 머금고 정의의 칼을 든다.[* 출처: 안종화, '한국영화측면비사', 춘추각, 1962] == 관련 문서 == * [[천국의 문#s-5]][* 한국 최초의 드라마이다.] * [[홍길동(1967)|홍길동]][* 한국 최초의 애니메이션이다.] [[분류:한국 영화]][[분류:1919년 영화]][[분류:없어진 영화]][[분류:무성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