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의정부시의 법정동)] ||<-2> '''[[의정부시|{{{#000000,#dddddd 의정부시}}}]]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의정부동}}}'''[br]議政府洞 | Uijeongbu-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의정부시 의정부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의정부시 || || '''행정표준코드''' || 4115010100 || || '''관할 행정동''' || 의정부1~2동, 흥선동, 가능동 || || '''면적''' || 3.94㎢ || [목차][clearfix] == 개요 == [[의정부시]]의 법정동. == 관할 행정동 == === 의정부1동 === ||<-2> '''[[의정부시|{{{#000000,#dddddd 의정부시}}}]]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의정부1동}}}'''[br]議政府一洞 | Uijeongbu 1(il)-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의정부시 의정부1동&zoom=13,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의정부시 || || '''행정표준코드''' || 3820029 || || '''관할 법정동''' || 의정부동, 가능동 || || '''하위 행정구역''' || 62통 325반 || || '''면적''' || 1.95㎢ || || '''인구''' || 37,557명[*A 2023년 8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9,260.00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의정부시 갑'''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오영환]] ,,(초선),, || ||<-2> '''경기도의원 | 제1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정영(정치인)|김정영]] ,,(재선),, || ||<-2> '''의정부시의원 | 가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오범구 ,,(재선),, || || [include(틀:무소속/행정구역)] || 최정희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가능로152번길 14[* 의정부동 225-1] || || [[https://www.ui4u.go.kr/cscportal/uijeongbu1/main.do?mId=0303010000|의정부1동 주민센터]] || [clearfix] === 의정부2동 === ||<-2> '''[[의정부시|{{{#000000,#dddddd 의정부시}}}]]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의정부2동}}}'''[br]議政府二洞 | Uijeongbu 2(i)-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의정부시 의정부2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의정부시 || || '''행정표준코드''' || 3820030 || || '''관할 법정동''' || 의정부동, 호원동, 가능동 || || '''하위 행정구역''' || 47통 227반 || || '''면적''' || 2.48㎢ || || '''인구''' || 29,729명[*A] || || '''인구밀도''' || 11,987.50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의정부시 갑'''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오영환]] ,,(초선),, || ||<-2> '''경기도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영봉(1968)|이영봉]] ,,(재선),, || ||<-2> '''의정부시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강선영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태은 ,,(재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정진호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신흥로 275[* 의정부동 433-52] || || [[https://www.ui4u.go.kr/cscportal/uijeongbu2/main.do?mId=0304010000|의정부2동 주민센터]] || [clearfix] == 주요 도로명 == * '''[[평화로(경기도)|평화로]]''' - [[3번 국도]]를 이용하는 경기북부의 대표 도로이며 동두천시와 양주시로 통하는 관문이기도 하다. 최북단인 [[녹양동]]이 시작이며 남단인 [[호원동]]에서 자동차 전용 도로 종점인 서부로로 바뀌어 끊긴다. 태평로 시장 구간이 그렇듯이 가능역 근처 가재울교차로와 의정부역 근처 동부교차로에서 상습 정체가 매우 심하다. * '''[[호국로(경기도)|호국로]]''' - 가능동에서는 [[39번 국도]]를, 금오동, 자일동에서는 [[43번 국도]]를 이용하는 도로이며 파생도로가 가장 많은 도로이다. 본래 전국 도로명 주소 시범 시행 전에는 각각 '''"축석길"''', '''"충정로"''', '''"송추길"'''로 표기하였으나 시범 시행과 동시에 세 도로명을 모두 호국로로 통합하였다. 사실상 의정부시의 대표 도로. * '''태평로''' - 의정부동의 중심 도로이며 기점은 경의교차로가 있는 의정부3동이다. 의정부청과·야채시장과 구터미널, 파발교차로 구간에서 상습 정체가 가장 심각하며 특히 이 지대에 신호등이 '''아예 없다'''. 종점은 태평회전교차로를 거쳐 의정부1동에 속한 가능동과 도로 경계를 나눈다. 구 도로명 시절의 파생도로가 대부분 이쪽으로 통합되었다. * '''가능로''' - 가능동의 중심 도로이며 가능1, 2동과 의정부1, 2동을 도로 즉, 건물 맞은 편으로 경계한다. 기점이 가능1, 2동, 중간지점이 의정부2동, 종점이 의정부1동이다. 가능동과 의정부2동이 대다수를 차지함에도 의정부1동에서 절반 가까이 차지하는 편. * '''흥선로''' - [[흥선대원군]]의 명칭을 본뜬 데서 유래하는 도로이며 [[주한미군]] 관련 가게가 있는 곳에서 시작하여 의정부역 옆의 흥선지하차도까지 이어지는 도로이다. * '''신흥로''' - 가능동, 의정부동을 거쳐 호원동까지 이어지는 도로이며 의정부2동에서 대부분을 차지한다.[* 과거 2008~10년 전까지만 해도 캠프 라과디아와 홀링워터로 인하여 의정부경찰서와 의료원 구간이 막혀 있었다가 이후 가능역-경찰서 구간까지 왕복 2차로로 개통하였다.] * '''둔야로''' - 과거 양주군 시둔면에서 의정부읍으로 승격되기 훨씬 전인 둔야면의 이름을 본뜬 데서 유래하며 지명 유래에서 상술했듯이 의정부리와 파발막리가 당시 둔야면의 중심지였다. 의정부2동에서 대부분을 차지한다. * '''[[경의로]]''' - 인근에 경의교차로, 경의초등학교가 있다는 데서 유래하며 기점인 의정부2동과 중간지점인 의정부3동에서 대부분을 차지한다. * '''범골로''' - 호원동 인근에 범골이 있다는 데서 유래하는 도로이며 의정부동은 기점으로 극히 일부를 차지한다. * '''[[시민로(의정부)|시민로]]''' - 의정부시청에서 시작하는 도로이며 용현동 만가대사거리[* 신곡고가(신곡1동)-구 306보충대(용현동)-만가대사거리(3번 국도 우회도로) 구간은 [[43번 국도]]를 이용한다.]를 종점으로 둔다. 과거 도로명 주소 시범 운영 당시 '''시민로''', '''퇴계로'''로 쓰였다가 도로명 주소를 본격적으로 시행하면서 시민로로 통합되었다. == 주요 사업장 및 기관 == === '''의정부1동'''(과거 의정부3, 4동 지역 모두 포함) === * '''[[경기도의정부교육지원청]]''' - 경기도 의정부시 가능로136번길 29(의정부동 225-3) * '''의정부1동 주민센터''' - 경기도 의정부시 가능로152번길 14(의정부동 225-1) * '''의정부1동우체국''' - 경기도 의정부시 호국로 1318(의정부동 185-4) * '''의정부[[부대찌개]]거리''' - 경기도 의정부시 호국로1309번길 일대 * '''[[의정부중앙역]]''' - 경기도 의정부시 호국로 1305(의정부동 15-10) * '''의정부역 지하상가''' - 경기도 의정부시 시민로 지하 100(의정부동 99-6)[* 의정부역 동부교차로를 중심으로 하나 의정부역이 의정부2, 3동이지만 지하상가는 엄연히 의정부1동에 속한다.] * '''배영초등학교''' - 경기도 의정부시 가능로135번길 20(의정부동 229-2) * '''의정부중앙초등학교''' - 경기도 의정부시 호국로1291번길 17(의정부동 224) * '''[[경기북부보훈지청]]'''[* 구 의정부보훈지청. 2016년 1월 1일부터 경기북부 전체를 담당하는 경기북부보훈지청으로 통합되었다.] -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589(의정부동 238-8) * '''[[한국전력공사]] 경기북부지역본부''' - 경기도 의정부시 태평로146번길 15(의정부동 7-3) * __고객센터__ - 경기도 의정부시 태평로 170(의정부동 216-2) * '''[[천주교 의정부교구]] 의정부1동성당'''[* 구 의정부4동성당] - 경기도 의정부시 가능로135번길 30(의정부동 230-30) * '''추병원''' -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650(의정부동 234-2) * '''성 베드로 병원''' -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622(의정부동 228-22) * '''의정부농협 중앙지점''' - 경기도 의정부시 행복로 37(의정부동 183-7) * '''[[축협|양주축산]][[농협]]''' * __의정부중앙지점__ -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556, 1층(의정부동 200-13) * __의정부동지점__ - 경기도 의정부시 호국로 1316(의정부동 186-1) * '''[[NH농협은행]]''' * __가능역지점__ -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630, 2층(의정부동 228-26, 플러스빌딩) * __의정부역지점__ - 경기도 의정부시 시민로 115(의정부동 175-6) * __의정부지점__ - 경기도 의정부시 태평로 92(의정부동 34-12) * '''[[의정부역|신세계의정부역사]]'''[* 1호선 의정부역, 의정부역사웨딩홀, [[신세계백화점 의정부점]]을 통틀어서 신세계의정부역사로 표기하였다.][* 의정부역 구 역사와 임시 역사는 의정부2동이었으나 신세계의정부역사로 바뀐 이후에는 선로가 이설되면서 의정부3동으로 덩달아 옮겨갔다.] -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525(의정부동 168-54) * '''신곡지구대''' - 경기도 의정부시 경의로 119(의정부동 368)[* 이 자리는 과거 2000년대 초반까지 경기북부병무지청을, 2000년대 중반부터 2014년 중반까지 경기지방경찰청 제2청에서 사용했던 건물이다.] * '''[[경의초등학교]]''' - 경기도 의정부시 경의로 135(의정부동 366) * '''[[KT&G]] 복지재단 경기북부복지센터, 전기공사공제조합''' -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489(의정부동 163-7) * '''[[삼성전자|삼성디지털센터]]''' 의정부점 -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456(의정부동 370-4) * '''[[LG전자|LG베스트샵]]''' 의정부점 -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451(의정부동 369-6) * '''의정부가구거리''' - 경기도 의정부시 태평로(경의교차로-송산교차로 구간) * [[CGV 의정부]] * [[CGV 의정부태흥]] === '''의정부2동'''[* 행정관공서가 이쪽에 가장 많다. 그래서 이 지역은 의정부 신시가지로 통한다.] === * '''[[경전철의정부역]]'''[* 1호선 의정부역과는 거리가 상당히 많이 떨어져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경기도 의정부시 신흥로 237(의정부동 691) * '''의정부2동 주민센터''' - 경기도 의정부시 신흥로 275(의정부동 433-52) * '''[[경기도의료원 의정부병원]]'''[* 대부분이 의정부의료원이라 부르나 현재는 이게 정식 명칭이다.] - 경기도 의정부시 흥선로 142(의정부동 433) * '''의정부농협''' - 경기도 의정부시 시민로 32(의정부동 491) * '''[[기술보증기금]] 의정부지점, [[국민연금공단]] 의정부지사''' - 경기도 의정부시 시민로 62(의정부동 493-1) * '''[[근로복지공단]] 의정부지사, 양주축산농협''' - 경기도 의정부시 시민로 25(의정부동 487-5) * '''농협중앙회 의정부시지부''' - 경기도 의정부시 범골로 153(의정부동 504-7) * '''[[의정부지방법원]] 의정부등기소''' - 경기도 의정부시 범골로146번길 13(의정부동 558) * '''__[[의정부시청]]__''' - 경기도 의정부시 시민로 1(의정부동 326-2) * '''[[의정부시의회]], 의정부시 지식정보센터''' -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로 41(의정부동 326-7) * '''의정부시청소년수련원''' -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로 27(의정부동 352) * '''의정부예술의전당''' -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로 1(의정부동 323) * '''[[의정부소방서]]''' -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로 48(의정부동 525) * '''[[의정부세무서]]''' -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로 77(의정부동 350) * '''[[의정부경찰서]]''' - 경기도 의정부시 호국로 1265(의정부동 420) * '''의정부2동우체국''' - 경기도 의정부시 시민로 35(의정부동 486-9) * '''의정부시보건소''' - 경기도 의정부시 범골로 131(의정부동 516) * '''경기도북부여성비전센터''' - 경기도 의정부시 범골로 137(의정부동 510) * '''경기도북부보육정보센터'''[* 경기도북부육아종합지원센터, 경기북부보육교사교육원, 경기도영유아인성예절교육원이 모두 포함된다.] - 경기도 의정부시 둔야로 9(의정부동 512-4) * '''[[KT]] 의정부지점, 경기도북부소방재난본부, NH농협은행 의정부신흥로지점''' - 경기도 의정부시 신흥로 174(의정부동 587) * '''[[천주교 의정부교구|천주교 의정부교구청]]''' - 경기도 의정부시 신흥로 261(의정부동 432-4) * '''천주교 의정부교구 주교좌 [[의정부성당]]''' - 경기도 의정부시 신흥로265번길 25(의정부동 429-6) * '''상우고등학교''' - 경기도 의정부시 범골로 79(의정부동 611) * '''[[푸조]]·[[시트로앵]] 의정부전시장''' - 경기도 의정부시 신흥로 210(의정부동 567-3) == 아파트 == === 의정부본동 === || 아파트명 || 위치 || 규모 || 입주일 || 건설사 || 비고 || || 이안 더 센트로 의정부 || 의정부동 146-5 || 154세대 || 2023년 12월 || [[대우산업개발]], 부성종합건설 || || || 힐스테이트 의정부역 || 의정부동 || 232세대 || 2024년 2월 || [[현대건설]] || || || 의정부역스카이자이 || 의정부동 || 393세대 || 2024년 8월 || [[GS건설]] || || || 의정부 [[포레나]] [[파밀리에]] || 의정부동 421-20번지 || 1,650세대 || 미정 || [[한화건설]], 신동아건설 || || || 더샵 의정부역 링크시티 || 의정부동 || 1,401세대 || 미정 || [[포스코건설]] || || || 의정부 라과디아 아이파크 || 의정부동 || 754세대 || 미정 || [[HDC현대산업개발]] || || === 의정부1동 === || 아파트명 || 위치 || 규모 || 입주일 || 건설사 || 비고 || || 의정부 [[신도브래뉴]] 2차 || 경의로132번길 80 || 297세대 || 1995년 10월 ||<|2> 신도종합건설 || || || 의정부 신도브래뉴 3차 || 경의로132번길 87-14 || 197세대 || 1995년 11월 || || || [[한라비발디|한라비발디 루트]] || 호국로 1303 || 268세대 || 2005년 11월 || [[HL디앤아이한라]] || 구 양주군청 터[br]주상복합 + 오피스텔 || || 아토팰리스 || 호국로1346번길 125 || 49세대 || 2010년 10월 || 주손종합건설 ||<|2> 주상복합 + 오피스텔 || || 미리온타워 || 호국로 1340 || 214세대 || 2012년 10월 || 엘빈종합건설 || || 다솜프라임 || 경의로117번길 29 || 15세대 || 2013년 4월 || 신원개발 || || || 해뜨는마을 || 평화로483번길 52 || 60세대 || 2013년 5월 || 우주건설, 해뜨는개발 || || || 대봉그린아파트[* 의정부 화재사고 당시의 아파트가 아닌 경의로에 위치한 다른 아파트이다.] || 경의로117번길 37 || 16세대 || 2013년 9월 || 프레인종합건설 || || || 비비르파크 || 평화로 490 || 180세대 || 2013년 11월 || 정원종합건설 || || || 우미 쁘띠린 || 호국로1298번길 38 || 596세대 || 2014년 2월 || 우미건설 || 주상복합 + 오피스텔 || || 현대그린아파트 || 평화로568번길 42 || 32세대 || 2014년 11월 || 진산건설 || || || 골든하우스 || 호국로1331번길 8 || 26세대 || 2015년 2월 || 구민종합건설 || || || 한솔그랑빌 10차 || 태평로 209 || 16세대 || 2015년 10월 || 금마종합건설 || || || 노블리안시티 || 평화로 443 || 219세대 ||<|2> 2016년 3월 || 승윤종합건설 || || || 비비르타워 || 태평로 32 || 47세대 || 태성종합건설 || || || [[의정부역 센트럴자이&위브캐슬]] || 의정부동 380 || 1단지 - 1,905세대[br]2단지 - 568세대 || 2022년 7월 || [[GS건설]], [[두산건설]], [[롯데건설]] || || === 의정부2동 === || 아파트명 || 위치 || 규모 || 입주일 || 건설사 || 비고 || || 동화은하수 || 범골로 60 || 414세대 || 1995년 11월 || 동화건설 || || || 준성아파트 || 백석로 13-17 || 17세대 || 2003년 10월 || 준성종합개발 || || || 신도아크라티움 || 시민로 24 || 84세대 || 2009년 12월 || 신도종합건설 || 주상복합 + 오피스텔 || || 토암비체 || 호국로1267번길 6 || 24세대 || 2012년 8월 || 진산건설 || || || 신한 헤스티아 || 신흥로232번길 5-30 || 238세대 || 2013년 3월 || 신한종합건설 || 주상복합 + 오피스텔 || || 젠하우트 || 둔야로33번길 22 || 208세대 ||<|2> 2013년 10월 || 정아산업 || 주상복합 || || 아이비타워 || 신흥로232번길 5-31 || 208세대 || 신한종합건설 || 주상복합 + 오피스텔 || || 남해오네뜨 || 시민로 27 || 289세대 || 2014년 6월 || 남해종합건설 || || || 의정부 일성 [[트루엘]] || 의정로40번길 12 || 203세대 || 2014년 12월 || 일성건설 || || || 스카이파크 || 흥선로168번길 2 || 84세대 || 2015년 4월 || 진산건설 || || || 의정부 [[롯데캐슬]] 골드파크 || 1단지 - 범골로63번길 13[br]2단지 - 범골로63번길 31 || 1단지 - 919세대[br]2단지 - 931세대 || 2018년 11월 || [[롯데건설]] || || || [[의정부역 푸르지오 더 센트럴]][* 중앙3구역 재개발] || 의정부동 394-11 || 926세대 || 2023년 8월 || [[대우건설]] || || == 여담 == 조선시대 [[선조(조선)|선조]] 때 교통·통신기관의 하나인 두험천참(逗驗川站)이라는 파발막이 있던 곳으로 옛날에는 파발막이라 불렸던 곳이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포천로타리의 실제 명칭은 '''파발교차로'''이며, 호국로, 태평로, 행복로(도로명 시범 운영 당시 축석길, 태평로, 중앙로, 충정로)와 교차하는 곳이다.] * '''의정부1동''' : 의정부동의 동부(의정부1동)와 남부(옛 의정부3동), 북부(옛 의정부4동[* 가능동 일부가 당시 의정부4동이었다.])를 담당하는 행정동이며 의정부의 교육 관공서, 행복로 테마공원(옛 중앙로)이 위치한 곳으로 1998년에 의정부4동을 통합하여 현재에 이른다. 현재의 가능역이 옛 의정부북부역 당시 의정부1동에 속해 있었으나 가능역으로 바뀌면서 경계 간 미세조정으로 가능1동에 편입되었으며, 구 의정부버스터미널도 이곳에 있었다. 그리고 통합 전의 의정부3동은 의정부동의 남부를 담당하는 행정동으로 이 동의 대표적인 곳으로는 태평로(경의교차로-송산교차로)에 의정부 가구거리가 있다. 의정부우체국[* 신곡2동 이전 후 의정부3동 우체국으로 격하되었다.]과 경기북부병무지청, [[경기도북부경찰청|경기북부지방경찰청]][* 당시 경기지방경찰청 제2청][* 경기북부병무지청이 호원동으로 옮긴 이후에 경찰청이 금오동에서 이곳으로 옮겨와 업무가 이루어졌으나 행정타운 조성으로 경찰청도 현 위치로 옮김에 따라 신곡지구대(당시 신곡2파출소)가 신곡교에서 이곳으로 옮겼다.]이 이곳에 있었으나 현재는 각각 신곡2동, 호원1동, 금오동으로 옮겨졌다. 더불어 의정부에서 유흥업소가 가장 밀집된 구역이기도 하다. 옛 건물 또한 상대적으로 많았으나 현재 연백촌마을 일대의 재건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 '''의정부2동''' : 의정부동의 서부를 담당하는 행정동으로 의정부의 신시가지가 이곳이다. 본래 의정부역 옆에는 미군기지가 있었으나 평택으로 재배치되면서 공여지는 현재 공원으로 조성되고 있으며, 당시 미군기지 구역으로 인해 끊어져 있던 신흥로(의정부동-가능동)가 최근에 모두 이어졌다.[* 초창기 왕복 2차로로 구성되었다가 추후 왕복 4차로로 확장하였다.] [[의정부시]] 본 항목에도 서술됐듯이 이곳에는 90년대 중후반에 진로백화점이 한창 성업중이었으나 IMF 당시 진로그룹의 부도로 몇 년 간 방치되었다가 주코백화점으로 바뀌었고, 이마저도 부도되면서 참여정부 말기를 뒤집은 제이유백화점이 들어섰었다. 그러나 주수도 회장의 체포 및 구속과 제이유그룹의 부도로 또 다시 방치되었다가 노블레스 웨딩홀로 바뀌었고 현재는 웨딩플로체로 바꾸어 성업 중이다. [[분류:의정부시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