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lack ''' 이나바 테위의 등장 작품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동방영야초)] [include(틀:동방화영총)] }}} || ||<-2>
{{{#black '''{{{+1 이나바 테위}}}'''[br]Tewi Inaba[br][ruby(因, ruby=いな)][ruby(幡, ruby=ば)] てゐ}}}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h09_inaba.png|width=60%]]}}} || || '''{{{#black 이름}}}''' ||이나바 테위 || || '''{{{#black 종족}}}''' ||[[요수]]: [[요괴토끼]] || || '''{{{#black 능력}}}''' ||人間を幸運にする程度の能力[br]인간에게 [[행운]]을 주는 정도의 능력 || || '''{{{#black 위험도}}}''' ||낮음 || || '''{{{#black 인간 우호도}}}''' ||보통 || || '''{{{#black 주요 활동지}}}''' ||[[미혹의 죽림]] || || '''{{{#black 첫 등장}}}''' ||《[[동방영야초]]》 || [목차] [clearfix] == 개요 == >竹林は人を迷わす竹の迷路。 >'''迷うと言う事は、生きた人間らしい行為よね。''' >죽림은 사람을 헤매게 하는 대나무의 미로. >'''헤매는 것은 살아 있는 인간다운 행위인 거야.''' >---- >[[동방화영총]] 테위 스토리 모드, VS 마리사 [[https://www.thpatch.net/wiki/Th09/Tewi%27s_Scenario/ko#.ED.85.8C.EC.9C.84_vs._.EB.A7.88.EB.A6.AC.EC.82.AC_.28.EC.8A.A4.ED.85.8C.EC.9D.B4.EC.A7.80_4_or_5.29|승리 대사.]] >でもね、私の知り合いにも薬の達人が居るの。 >毒薬だけと言わず、ありとあらゆる薬の。 >貴方はこの鈴蘭の毒を使って、 >もっと効き目のある毒を作りたいと思わない? >하지만 내가 아는 사람 중에도 [[야고코로 에이린|독의 달인]]이 있어. >독약뿐이 아니라, 모든 약의 달인이지. >[[메디슨 멜랑콜리|당신]]은 그 은방울꽃의 독을 사용해서, > 좀 더 잘 듣는 독을 만들고 싶다고 생각해 본 적 없어? >---- >[[동방화영총]] 테위 스토리 모드, VS 메디슨 [[https://www.thpatch.net/wiki/Th09/Tewi%27s_Scenario/ko#.ED.85.8C.EC.9C.84_vs._.EB.A9.94.EB.94.94.EC.8A.A8_.28.EC.8A.A4.ED.85.8C.EC.9D.B4.EC.A7.80_7.29|승리 대사.]] [[동방영야초]] 5면 준보스. 공식 [[사기꾼]]. == 특징 == [[토끼]]가 오래 살아서 된 [[요괴토끼]]. [[호라이산 카구야]]와 [[야고코로 에이린]]이 [[환상향]]에서 살기 위해 맞이한 식구로, 어려 보여도 [[야쿠모 유카리]]만큼 오래 살았다. ZUN의 비공식 코멘트에 의하면, 테위의 모델은 고사기에 나오는 설화인 '[[이나바의 흰토끼]]'에 나오는 토끼로 구문사기에서도 환상향연기가 쓰이기 이전에도 존재했다고 한다. 최소한 환상향보단 나이가 많다. 아마 요괴 중에서는 최연장자급 중 하나로도 꼽힌다. 카리스마 따윈 애초에 버려서 카리스마 할망 라인이랑은 거리가 멀다. 공식 설정에 따르면 애초에 영원정 멤버들과 거래를 맺고 협력 관계가 된 거지, 산하로 들어간 것은 아니기에 대등한 입장이라고 한다. 때문에 설정을 충실히 지킨다면 레이센보다 윗급으로 에이린, 카구야와 동일한 위치다. 이때문에 2차 창작 등에서 레이센을 상대로 흔히 그려지는 하극상은 엄밀히 따지면 하극상이 아니다. 일본어 표기법에 따르면 테'''위'''가 아니라 '''데이'''가 맞다. 이는 후술. 다만 정식 발매된 서적들에서의 이름이 이나바 테위였기 때문에 나무위키에서는 정발명 우선 원칙에 따라 테위로 표기. == [[/작중 행적|작중 행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나바 테위/작중 행적)] == 대인 관계 == * [[호라이산 카구야]] (주인) * [[야고코로 에이린]] (사부 및 동료) 반말할 때도 있고 존댓말할 때도 있다. * [[레이센 우동게인 이나바]] (동거인) == 능력 == === 인간에게 행운을 주는 정도의 능력 === 구문사기에 따르면 '''40잎 클로버''' 정도의 행운을 받을 수 있으며[* 참고로 현실에선 구문사기 발간 당시(2006)엔 2002년 발견된 '''18잎'''이 기네스북 기록이었다. 현재 최고 기록은 '''품종 개량'''을 통해 2009년에 발견된 [[https://www.guinnessworldrecords.com/world-records/most-leaves-on-a-clover/?fb_comment_id=664391870336401_926117630830489#f7f5882209322|'''56잎''' 클로버.]] ], 인간에게는 꽤 괜찮은 능력이지만 애초에 인간이 테위를 만날 일은 테위가 주로 활동하는 [[미혹의 죽림]]에서밖에 없기 때문에 받은 행운을 죽림을 빠져나오는 데 쓰게 된다. 이 외에도 죽림이 인간을 유혹하여 다가오게 하는 것을 막는 것도 테위의 능력이라고 언급된다.[* 외래위편 인요명감.] === [[이나바 테위/스펠카드|스펠 카드]] === == 이명 == || 지상의 토끼[br](地上の兎) || [[동방영야초]][br][[동방맹월초]] || || 행운의 흰토끼[br](幸運の素兎) || [[동방화영총]][br][[동방구문사기]] || || 뛰노는 토끼의 대군[br](飛び跳ねる兎の大群) || [[동방문화첩 ~ Shoot the Bullet.|동방문화첩]] || || 교언영색[* 巧言令色. 남의 환심을 사기 위해 꾸미는 말과 아첨하는 얼굴.]의 흰토끼[br](巧言令色の素兎) || [[동방자가선]] || == 테마곡 == ||[[동방영야초]]||5면 필드곡||신데렐라 케이지 ~ Kagome-Kagome[* 일본의 민요 [[카고메카고메]]의 어레인지.][br](シンデレラケージ ~ Kagome-Kagome)||[youtube(TqiiPyIF8tU, width=320, height=35)]|| ||[[동방화영총]]||테마곡||우사님[* 宇佐의 독음은 '우사'로서, 일본의 동방 원네타 위키에 따르면 이는 [[우사 신궁]]과 우사기(토끼)인 테위 둘 다를 가리키는 것이다. 즉 말장난.][* 미국 등지의 양덕들은 이 곡의 제목을 'Lord '''Usa''''s elemental flag'로 번역하는데 양덕들 사이에선 저 부분을 [[USA]]로 읽은 말장난을 치기도 하며, [[클라운피스]]가 같이 언급되기도 한다.]의 새하얀 깃발[br](お宇佐さまの素い幡)||[youtube(vfwWRjdmqLU, width=320, height=35)]|| == 논란 == === 테위? 테이? === 이름은 因幡 てゐ. 이름이 てゐ이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테위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많지만, 로마자 표기는 Tei Inaba. ゐ라는 글자는 わ행에 있기 때문에 '위'라고 볼 수도 있지만 일본어 발음은 /i/(이)이다. わ행에 있으므로 ゐ를 위라고 읽어야 한다는 건 [[아키 미노리코]]의 스펠 카드 豊符「オヲトシハーベスター」를 풍부「오워토시 하베스터」[* 바른 발음은 오오토시 하베스타.]라고 부르자는 것과 같은 논리. 무엇보다 일본에서는 "Inaba Te'''__i__'''"(이나바 테'''__이__''')[* 장음 취급한다면 '''테-'''. 그래서 2차 창작물에서 종종 '''테-[[짱]]'''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혹은 자칭하기도(...)] 라고 발음한다. [[동방 프로젝트]] 캐릭터라고 '''ゐ를 /wi/라고 발음한다는 예외는 처음부터 없었다.''' 일본에서 테위 발음할 일 있으면 주의하자. 자세한 사항은 [[ゐ]] 참조. 사실 요즘에 와선 일본어 입력 시스템에서도 입력하기가 매우 번거로울 정도로[* 직접 입력하려면 wyi를 입력하면 된다. 그 밖에도 うぃ(wi)라고 입력한 뒤 변환하면 ゐ, ヰ가 변환 후보에 나오기는 한다. wye, うぇ(we)도 마찬가지.] 흔히 쓰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한국에선 이런 글자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은 ぬ와 비슷하게 생긴 모양 때문에 착각을 해서 테누라고 하는 사람도 간혹 있다고 한다. 처음 [[동방영야초]]에서 테위의 로마자 표기는 [[일본식 로마자 표기법]]을 따른 Tewi Inaba였기에, 일본에서도 발음을 표기할 때 てゐ, てうぃ, てい, てー 등을 혼용해서 사용하며 혼란을 많이 빚었었다. [[동방화영총]]에서는 [[헵번식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Tei Inaba로 바뀌었다. [[히나나위 텐시]]의 경우도 위에 의거하여 히나나이 텐시로 표기하는 게 맞다. 현대 일본어 발음상으로는 てい([[테이(동명이인)|테이]][* 그나마도 え단+い는 장음화하여 최종적으로는 '테'가 된다.])라고 하나 후에 연재된 [[동방맹월초]]에서 히라가나 표기는 てゐ로 되어 있으며, 현재 많은 동인 작품에서는 이를 따라 표기한다. 다만 원작자인 ZUN이 처음에 Tewi라고 로마자 표기를 한 것은 크게 생각 안 하고 했을 가능성이 높다. 역사적 가나 표기법의 경우 가나 표기와 실제 발음이 따로 노는 게 보통이다. 다만 로마자 표기는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 따른 표기와 상관없이 발음 기준인데, 일례로 朝鮮(ちょうせん, 역사적 가나 표기 テウセン)도 Teusen이 아니라 Chōsen이라는 식.[* 일본식으로는 Tyôsen이나, 직관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대부분 헵번식에 따른 Chōsen을 쓴다.] 그리고 헵번식에서는 ゐ는 i로 표기하므로 결국 어떻게 해도 Tei가 되어 버린다. 텐시도 비슷한 경우인데, 공식 로마자 표기로 Hinanawi와 Hinanai가 모두 존재한다. ゐ가 わ행 い단에 있다는 이유로 실제 발음을 고려하지 않고 wi라고 표기했다면, ち, つ는 ti, tu라고 해야 할 것이다. ~~たちつてと = 타티투테토~~[* 없진 않다. [[동방풍신록]]에 등장하는 [[코치야 사나에]]의 표기가 'Kotiya Sanae'였다. 다만 [[동방비상천칙]] 등에서는 Kochiya Sanae로 표기.] 동 작품의 [[후지와라노 모코우]]도 [[헵번식 로마자 표기법|Fujiwara]]가 아니라 [[훈령식 로마자 표기법|Huziwara]]라고 표기했다는 점에서 신빙성이 있다. 일단 보통 일본인들은 Tei라고 읽는다. 이는 [[ゐ]]와 같이 현재 없는 발음에 대해서는 あ행으로 대체해서 읽으라고 '''고등학교 정규 과정'''에서 배우기 때문이다. 현대에 [[ㆍ]](아래아)를 ㅏ로 대체해 읽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보면 된다. 때문에 일본 쪽 지식인 관련 사이트나 2ch에서 "ゐ를 うぃ라고 읽나요?"라는 질문을 하면 '''"[[비하|멍청아]] 고등학교 안 나왔냐"'''라는 답변을 들을 수 있다.[* 비슷한 예로 일본 화폐인 [[일본 엔|엔]] 역시 과거에는 ゑん이었고, 로마자 표기가 yen이고 외국인들은 /jen/으로 발음하지만, 일본 전국을 찾아봐도 자국 화폐를 /イェン/으로 발음하는 사람은 없다.] 참고로 [[외래어 표기법/일본어]]에 따라 표기할 경우 '''이나바 데이'''. 절로 Inaba's Day(이나바의 날)란 단어를 연상시키는 기묘한 표기다. 또한 중국에서는 '''因幡帝'''[* 중국에서는 한자 이름일 경우 한자를 그대로 간체자로 옮겨쓰고, 히라가나 이름일 경우 뜻이 있으면 그 뜻을 나타내는 한자로(예: [[코메이지 코이시|古明地こいし→古明地恋]] --코메이지 코이-- --고명지련-- --구밍드어롄--), 뜻이 없으면 대응되는 발음의 가장 많이 쓰이는 한자로 옮긴다(예: [[타무라 유카리|田村ゆかり→田村由佳里]]). 간혹 그냥 로마자로 쓰는 경우도 있다(예: [[나루호도 미누키|成歩堂みぬき→MINUKI]]). 테위는 '테이'라고 읽기 때문에 '테이'라고 읽는 '帝'로 표기했다.]라고 표기. ~~황제 테위~~ 종합하자면, '''ゐ를 '위'로 표기해도 [wi]로 발음하면 안되고 원발음인 [i]로 발음해야 한다.''' 굳이 ㅟ를 살려야 겠다면 [y]로 발음하면 되는데, 일본인들은 [y]를 ユ로 알아듣기 때문에 이것도 맞는 발음은 아니다. --그러니 [[마니아]]도 본래 발음에 가까운 매니아로 읽고 쓰자. 그건 [[고유명사]]가 아니잖아[[?!]]-- == 2차 창작 == ||<-10> '''{{{#white 역대 [[동방 프로젝트 인기투표|{{{#white 동방 프로젝트 인기투표}}}]] 캐릭터 순위}}}''' || ||<-10> '''{{{#000000 이나바 테위}}}''' ||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2> - || 21위 || 28위 || 33위 || 43위 || 54위 || 54위 || 63위 || 68위 ||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 || || 62위 || 67위 || 63위 || 70위 || 70위 || 74위 || 64위 || 67위 || 67위 || - || 아무래도 강자들이 많다 보니 인기투표에서는 계속 떨어지는 중. 특히 9회차 투표에서는 9계단이나 추락하는 치명상을 입었다. 일반적인 이미지는 [[사기꾼]]. 사기꾼 컨셉 때문에 [[하라구로|속이 검은]] 성격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일본에서는 우사기(う詐欺)[* 우사기(토끼) + 사기]라 하기도 한다. '달토끼는 방아를 찧는다'는 것 때문인지 떡매를 들고 다닐 때도 있다. ~~근데 달토끼는 얘가 아니잖아~~ 단, 찧는 대상은 주로 '''[[레이센 우동게인 이나바|레이센]]의 손이나 머리.''' [[동방감주전]]에서 [[세이란]]이 공식적으로 떡메를 들고 나온 뒤부터는 이 소재는 대부분 세이란에게 넘어갔다.~~해머 가져와~~[[http://i3.ruliweb.com/img/18/12/25/167e31165814e763d.jpg|#]][[http://i1.ruliweb.com/img/18/12/25/167e311758a4e763d.jpg|#]] 2차 창작 쪽에서는 간혹 혼자 나오지 않고 비슷하게 생긴 다른 토끼들과 함께 나오는 경우도 있는데, 테위가 요괴토끼들의 대장이라는 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텐구나 캇파 종족의 단역 캐릭터들이 2차 창작물에서 보이는 것과 비슷한 이치인 듯. 홍마향의 [[소악마(동방 프로젝트)|소악마]] 비슷한 포지션이라 그런지 동방 동인 게임에서 유독 이나바 테위만 중간 보스급 이하의 약자 취급을 받는다든가 하기도 한다.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등장한 적도 있다는 사실은 자주 잊히는 모양. 가장 자주 얽히는 [[커플링]]은 같은 토끼 종족인 [[레이센 우동게인 이나바]]. 그 외에 일단 사부/스승이라 부르는 [[야고코로 에이린]]이라든가, 우동게-에이린 커플에 맞춰 [[호라이산 카구야]]와 엮인다든지 한다. 이 밖에도 영원정에 은방울 꽃을 납품한는 [[메디슨 멜랑콜리]], 행운을 주는 능력에 대비되는 액을 모으는 능력을 가진 [[카기야마 히나]]와도 약소하게나마 있다.[* 이쪽은 행운과 정반대인 불행이다.] [[동방감주전]] 출시 이후에는 같은 토끼인 [[세이란]]이나 [[링고(동방 프로젝트)|링고]]와 가끔 엮이지만, 역시 그 둘끼리 엮이는 경우가 더 많은지라 메이저급은 아니다. 레이센 자체가 최약체 5면 보스다 보니 [[동방맹월초|동방맹월초(4컷)]]이나 동인지에선 [[레이센 우동게인 이나바]]와 자주 다니며 레이센을 자주 --갈군--놀려먹는다. 자주 나오는 장난은 함정을 파서 레이센을 빠뜨리는 것. 다만 동방 2차 창작물의 특성상 레이센과 사이가 나쁜 경우는 보기 어렵고 레이센에게 장난을 치는 이유가 이리저리 치이며 마음고생이 심한 레이센의 스트레스를 풀어 주기 위해서라는 동인 설정도 여기저기서 쓰인다. 설정상 나이는 연장자에 속하지만 취급은 꼬맹이라 [[치르노]] 등의 아동급 캐릭터와 같이 놀러다니거나 연관되는 이벤트를 다루는 동인지도 많다. 신장에 대해서도 작가마다 각각 다른데, 보통 아동형으로 그리지만 아키에다처럼 관록 있게 --그래 봤자 작지만-- 그리기도 하며, 심하게는 유치원생 정도로 묘사하기도 한다. 동방 캐릭터들 중 드물게 [[맨발]]로 다니지만 화영총에선 제대로 신발로 신고 나왔다. 아마 영야초 때에는 실내이기도 하고 긴급 상황이기도 해서 맨발로 돌아다닌 듯. [[레이센 우동게인 이나바]]는 꼬리의 유무가 비상천이 나올 때 까지 논란의 소재였으나, 테위의 경우 화영총 일러스트에서 꼬리가 보이기 때문에 논란이 거의 없었다. 아니, 사실 영야초 때부터 동인들은 꼬리를 반드시 그렸다. 테위의 이미지가 레이센에 비해 야생 토끼에 더 가깝기 때문에 그런 것이라 볼 수 있다. 말끝에 "-우사"를 붙이는 말버릇이 있다는 [[동인 설정]]도 있다. 특히 대사가 있기 전(화영총 발매 전)에 나온 것. 비슷한 이치로 당시에 나온 2차 창작물 중에서는 테위가 레이센에게 존대를 하거나 순수한 성격으로 나오는 경우도 많다. 테위는 지구산(?) 토끼로 달토끼를 부러워하거나, 달에 대해서 막연히 동경한다는 설정도 있었지만(대표적으로 [[테위! ~영원 테위Ver~]]) [[동방맹월초]]로 인해 완전히 부정되었다. 월인이 노예로 부리는 달토끼를 부러워한다는 것이 어불성설. 오히려 달토끼인 세이란과 링고가 환상향에 정착하는 것으로 달의 도시는 있을 곳이 못 된다는 것만 증명했다... [[동방구문사기]]에서 테위의 삽화를 담당한 츠쿠리모노지(つくりものじ)는 본래 웃는 얼굴을 그리려다 지우고 고쳐 그렸는데, 스케치가 덜 지워졌는지 그 흔적이 남아 있다. 2011년 토끼의 해가 되면서 팬아트가 쏟아졌으나 레이센보다 수량은 적은 편이고 그나마 레이센과 함께 그려진 팬아트가 많았다. [[니코니코 동화]]의 [[MUGEN]] 팬덤에서는 테위의 무겐 캐릭터가 유난히 인기가 많다. 2012년 이후로는 각종 무겐 AI 대회에서 가장 자주 볼 수 있는 동방 프로젝트 캐릭터가 되어 있는데, 이는 테위 자체가 인기가 많아서가 아니라 테위의 무겐 캐릭터가 워낙 깨알같이 정성을 들여서 제작되었기 때문. 바깥세상에 신사가 있다고 자칭하기도 한다. 실제로도 교토 지슈 신사(地主神社)에 있는 오오쿠니누시노 미코토(대국주명)의 상옆에 [[이나바의 흰토끼]]상이 있다. [[IOSYS(동인 서클)|IOSYS]]의 [[우사테이]]가 테위의 테마곡 두 개를 섞어서 만들었는데, 이 곡의 '''플래시 영상'''이 꽤 독특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문서 참조. == 기타 == * 한국계 캐릭터 떡밥이 있다. 이나바 테위의 모델로 추정되는 설화 [[이나바의 흰토끼]]의 기원과 관련된 떡밥. 한편 이나바의 흰토끼와 비슷한 설화인 '[[여수시|오동도 토끼 설화]]'의 연관성도 제기되며, [[동방 프로젝트]] 관련 짤방인 환상향 소녀 최악의 조합 中 '테위의 끊임없는 한국산 의혹'의 그림은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404193|오동도 토끼설화의 세계성]]의 표지로 되어 있다. * [[동프갤]]의 모갤러가 테위의 원전이 되는 하쿠토 신사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touhou&no=5775104|성지순례 후기]]를 쓰기도 했다. * 나무위키에서는 '[[테위]]'로 바로 들어올 수 없고[* '테위'라는 약자로 불리는 [[테일즈위버|게임]]이 있기 때문.], 한 단계를 더 거쳐야 한다. * [[신]]일지도 모른다는 떡밥이 있다. 사실 [[이나바의 백토]]를 모시는 신사 (바로 위에 소개된 하쿠토 신사)가 실존해서 테위에게도 신앙이 모이고 있긴 할 거다. ||てゐは只の妖怪兎ではない事は明らかであった。[br]테위가 평범한 요괴토끼가 아니라는 것은 명확했다. [br] ㅡ 동방맹월초 1화, 야고코로 에이린. || ||貴方の処に色々神様が居るって聞いたけど。[br]너의 거처에는 여러 가지 신님이 있다고 들었지만. [br] ㅡ 동방비상천칙 대전 모드 vs 우동게 승리 시, 모리야 스와코.[* 즉 영원정에는 최소 2명 이상의 신이 있다. 사실 [[월인(동방 프로젝트)|월인]]들도 신 취급 받으므로 [[야고코로 에이린]], [[호라이산 카구야]]만 해도 2명이다. ]|| [[분류:동방 프로젝트/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