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c0000, #c40a00 20%, #c40a00 80%, #cc0000)" '''[[러시아 연방 공산당|{{{#fff 러시아 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부위원장}}}]][br]{{{#fff {{{+1 이반 이바노비치 멜니코프}}}[br]Иван Иванович Мельников[br]Ivan Ivanovich Melnicov}}}'''}}}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멜니코프.jpg|width=100%]]}}} || ||<|2> '''출생''' ||[[1950년]] [[8월 7일]] ([age(1950-08-07)]세)|| ||[[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러시아 SFSR]] [[툴라 주]] 보고로디츠크 (現 [[러시아]] [[툴라 주]] 보고로디츠크)|| ||<|12> '''재임 기간'''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 ||[[1991년]] [[7월 26일]] ~ [[1991년]] [[8월 25일]]|| ||[[러시아 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 ||[[1995년]] ~ [[1997년]] || ||제2~8대 [[국가두마]] 의원|| ||[[1995년]] [[12월 17일]] ~ [[현직]]|| ||[[러시아 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1997년]] ~ [[2004년]] || ||[[러시아 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부위원장|| ||[[2004년]] ~ [[현직]]|| ||[[국가두마]] 제1부의장|| ||[[2011년]] [[12월 21일]] ~ [[현직]]|| || '''링크''' ||[[https://kprf.ru/personal/melnikov|[[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ivan-melnikov.livejournal.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m.vk.com/melnikov_kprf|[[파일:브콘탁테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elnikov_KPRF, 크기=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2 (역학·수학)}}} || || '''종교''' ||[[무신론]] || || '''소속 정당''' ||[include(틀:러시아 연방 공산당)]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반 멜니코프'''는 [[소련]], [[러시아]]의 교육인이자 [[러시아 연방 공산당]] 소속 정치인이다. == 생애 == 1972년 [[모스크바 국립대학교]]에서 공학·수학을 전공해 졸업한 후 [[소련 공산당]]에 입당했다. 이후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부설 기숙학교의 교사가 되었다. 1982년 물리와 수학 과학 학위를 얻기 위해 경계가 불규칙한 영역에서의 2차 쌍곡선 방정식에 대한 혼합 문제 논문을 발표했다. 1987년에는 초등 수학 교육 사범 기관의 장이 되었다. 1986년부터 1988년까지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연합 노동조합 위원회의 위원장이었다. 1988년부터 1991년까지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공산당 위원회 서기였다. 1990년 7월 13일 [[소련 공산당]] 28차 당대회에서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7월 14일 서기국 위원으로 배정되었다. 1991년 7월 전원회의에서 최후의 당중앙위원회 서기에 선출, 7월 26일부터 8월 25일까지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직을 역임했다. 1993년 [[러시아 연방 공산당]] 창당에 관여했고 [[모스크바]]를 중심으로 유세 활동을 했다. 또한 [[겐나디 주가노프]]의 측근으로 꼽혔다. 1997년부터 1999년까지 유럽평의회 의회에서 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1999년부터 2002년까지 [[국가두마]]에서 '''야당 공산당 의원임에도''' 교육, 과학위원회 위원장을 맡았고 교육과 관련한 새로운 법을 제정했다. 멜니코프 본인이 능력이 있던지라 약 3년간 여당 자리를 빌려 활동할 수 있던 것이었고 후에 국가두마 제1부의장이 될 때 이를 토대로 그의 능력을 입증했다. 위원장 활동을 하면서 서양의 교육 방식을 반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02년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2004년 [[러시아 연방 공산당]]이 분열되는 상황에서 끝까지 당수 [[겐나디 주가노프]] 편에 서며 차기 당권주자로 거론되기 시작했다. 2011년 12월 21일부터 공산당 몫의 [[국가두마]] 부의장 자리에 올랐다. 제2대 국가두마부터 230여개의 법안, 개정안을 발의하고 교육과학위원회의 위원장을 야당 소속으로 역임하는 등 거물 인사였기 때문에 제1부의장으로서 의장이 자리를 비우면 대신 의장 직을 수행했다. 2013년 지방선거에서 공산당의 [[모스크바]] 시장 후보가 되었으나 10.69%를 득표하며 3위로 낙선했다.[* 유명 야권 인플루언서 [[알렉세이 나발니]], 후에 반푸틴, 반부패 대표 주자가 되는 [[세르게이 푸르갈]]의 뒤를 이어 하바롭스크 지방지사가 된 미하일 덱타료프 등 야권 인사들이 대거 입후보해 표가 갈렸다.] 2022년 [[러시아]]의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인정에 관여한 국가두마 의원이라는 이유로 미국으로부터 제재당했다. [[분류:1950년 출생]][[분류:툴라 주 출신 인물]][[분류:모스크바 국립대학교 출신]][[분류:소련 공산당 28기 서기국 서기]][[분류:러시아의 정치인]][[분류:러시아 연방 공산당 소속]][[분류:교육인 출신 정치인]][[분류:학자 출신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