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이방과}}}'''[br]李芳果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fileup.filejo.com/1444090285_sShot7.jpg|width=100%]]}}} || || '''본명''' ||이방과 (李芳果) || || '''부모''' ||아버지 [[이성계(육룡이 나르샤)|이성계]], 어머니 || || '''동복형제'''[* 이외에도 대사를 통해 다른 형제들이 언급은 되지만 등장하지 않는다.] ||형 [[이방우(육룡이 나르샤)|이방우]][br]동생 [[이방간(육룡이 나르샤)|이방간]][br]동생 [[이방원(용비어천가 시리즈)|이방원]] || || '''이복형제''' ||동생 이방번[br]동생 이방석 || || '''배우''' ||[[서동원]][* 전작 뿌리깊은 나무에서는 이방지를 모시는 조연으로 출연하였다. 뿌리깊은 나무 11화에서 이방지의 말을 강채윤에게 전하려다 윤평에게 살해당한다. 같은 세계관 [[선덕여왕(선덕여왕)]]에서는 서라벌 십화랑 중 덕충으로 나왔다. 그 드라마에서도 여전히 [[알천(선덕여왕)|방우]]보다 약하다. 신세경, 전노민과 함께 선덕여왕 - 뿌리깊은 나무 - 육룡이 나르샤 세계관 세 작품에 모두 출연한 인물.] {{{-2 《[[육룡이 나르샤]]》}}} || ||<-2> '''훗날 [[정종(조선)|정종]]. 이성계의 둘째 아들.''' 아버지를 따라 온갖 전장을 누비며 충직하게 역할을 한다. 그만큼 가별초 내에서의 입지도 튼튼하고, 용맹도 있으나 정세를 읽어내는 능력이 부족하여, 동생 이방원을 점점 신봉하여 따르게 된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드라마 [[용비어천가 시리즈]]의 등장인물. == 작중 행적 == 아버지를 따라 온갖 전장을 누비며 제 몫을 하던 무장. 그만큼 가별초 내에서의 입지도 튼튼하지만 정세를 읽어내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동생 이방원을 따른다. 전형적인 바지사장이었던 역사적 배경 때문인지 상당한 호구로 나왔는데, [[이방원(육룡이 나르샤)|동생]]에게 허구헌날 의지하고 쩔쩔매는 것도 모자라 천생 무인이었던 실제 역사와는 달리 무인으로서의 능력치를 형인 이방우에게 죄다 빼앗기고[* 사실 실제 역사에 좀 더 가깝게 뛰어난 검객이라는 설정을 이방과에게 부여했다면 캐릭터의 괴리가 상당했을 것이다. 일류 검객이라는 사람이 동생에게 휘둘리는 나약한 왕으로 전락하게 될 것이니. 차라리 실제 역사랑은 동떨어지더라도 고려의 멸망에 반발해 세자 자리를 버리고 초야로 떠나갔다는 설정의 이방우가 이런 역할을 맡는게 더 적합할 것이다.] 자신은 [[무휼(육룡이 나르샤)|풋내기 무사]]에게 제압당해 나무에 묶이는 굴욕까지 당했다. 하지만 조민수의 계략에 빠져 이성계가 제거당할 위기에 놓이게 되자 가별초를 동원하여 전세 역전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재미있게도 선덕여왕에서도 김유신을 보고도 그냥 보내 주는 바람에 미실의 난이 실패로 돌아가는데 큰 공을 세웠다.] 그리고 이방원이 정몽주를 척살하자 화난 큰 형 이방우가 방원을 직접 죽이려 할 때 필사적으로 방우를 막으면서 방원을 보호해 줬다. 37회에선 이방우가 병을 핑계로 입궐을 거부하면서 실질적인 장남의 역할을 수행한다. 38회에서 정도전은 남은 형제들 중 가장 연장자인 방과를 세자로 책봉하길 원하지만, 이성계는 자기를 따라다니며 무인으로서 피를 너무 많이 묻혔다는 이유로 거부한다. 자기 다음 왕은 피비린내를 풍기는 인물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발언이었다. 조선 건국 후 방석이 세자에 책봉되자 형제들이 모인 자리에서, "난 사실 우리들 중(한씨 소생들) 누가 돼도 그냥 가만있으려 했으나, 이건 좀 아닌 것 같다."라며 세자 책봉에 대한 불만이 있음을 내비친다. 그리고 43회, 사병 혁파 와중에 자신의 사병을 지휘하는 가신들이 모조리 잡혀가자, 실로 노기충천하는 모습을 보인다. [[무인정사]]에 합류하려는 마음은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이방원]]의 피를 묻히지 말라는 요청에 이지란과 함께 있으면서 이지란의 눈을 돌리는 역할을 했다. 48회, 이방원과 함께 이지란을 설득해 내어 이성계 앞에 세운다. 이후 이성계가 자신에게 선위하자, [[이방원(육룡이 나르샤)|동생]]에게 "나는 정실에게서 자식이 없다. [[권력|다른 생각]] 또한 전혀 없다. 알고 있느냐?"라고 한다. 이때 아우의 살기등등함에 질린 탓인지는 몰라도, 왕이 된다는 게 탐탁지 않은 모습을 보인다. 50회, 2차 왕자의 난이 끝난 후 방원에게 선위한다. 어쨌든 역사 대로 작중에서 형제들 중 이방원과 가장 가까운 모습을 보이고 있고, 덕분에 이성계의 아들 중에 가장 먼저 왕위에 올라 팔자 좋게 살다 상왕으로 물러나 태종 이방원과 오손도손 재미있게 살았으니 어떻게 보면 인생의 승리자.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육룡이 나르샤/등장인물, version=1079)] [[분류:육룡이 나르샤/등장인물]][[분류:한국 드라마 캐릭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