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 {{{+1 '''이벽'''}}}[br]'''李蘗'''}}} || || '''본관''' ||[[경주 이씨]] || || '''출생''' ||[[1754년]]([[영조]] 30) || || '''사망''' ||[[1785년]]([[정조]] 10) (향년 33세) || || '''종교''' ||[[유교]]([[성리학]]) → [[기독교]]([[가톨릭|천주교]] | 세례명: [[세례자 요한]]) || [clearfix] [목차] == 개요 == [youtube(Ul-b_h-zwY0)] [[조선]]의 초기 [[가톨릭]] 지도자. 자는 덕조(德操). 한국천주교회(韓國天主敎會) 창립성조(創立聖祖) 5위[* 세례자 요한'''이벽''', 베드로'''이승훈''', 프란치스꼬 사베리오'''권일신''', 암브로시오'''권철신''', 복자아우구스티노'''정약종'''.] 중 한 명이다. == 생애 == 정약현의 처남이다. 정약현의 이복동생인 [[정약전]], [[정약용]]을 비롯하여 권철신, 권일신, [[이승훈 베드로|이승훈]]과 일찍이 교류가 깊었으며, [[천주실의]] 등 천주교 서적을 접하고 천진암에서 천주학을 연구하다가 천주학을 학문이 아닌 종교로 받아들였다. 이후 북경에서 그라몽 신부에게 세례를 받은 이승훈에게 세례를 받고 가성직[* 이 때는 아직 한반도에 정식으로 교계제도가 들어오기 전이라서 이승훈이 임의로 부여한 성직은 교회법상으로 효력이 없었고, 이벽 사후에 북경에서 청국 사제인 주문모(야고보) 신부를 파견하게 된다.]을 부여받았다. 이후 1785년에 [[https://maria.catholic.or.kr/dictionary/term/term_view.asp?ctxtIdNum=2768&keyword=&gubun=01|을사추조적발사건]]이 일어났을 때, 중인인 김범우[* 고문 후유증으로 사망. 집터에 훗날 [[명동성당]]이 세워졌다.]를 제외한 양반 신자들은 일단 풀려났으나 이벽은 아버지인 이부만(李溥萬)에게 '네가 배교하지 않으면 내가 자살하겠다'는 협박을 받자 배교하겠다고 한 뒤 집에서 칩거하다가 사망했다. == 사후 == * 이벽의 죽음에 대해 [[https://maria.catholic.or.kr/dictionary/term/term_view.asp?ctxtIdNum=660&keyword=%EB%8B%A4%EB%B8%94%EB%A4%BC&gubun=01|앙투안 다블뤼]][* 세례명 안토니오. [[천주교 서울대교구]] 제5대 교구장. 1866년 [[병인박해]] 때 [[http://galmaemot.or.kr|충청남도 보령시 갈매못]]에서 [[순교]]. [[한국 103위 순교성인]] 중 하나.] 주교는 "배교를 강요당하고 집에서 칩거하다가 전염병에 걸린 채, 가족들에게 이불을 너무 많이 덮혀서 죽었다"고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807111372750093|기록했다]]. * 이벽의 유작으로 알려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9195|성교요지(聖敎要旨)]]에 대해, 후대에 다른 사람이 이벽의 이름을 빌려서 쓴 [[https://www.yna.co.kr/view/AKR20190518034800005|위작이라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사실 이 연구 결과가 나오기 이전에도 수원교구 원로사목자 윤민구 도미니코 신부가 성교요지에는 옛 개신교 성경에서 유래한 표현인 '감람'이나 '여화화'라는 표현이 등장하는 반면 하느님을 뜻하는 '천주'라는 표현은 거의 등장하지 않는 점, 노아의 대홍수가 노아가 일으킨 것이라고 서술되어 있는 등 성경 내용과 맞지 않는 부분들이 있다는 점을 들어 성교요지는 후대의 위작이며 더 나아가 이를 인용하고 있는 만천유고와 이벽전도 위작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https://m.catholictimes.org/mobile/article_view.php?aid=262508|#]] * 이벽의 집터와 천진암은 성지로 지정되었고, 천진암 터에 [[천진암 대성당]]이 건설될 예정이다. * 이벽은 사후 교황청에서 [[하느님의 종]]으로 선정되었고, 김범우(토마스) 및 권철신(암브로시오)&권일신(프란치스코 하비에르)와 함께 시복 절차가 진행 중이다.[* 이벽이 늦었던 이유는 아버지의 강요로 배교하겠다고 한 행적이 컸다.] [[분류:조선의 인물]][[분류:1754년 출생]][[분류:1785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