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前 스타크래프트 1, 2 프로게이머}}}''' || ||<-2> '''{{{#white 現 스타크래프트 1, 2 옵저버}}}''' || ||<-2> '''{{{#white 現 아프리카TV BJ}}}'''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SL12 이영한.jpg|width=100%]]}}} || || '''닉네임''' ||태풍이영한|| || '''이름''' ||이영한|| || '''영문명''' ||Lee Young Han|| ||<|2> '''출생''' ||[[1991년]] [[8월 24일]] ([age(1991-08-24)]세)|| ||[[전라남도]] [[광양시]][* 한때 전라남도 순천시 출생으로 알려졌으나 [[순천시]]는 잘못된 정보라고 밝힌 바 있다.]||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본관''' ||[[전주 이씨]]|| || '''신체''' ||180.2cm, 112.9kg[* 9월에 올라온 이영한 방송국 공지 참고.]|| || '''학력''' ||[[성지중·고등학교|성지고등학교]]|| || '''병역''' ||[[사회복무요원]] 소집 해제 [br] (2020.01.30 ~ 2022.04.28)[* 집안 사정으로 인해 [[https://www.ygosu.com/community/?bid=starbbs&idx=2583468|분할복무]]를 신청하여 잠시 복무를 중단했던 적이 있었다. 이후 방송 겸직이 허락되어 방송과 사회복무요원 복무를 같이 진행하다가 2022년 4월 28일 소집 해제되었다.[[https://bj.afreecatv.com/lyh8808/post/86784552|방송국 공지]]]|| || '''형제''' ||1남 2녀 중 첫째|| || '''가족''' ||슬하 2남|| || '''ID''' ||'''Shine''' [br] Shine[KaL] [br] GSL_onpoong [br] wG_Shine|| || '''종족''' ||[[저그]]|| || '''데뷔''' ||[[드래프트/스타크래프트 시리즈#s-2.7|2008년 상반기 드래프트]] 3차 지명([[위메이드 폭스]])|| || '''소속''' ||'''[[위메이드 폭스]]''' (2008~2011)[br][[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스타크래프트|삼성전자 칸-삼성 갤럭시]] (2011~2015)[br][[WGM]]|| || '''별명''' ||'''태풍저그''', 코끼리, 뽕본좌, '''[[김택용|코]]파는 기계''', [br] 김용택 소환술사, 효자손 저그, [[박지원]], '''빌드보따리''', 이영'''한타이밍'''|| || '''종교''' ||[[무종교]]|| || '''링크''' ||[[http://www.afreecatv.com/lyh8808|[[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lyh6988, 크기=20)] [[http://www.cafe.daum.net/Shinefan|[[파일:다음 카페 아이콘.png|width=20]]]]|| [목차] [clearfix] == 경력 == ===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경력 === ==== 개인 리그 ==== [include(틀:역대 ASL 준우승자)] [include(틀:역대 OSL 4강진출자)] * 2007년 IEF 2007 16강 * 2008년 [[곰TV클래식]] 시즌1 128강 * 2008년 [[인크루트 스타리그]] 예선 탈락[* F조 결승전에서 김대겸에게 0:2로 패배.] * 2008년 [[곰TV클래식]] 시즌2 64강 2R * 2008년 [[BATOO 스타리그 2008]] 36강 * 2009년 [[곰TV클래식]] 시즌3 64강 1R * 2009년 [[박카스 스타리그 2009]] 36강 * 2009년 [[NATE MSL]] 32강 * 2010년 [[EVER 스타리그 2009]] 4강 (vs. [[진영화]] 1:3) * 2010년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1]] 16강 * 2010년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2]] 36강 * 2010년 [[WCG]] 2010 한국 대표 선발전 24강 * 2010년 [[박카스 스타리그 2010]] 16강 * 2010년 [[피디팝 MSL]] 32강 * 2011년 [[ABC마트 MSL]] 32강 * 2011년 [[진에어 스타리그 2011]] 16강 * 2012년 [[tving 스타리그 2012]] 8강 (vs. [[이영호]] 1:3 ) * 2017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3]] '''준우승''' (vs. [[이영호]] 0:3) ( 준우승 상금 : '''500만 원''' ) * 2017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4]] 16강[* 1경기에서 [[임홍규]]에게 패, 패자전에서 [[조일장]]에게 패하며 탈락.] * 2017년 [[G-STAR]] WEGL SC:RE 예선 탈락 * 2018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5]] 16강[* 2경기에서 [[한두열]]에게 승, 승자전에서 [[이영호]]에게 패, 최종전에서 [[박성균]]에게 패하며 탈락.] * 2018년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1]] 16강[* 1경기에서 [[장윤철]]에게 패(1:3), 패자전에서 [[염보성]]에게 패(1:3)하며 탈락.] * 2018년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2]] 예선 탈락[* 예선 결승에서 [[김성대]]에게 패했으며, 와일드카드전에서도 [[정영재]]에게 패하였다.] * 2018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6]] 16강[* 1경기 [[변현제]]에게 패, 패자전에서 [[도재욱]]에게 패하며 탈락.] * 2019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7]] 예선 탈락[* 서울 1차 예선에서 [[김현우(프로게이머)|김현우]]에게, 전주 2차 예선에서 [[김범수(프로게이머)|김범수]]에게, 부산 3차 예선에서 [[진영화]]에게 패배.] * 2019년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3]] 16강[* 2경기에서 [[김태영(1992)|김태영]]에게 패(1:3), 패자전에서 [[장윤철]]에게 패(1:3)하며 탈락.] * 2019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8]] 예선 탈락[* 서울 예선 결승에서 [[김성대]]에게 0:2 패배, 전주 예선 1조 8강에서 박정훈에게 0:2로 패배. 이후 개인사정으로 부산 예선 불참.] * 2019년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4]] 예선 탈락[* 예선 결승에서 [[박성균]]에게 2:3으로 패배.] * 2020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0]] 24강[* 2경기에서 [[정영재]]에게 패, 패자전에서 [[김택용]]에게 패하며 탈락.] * 2021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1]] 24강[* 2경기에서 [[김지성(프로게이머)|김지성]]에게 패, 패자전에서 [[윤수철]]에게 승, 최종전에서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에게 패하며 탈락.] * 2021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2]] 24강[* 2경기에서 [[김지성(프로게이머)|김지성]]에게 승, 승자전에서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에게 [[김지성(프로게이머)|김지성]]에게 패하며 탈락.] * 2022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3]] 예선 탈락[* 온라인 1일차 예선 결승에서 [[장윤철]]에게 1:2 패, 2일차 예선 4강에서 [[임진묵]]에게 0:2 패하며 예선 탈락.] * 2022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4]] 8강 (vs. [[김지성(프로게이머)|김지성]] 0:3) * 2023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5]] 16강[* 1경기에서 [[김지성(프로게이머)|김지성]]에게 승, 승자전에서 [[이제동]]에게 패(1:2), 최종전에서 [[김성대]]에게 패(0:2)하며 탈락.] * 2023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6]] 예선 탈락[* 온라인 1일차 예선 4조 4강에서 [[유진우(프로게이머)|유진우]]에게 0:2 패, 2일차 예선 10조 4강에서 [[김태영(1992)|김태영]]에게 1:2 패하며 예선 탈락.] ==== 팀 단위 리그 ==== * 2010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4위 (위메이드 폭스) * 2012년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 3위 (삼성전자 칸) * 2018년 6월 [[무 프로리그|무 프로리그 시즌1]] 준우승 (삼성전자 칸)[* [[송병구]], [[조기석]], [[이성은]], [[안겨]]와 한 팀.] * 2018년 12월 [[신한금융투자 무 프로리그 시즌2]] '''우승''' (신한금융투자)[* [[박지호(프로게이머)|박지호]], [[이영호]], [[신상문]], [[염보성]](이후 강태완), [[박지훈(프로게이머)|박수범]], 서연지와 한 팀.] * 2021년 [[아프리카TV 팀리그 시즌2]] 6위 (emTek 중계진)[*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 [[변현제]], [[조일장]], [[임진묵]]과 한 팀.] * 2022년 5월 9일 ~ 6월 8일 [[떡볶이참잘하는집 스타크래프트 멸망전 2022 대학대전 시즌1|떡참배 스타크래프트 멸망전 대학대전 시즌1]], '''염석대''' 소속으로 대회 우승 멤버가 되었다. 대회 개인 전적 0승 1패 [[염석대#스타멸망전 2022 대학대전 시즌1|#]] ==== 번외, 온라인 대회 ==== * 2018년 Brood War 20th Anniversary '''준우승''' (vs [[한두열]] 2:3)[* 러시아 스타크래프트 대회이다. 지금은 사라진 [[MBC GAME 스타리그|MSL]]과 같은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을 사용한 대회이다.] ==== 전적 ==== ||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KeSPA]] 공식전 통산 전적''' || '''103승 94패 (52.3%)''' || ||'''vs. [[테란]]''' || '''35승 46패 (43.2%)''' || ||'''vs. [[저그]]''' || '''36승 17패 (67.9%)''' || ||'''vs. [[프로토스]]''' || '''32승 31패 (50.8%)''' || ||<-4> '''{{{#ffffff 이영한의 스타1 양대 개인 리그 A매치 통산 전적}}}''' || || 방송사 || {{{#white 온게임넷 A매치 총 전적}}} || {{{#white MBC게임 A매치 총 전적}}} || '''양대 개인리그 합산 전적''' || || vs 테란 || 30전 13승 17패 (43.3%) || 13전 5승 8패 (38.5%) || 43전 18승 25패 (41.9%) || || vs 저그 || 13전 8승 5패 (61.5%) || 2전 1승 1패 (50.0%) || 15전 9승 6패 (60.0%) || || vs 프로토스 || 17전 10승 7패 (58.8%) || 8전 3승 5패 (37.5%) || 25전 13승 12패 (52.0%) || || 총 전적 || 60전 31승 29패 (51.7%) || 23전 9승 14패 (39.1%) || 83전 40승 43패 (48.2%) || === [[스타크래프트 2]] 경력 === * [[2013 WCS Korea Season 1, MANGOSIX GSL]] 코드S 16강 * [[2014 WCS Korea Season 2·HOT6 GSL Season 2]] [[코드 A]] → 코드 S 16강 * [[2014 WCS Korea Season 3·HOT6 GSL Season 3]] [[코드 A]] → 코드 S 32강 * [[SBENU Starcraft 2 StarLeague 2015 Season 3]] 챌린지 24강 * [[2016 HOT6 GSL Season 1]] 예선 통과 → 코드 A 탈락 == 상세 == [[대한민국]]의 前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드래프트/스타크래프트 시리즈#s-2.7|2008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위메이드 폭스]]의 3차 지명으로 입단했다. 가족 중에 [[할머니]]가 자주 응원을 오셨고, 자주 카메라에 잡히기도 했기에 이 분은 스타판에서 나름 유명인사였다. 본인도 할머니가 방문하셨을 때 성적이 좋았기에 스갤에선 할머니를 일컬어 '멘탈코치'로 부르기도 했다. 병력을 잔뜩 확보해 계속 러시로 들이대는 스타일이면서 운영을 못 한다. [[하이브]] 운영가서 이기는 경기를 손에 꼽을 정도. 스1 멸망전 시기까지도 이 운영 능력은 거의 발전하지 못한 모습을 보여줬다. 비유를 하자면 [[신대근]]에서 공격적 성향을 높이고 운영능력을 다운그레이드한 버전이라고 보면 된다. [[저프전/스타크래프트|저프전]]은 저그 치고는 강하지 않았으나, [[송병구]]에게 8강에서 올뮤탈 관광을 치는 등, 강한 모습을 보여줘 팀 동료인 [[신노열]]과 함께 [[송병구|송]][[로나쌩 클럽|나쌩 클럽]] 회원이었다. 게다가 [[김택용]]을 [[온게임넷 스타리그]] 36강에서 잡은 경험도 있다.[* 특히 박카스 스타리그 2010 시즌의 36강 경기는 희대의 역전승 경기로 꼽히며 택까들의 좋은 떡밥이 되었다.] [[저저전/스타크래프트|저저전]]에서는 비록 전적 수는 적지만 공식전 승률이 67.9%에 달할 정도로 저저전도 잘 했다. 하지만 [[테저전/스타크래프트|테저전]]은 잘 못했다.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s-7.19|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결승전 날짜와 장소가 '''[[태풍]]''' [[무이파]]에 따라 바뀌었기 때문에, 뜬금없이 '''이영한 프로리그 올킬 우승''', '''누가 이영한 초대했냐''', '''역시 [[김택용|코 파는 건]] 이영한이 최고''' 등의 드립이 나왔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종료 이후 [[위메이드 폭스]]가 해체되고 첫번째 포스팅 드래프트에서는 선발되지 않았으나, 추가로 [[삼성전자 칸]]에 입단하게 되었다. [[스타크래프트 2]]에서 김택용의 활동이 뜸해지자 코 파는 기계에서 [[김민철(프로게이머)|철벽]] 파는 기계로 전향한 것 같다. 2014년 2월 기준으로 스1 전적과 합쳐 상대전적이 '''8:0'''(!)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의 마지막 [[케스파]] 공식전 패배자이다. 하단에도 서술되어 있지만, 프로게이머로는 드물게 입담이 굉장한 편. 브루드워 시절 조지명식 당시에도 그렇거니와, [[2014 WCS Global Finals]] 16강전 객원 해설로 참여하여 능수능란한 해설을 보여 주었으며, 프로리그 2015 시즌 [[http://www.youtube.com/watch?v=FLqKls2uH4k|승자 인터뷰]]에서도 [[고인규]]가 선수에게 질문을 걸 필요가 없을 정도로 자신의 승인(勝因)을 논리정연하게 설명하면서, 인터뷰에 능숙한 것으로 널리 알려진 삼성 갤럭시 선수들 안에서도 군계일학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어휘 선택, 분석 면에서 전업 해설자 못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2015년, 스1계의 절멸을 불러일으켰던 [[승부조작]] 사건이 재연될 상황에 부딪쳤으나 이번에는 '''그의 [[여동생]]'''이 그 제의를 거부하고 '''알선자에게 일침'''을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e_sports&ctg=news&mod=read&office_id=347&article_id=0000070489|가한 것으로 알려져]] 큰 화제가 되었다. 이로 인해 가족의 힘을 받은 또 다른 사례가 되며 그의 정신적 버팀목이 가족임을 재증명하는 에피소드가 된다. 17년 기준으로 두 명의 [[아들]]이 있다. 27세라는 다소 이른 [[나이]]에 비해 [[결혼]]을 하였다. 개인방송을 한 이후 ASTL S2를 빼고 출전한 팀리그에서 걸어다니는 결승 티켓이라 불려도 될 정도로 성적이 좋다. 특히 스타대학대전은 염석대-바스포드 동료였던 유영진과 마찬가지로 스케스, 좋소파를 빼고 다 나가선 전부 결승전을 갔다.[* 염석대 소속으로 사라배 시즌1 준우승, 떡참배 우승, 바스포드 소속으로 사라배 시즌2 준우승, 철감봉남배 우승.] 특히 철감봉남 스타대학대전에서는 8강전서 3:2 상황에서 유진우를 잡아 매치포인트를 만들고, 결승전에서는 세트 스코어 1:3, 빌드, 서치 다 먹히는 최악의 상황에서 한두열을 이기면서 5:3 역전 우승에 큰 역할을 했다. === [[/초기와 2009년 상반기|초기와 2009년 상반기]]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이영한/초기와 2009년 상반기)] === [[/2009년 하반기|2009년 하반기]]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이영한/2009년 하반기)] === [[/2010년|2010년]]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이영한/2010년)] === [[/2011년|2011년]]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이영한/2011년)] === [[/2012년|2012년]]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이영한/2012년)] === [[/2013년|2013년]]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이영한/2013년)] === [[/2014년|2014년]]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이영한/2014년)] === 2015년 === [[프로리그]]는 기량이 다한 건지 몰라도 [[이병렬]]과의 전투에서 기적의 판단으로 짤방과 함께 엘리전 역전패를 당했다. 이후 프라임전에서 [[최병현(1992)|최병현]]에게 승리를 거두긴 했지만 그게 마지막 출장이었고, 3~4라운드에서는 전혀 나오지 못했다. 개인리그도 코드A 1회, SSL 듀얼토너먼트 1회라는 작년에 비해 초라한 성적을 거뒀다. 그리고 [[은퇴]]한 뒤 GSL 옵저버로 일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은퇴 사실이 알려진 날 펼쳐진 GSL 코드 A 예선을 통과했다. === 2016년 === 코드 A 60강에서 [[조성호(프로게이머)|조성호]]에게 무난한 0:3 패배를 당하며 조성호의 [[코드 S]] 진출을 향한 레드카펫이 되었다.. 그러나 이미 [[프로게이머]]에서는 은퇴했으므로 큰 의미는 없다. [[GSL]]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스타리그(ASL)의 [[옵저버(e스포츠)|옵저버]]도 겸했는데, ASL 시즌2 8강 도재욱과 조일장의 경기에서 중요한 부분을 놓치는 등, 갤러리 등지에서 그의 옵저빙이 지적되었다. 하지만 4강 [[리쌍록]]에서 드랍십이동경로를 놓치지않고 잡아내어 그간있었던 옵저빙의 지적을 한방에 날리는 계기가되었다 == 은퇴와 개인 방송 == 은퇴 후 2017년 4월 12일, [[아프리카 스타리그 시즌3]] 24강에서 [[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에게 장기전 끝에 아쉽게 분패했으나 [[윤용태]], [[장윤철]] 두 프로토스를 연파하고 16강에 진출했다. [[2017년]] 4월 30일, 테란전 연습 없이 [[한두열]]과 저그전만 10경기 연습하고 맞이한 아프리카 스타리그 시즌3 16강 A조에서는 이영호에게 분패했지만 상당한 경기력으로 이영호를 잠시나마 당황시켰으며, 나머지 [[김경모(프로게이머)|김경모]]와 [[고석현]]을 쉽게 잡으며 8강에 조2위로 진출했다. 8강 상대는 [[윤찬희(1992)|윤찬희]]. 2017년 5월 16일 윤찬희를 꺾고 4강에 올랐다. 1경기와 2경기를 내리 잡아냈는데, 2경기에서는 드랍십으로 본진이 털리는 와중에 9가디언&4럴커&소수의 히드라 리스크로 타이밍 러시를 시도하여 윤찬희의 앞마당을 뚫고 계속 히드라 리스크를 보내며 배럭을 장악하며 경기를 따냈다. 가히 놀라운 전략에 해설진들과 방송을 보고 있던 여럿 전 프로 게이머 BJ들에게 충격을 주었다. 3경기는 패했지만 4경기에서는 2경기보다 더욱 놀라운 경기를 보여줬는데 상대방이 중립건물을 파괴하지 않는 것을 보고 즉흥으로 상대의 본진 중립건물 부근에 해처리와 커널을 건설해 승리를 따냈다. 그리고 4강에서 현역시절 스토리가 많았던 김택용과의 매치업이 성사됐다. 다행히 윤찬희와의 8강 이후 개인방송 [[시청자]] 수가 크게 늘었다. 평소 두자리수였던 낮방송 시청자 수가 최고 1, 800여명으로 늘어난 것. [[별풍선]]도 이틀 동안 무려 약 5만개 정도 받았다고하니 역시 게이머는 [[게임]]을 잘하고 볼 일이다. 2017년 5월 27일 4강전에서 [[김택용]]을 3:1로 제압하고 결승에 진출하였다. 김택용을 상대로 버텨내는 저그가 거의 없다 보니 가끔 김택용을 이기는 저그들에게 주는 칭호로 생긴 밈이 '''코파는 기계'''인데, 이쯤 되면 정말로 진지하게 [[인간상성|공식 코파는 기계]]로 등극했다고 보아도 좋을 듯싶다. 승자 인터뷰에서 호기롭게 [[이영호]]를 상대로 써먹으려고 10년동안 숨겨둔 비밀무기들이 있으니 이영호를 결승에서 상대하고 싶다고 밝혔다. 그리고 이영호가 다음날 김민철을 4강에서 잡아서 원하는 대진이 성사되었다. 해설진은 [[신 리쌍록]]으로 포장을 해 주었지만[* 이전에 신 리쌍록이 있긴 했지만, 완벽히 [[스타크래프트 2 승부조작 사건|흑역사화]]한 터라 그렇게 이름 붙여도 안 될 것은 없다.] 6월 4일 벌어진 결승전에서 거의 아무것도 해 보지 못하고 3:0으로 완패를 당해 [[준우승]]을 했다. 전략은 어느 정도 준비해온 티가 났지만 그를 뒷받침해줄 피지컬이 부족했다는 평. 2017년 7월부터는 여동생들과 합동 방송 컨텐츠를 진행하고 있다. 여동생들이 어째 더 시청자들의 인기가 더 좋은 듯하다. 2017년 9월 20일 드디어 [[아프리카 스타리그 시즌4|ASL 시즌 4]] 조지명식이 열린 가운데 이영한은 저번 방송에서 "[[임홍규]] 찍겠습니다!"라고 말하였고, [[조지명식]] 때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진짜로 임홍규를 찍었다]]. 하지만 임홍규 역시 이걸 예상하고 임홍규가 먼저 이영한한테 조지명식에서 도발했다. [* 홍구 曰 이영한은 저번 시즌 서울 예선에서 저한테 10분만에 2대 0으로 부산행으로 갔다, 이번엔 10분만에 패자조로 떨구겠다. / 이영한 선수는 저한테 한번도 저그전을 제대로 보여준 적이 없다, 왜 저그전을 잘하는지 이유를 모르겠다. / 저는 승자전에 올라가서 8강에 진출할 거고 이영한 선수는 패자전에서도 떨어질 것이다.] 이영한 역시 마찬가지로 홍규한테 도발했다. 오프라인에서 임홍규가 약한 [[이미지]]가 박힌 만큼 이영한 역시 임홍규를 무시했던 건 당연한 것이었으며, 이영호가 선수 변경권을 쓸 때 임홍규가 난데없이 갑자기 이영호한테 도발을 해서 4저그조에 벗어나려고 했을 때 이영한이 이영호를 설득해서 임홍규와 함께 4저그조로 만드는 극악의 조로 만들었다. 2017년 9월 26일, ASL 시즌4 16강 B조 경기. 1세트 크로싱 필드에서 둘의 빌드가 9드론 발업인 상태로 시작했다. 하지만 여기서 이영한은 정면으로 저글링 6링이 달려가고 임홍규는 빙 돌려서 두번째 오버로드가 눈치채지 못하도록 이동하였다. 임홍규의 병력이 바로 본진으로 난입하면서 도중에 저글링 2마리를 제거하고, 이영한은 8링으로 임홍규의 본진에 들어갔지만 여기서 멀티태스킹에 밀리고 드론 3마리가 잡혀서 경기가 9대1로 기울어졌다. 임홍규의 저글링 세레머니와 함께 5분만에 패자조로 떨어졌다.[* 임홍규 曰 이영한이 정면으로 저글링 난입할 때부터 내가 이길거라는 거 알고 있었다. 두번째 오버로드가 이동할 때 시간 다 재가면서 준비했다 유튜브나 아프리카에서 12앞만 해서 낚일 거라고 예상했다.] 패자전 [[조일장]]과의 대결에서도 빌드가 엇갈렸다. [[조일장]]이 이영한의 앞마당에 몰래 해처리를 폈지만, 그곳으로 이동하던 이영한의 오버로드가 단 1센치 차이로 그걸 보지 못했고, 결국 조일장의 전략에 밀려 탈락했다. 2017년 10월 14일 이영한의 여동생 중 한명이 '''22슬이'''라는 아프리카 닉네임으로 5차 여캠 스타리그에 출전한다. 아프리카 개인 방송은 이미 그전에 시작한 듯. 2018년 3월 11일, [[아프리카 스타리그 시즌5|ASL 시즌5]] 24강 A조 승자전에서 [[하늘(1994)|하늘]]을 쇼부로 치즈러시까지 동원하면서 잡아냈다. 첫번째 매치에서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를 [[스파클(스타크래프트)|스파클]]에서 힘겹게 잡아낸 데 비해 승자전은 비교적 쉽게 게임을 끝냈다. 그러나 16강에서 2테란의 벽을 넘지 못했다. 2018년 7월 [[KSL]]에서 [[김승현(프로게이머)|김승현]]을 예선 결승에서 3:0으로 완파하고 16강에 진출했고, B조에 배치되었다. 그러나 B조 1경기에서 [[아프리카 스타리그 시즌5|ASL 시즌5]] 준우승자인 [[장윤철]]에게 1:3으로 패하여 패자전으로 내려갔다. 패자전 상대는 테란인 [[염보성]]이고, 최종전으로 가더라도 자신을 한 번 이겼던 장윤철이나, 테란 [[조기석]]이기 때문에 탈락이 유력한 상황이었으며, 결국 염보성에게 1:3으로 패하면서 대회를 조기에 마감하게 되었다. [[2018년]] 8월 [[ASL 시즌6]]에서는 [[권혁진]]과 [[유영진(프로게이머)|유영진]]을 격파하고 서울 예선을 통과했으나, 24강에서도 [[한두열]]과 [[김윤중(프로게이머)|김윤중]]을 격파하면서 16강을 확정지었다. 그러나 16강에서 [[변현제]]와 [[도재욱]]에게 패하면서 준우승 이후 계속해서 16강의 고비를 넘지 못하고 있다. 2018년 9월 [[KSL 시즌2]] 오프라인 예선 조 결승에서 [[김성대]]에게 패했으며, 와일드 카드전에서도 [[정영재]]에게 패하면서 본선에 진출하지 못했다. 2019년 1월 [[ASL 시즌7]]에서는 서울 예선에서 [[김현우(프로게이머)|김현우]]에게, 전주 예선에서 김범수에게, 부산 예선에서 [[진영화]]에게 패하면서 이번 시즌에는 ASL에서 모습을 볼 수 없게 되었다. 이영한 본인의 회고로는 ASL 시즌6부터 본인의 경기력이 심상치 않음을 느꼈었다고 한다. [[KSL 시즌3]]에서 본선에 진출해 16강 명단에 이름을 올렸으나, 김태영에게 3:1로 패해 패자전으로 밀려나고 장윤철에게 3:1로 패해 탈락했다. 이후 양대 리그에 연이어 도전했으나 모두 예선 탈락의 고배를 마셨고, 본인도 개인 방송보다는 옵저버 활동에 전념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2020년 1월에 사회복무요원으로 입소하였다. 부양해야 할 자녀가 있어 겸직허가는 받아 놓았으나, 그것과는 별개로 방송이 허용될지는 미지수라고. 결국 방송이 허용되지 않아 2020년 7월에 잠시 복무를 중단하고 돌아왔다. 이후 [[ASL 시즌10]]에 도전하여 1일차는 [[황병영]]에게, 2일차는 김경모에게 패하면서 또 탈락의 고배를 마시나 했지만 마지막 3일차 예선에서 [[윤찬희(1992)|윤찬희]]를 잡아 내면서 4시즌만에 본선 복귀를 이루어 냈다. [[김택용]], [[신상문]], [[정영재]]와 한 조를 이뤘는데, 정영재에게 패배한 후, 김택용을 상대로 상대 본진에서 러커를 변태시키는 도박수를 성공시켰으나, 피가 거의 없는 러커의 버로우를 풀고 이동한다는 판단 미스를 저지르고 김택용이 커세어로 오버로드를 찢는 것을 막지 못하며 결국 패했다. 이후 [[ASTL S2]]에 추가 지명을 받아 중계진 팀에 합류했다. 개막전 1경기부터 1세트에 나섰고 김성대와 맞붙었으나 패했다. 팀도 조일장과 변현제가 연이어 패하면서 0:3으로 패배하고 말았다. 이후 2경기에는 출전하지 않았고 팀은 에이스결정전 끝에 패했다. 이후 3경기에 4세트 벤젠에 출전해 장윤철과 대결할 예정이었으나 팀이 3:0으로 이기하면서 출전이 무산되었다. 4경기에서는 출전하지 않았고 팀이 패하면서 포스트시즌 탈락이 확정되었다. 이후 마지막 경기인 5경기에 출장하여 유진우와 맞붙었으나 패하였고 0승 2패로 대화를 마감했고 팀도 패하면서 최하위가 확정되었다. [[MPL 시즌1]]때는 4승 무패로 조기석과 더불어 MVP급 활약을 펼쳤고,[[MPL 시즌2]] 때도 2승 3패로 나쁘지 않은 성적에 팀이 우승했음을 감안하면 많이 아쉬운 활약. 이후 [[ASL S11]]에 도전하여 [[신상문]]과 [[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를 잡아 내면서 지난 시즌에 이어 다시 24강에 오르게 되었다. [[2021년]] [[3월 30일]]에 열린 24강 B조 경기에서는 1경기에서 [[김지성(프로게이머)|김지성]]에게 패했고, 이어진 패자전에서는 [[윤수철]]에게 승리를 거두며 최종전에 진출했다. 그러나 최종전에서는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에게 패하며 두 시즌 연속으로 24강에 머물고 말았다.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2|ASL S12]] 2일차 예선에서 [[윤수철]]을 꺾고 ASL 본선에 이름을 올렸고,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 [[홍덕]], [[김지성(프로게이머)|김지성]]과 함께 F조에 포함되었다. 2021년 9월 14일에 열린 24강에서 2경기 김지성에게 4드론의 빌드를 꺼내며 승리했으나, 승자전 이재호에게 패했고, 최종전에서 김지성을 다시 만났지만 이번에는 패하며 2시즌 연속으로 24강에 머물러야 했다. [[ASL S13]]에서는 1일차에서는 장윤철, 2일차에서는 임진묵 등 예선에서 강자들을 연이어 만나 패배하며 예선 탈락하며 2년만에 예선 탈락의 쓴 맛을 봤다. [[ASL S14]]에서는 신상문에게 1일차 예선에서 패배하였으나 2일차 예선에서는 전 프로들과 배치되지 않으면서 지난 시즌의 탈락을 딛고 다시 본선 진출하였다. 24강에서는 인간 상성인 장윤철에게는 패하였지만 이제동을 두 번이나 잡아내는 저력을 발휘하면서 16강에 진출하였다. 이후 16강부터는 빌드보따리의 귀환인 시즌이었다. 3테란조(이재호, 윤찬희, 황병영)에서 윤찬희를 이기고, 승자전에서 이재호 상대로는 다 잡은 게임에서 오버를 두고 가디언을 진출하여 레이스에 다 따이며 역전당하고 패배하여 최종전으로 떨어졌으나 최종전에서 황병영을 이기며 괜히 준우승자가 아닌 저력을 보여주며 16강 A조에서 2등으로 진출하였다. 이후 8강에서 김택용을 만났다면 4강까지는 기대해볼 수 있었으나 하필 저그전 7연승중인 김지성을 만났다. 3테란조에서 살아남은, 이재호 상대로 1승은 따냈던 경기력은 없어지고 김지성 상대로 [[ASL S3]] 결승을 되풀이하며 0:3으로 탈락. 상대였던 김지성은 김민철까지 뚫고 결승에 올라가더니 유영진마저 꺾고 우승해서 이영한이 압도적으로 패배할만 했던 상대였다. [[ASL S15]]에서는 8강에서 탈락했고 와일드카드전도 없기 때문에 시드를 확보하지 못하여 다시 예선에 출전해야 한다. 1일차 예선에서 김준혁에게 패배하였으나 2일차 예선에서 [[유승곤]]과 [[정경두]]를 꺾고 24강에 진출하였다. 24강에서는 김명운, 홍덕, 윤찬희와 같은 조에 편성되었다. 첫 경기에서 윤찬희에게 승리를 거둔 후 승자전에서 김명운에게 패했으나 최종전에서 홍덕을 잡아내며 16강에 진출한다. 16강에서는 지난 시즌 8강에서 자신에게 0:3 패배를 안긴 우승자 김지성의 선택을 받으며 A조에 합류하였다. 이후 지난 시즌 두 번이나 잡아내었던 이제동을 선택하면서 3저그조를 만든다. 이후 16강 개막전에서 김지성에게 승리하였으나 승자전, 패자전에서 이제동, 김성대에게 패하면서 이번 시즌은 16강까지였다. 지난 시즌은 저저전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이번 시즌은 도리어 저저전에 발목을 잡히고 말았다. == 플레이 스타일 == * 스타크래프트 1 모든 종족전 공통된 특징으로 빌드보따리나 이영'한타이밍'이라는 별명이 있는 것처럼 뜬금없는 빌드, 불리하든 유리하든 뜬금없는 한순간의 타이밍으로 게임을 잡아내는 초반에 강한 선수이다. 그가 시도하는 빌드는 양산형 게임과는 다른 양상을 보여 재밌다고 평가받으며, 저저전에도 강하다. 아예 모르는 사람들이 많지만 공식전 저저전 승률이 무려 '''67.3%'''로, 현역 시절에는 이제동 다음으로 저저전 승률이 2위이다.[* 동족전 승률은 리쌍 다음으로 3위이며, 역대 저그전 승률은 3종족 다 합쳐서 이제동, 이영호, 김택용, 이재호, 최연성 다음이다.] 저저전 공식전 승률 6할을 넘긴 선수는 이제동[* 이쪽은 6할을 넘어 7할마저 넘겼으며, 이것도 2011년 이후 승률이 하락하면서도 유지한 것이다. 2007년, 2008년 두 해는 승률이 '''8할대'''였으며, 2009년, 2010년 두 해도 75%를 넘겼다.], 이영한, 한상봉, 박찬수 이렇게 4명이 전부이다! 큰 무대에서 저저전을 보여줄 기회가 거의 없었어서 덜 알려진듯 하다. 단점으로는 기본기나 후반의 뒷심이 약하다는 평을 받는다. 다만 S급 테란들로 인해 기본기가 상대적으로 약해보일 뿐이지 김윤환이나 한두열처럼 피지컬이 반쯤 망가진 수준은 아니며 토스전에서는 현역시절부터 김택용 담당일진인 코파는 기계이고 후반에도 약하진 않다. 테란전은 [[ASL S14]]에서 16강 A조에서 보다시피 3테란조에서 2위로 살아남은 저력을 보면 S급 테란만 아니면 절대 테란전이 약하지 않은 저그다. 그 예로 ASL에서는 기본기 좋다고 알려진 테란 윤찬희 상대로 상대전적이 5:1로 앞서고 있다.[* 다만 윤찬희는 저막 테란으로 유명하기도 하다.] == 관련 항목 == [include(틀:WGM)] [include(틀:바스포드)] [각주] [[분류:이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