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IB79iNCeb0)]}}} || || '''{{{#00FF00 Ion stor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ieeNKKtL-8)]}}} || || '''{{{#00FF00 Ion storm(remix)}}}''' || Ion Storm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선]]부터 [[지구]]에서 발생하기 시작한 기상 현상.''' 전 지구가 [[옐로우 존]]화하면서 세계 곳곳에서 관측사례가 늘어났다. 원인은 [[타이베리움]]이며 이외에 타이베리움으로 인해 변이한 생명체에서도 그 원인이 있다고 추측한다. [[GDI]]의 타이베리움 연구 선구자인 [[이그나티오 뫼비우스|모비우스]] 박사도 이것에 사망했다. >Ion storm approaching. >이온 폭풍 접근 중. >---- >맵에 이온 스톰이 적응되기 전 [[EVA(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EVA]] 또는 [[카발(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카발]]의 경고. 2번 실시 후 곧바로 환경이 바뀐다. 먼저 화면이 폭풍이 불 때처럼 다소 어두워지고 레이더가 먹통이 되는 것에서부터 시작해 호버가 무력화[* 호버 유닛이 물 위에 있을 경우엔 물에 빠지고(그대로 손실), 땅 위에 있을 경우엔 바닥에 내려앉아 이동이 불가능해진다. 단, 이 상태에서 공격은 가능하다.]되고 공중 유닛의 이륙이 불가능해지면서 동시에 이륙 중이었던 항공기가 추락[* 비행중이던 [[점프 젯 보병]]은 공중에서 폭발하며, 차량 유닛 수송을 위해 차량 유닛을 잡고 땅에 대기 중인 [[캐리올]]도 폭발한다.]한다. 여기에 한 술 더 떠서 일정 확률로 낙뢰가 랜덤 + 건물 또는 유닛을 노리는 패턴으로 떨어지며 성가신 상황이 된다. 이 이온 스톰 [[번개|낙뢰]]의 데미지가 장난이 아니라 보병은 일단 맞았다 하면 불춤을 추는데다가 건물과 차량 역시 파손되기 일쑤고, 운이 정말 나쁘면 아군 기지의 땅이 푹푹 패이고 자신의 블루 타이베리움 밭에 낙뢰가 떨어져 다 터지는 등 끔찍한 사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 헌데 이 어두운 상황에서도 [[타이베리움]]만은 형광색으로 빛나면서 이 녀석이 원인이라는게 두드러진다. --[[저놈의 몸에 생기가 돌아온다]]!-- 기본적으로 특정 싱글 미션에서 나타나며, 멀티플레이/스커미시에선 '''스톰'''과 '''스톰 밸리'''에서 볼 수 있다. 그리고 확장팩 파이어스톰에서 랜덤 맵 생성시 이온 스톰을 발생시킬 수 있는 옵션을 설정해 줄 수 있다.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선 파이어 스톰]]에선 [[마이클 맥닐]]이 소유한 [[코디악]]이 처음부터 이것을 맞아 추락해 버린다. 다행히 맥닐이 타지 않은 상태였지만 그외 승무원들은 [[끔살]]. 3에선 주변 배경과 [[스크린(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스크린]]이 의도적으로 일으킨 것 외엔 없다. EMP 영향은 게임상에선 삭제. 낙뢰의 위력은 많이 약화되었지만 신경에 거슬리며 초창기 스크린 [[하베스터(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하베스터]] 폭파, --장구벌레--[[행성 강습 캐리어]]와 [[폭풍 기둥]]이 반영구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스크린 공군 입장에선 꽤 중요하며 체력 회복, 방어력, 공격력 증가 등의 버프가 있어 캐리어를 잘만 사용하면 ~~[[가재]]~~[[데버스테이터 워쉽]], ~~[[만두]]~~[[스톰라이더]]를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단 [[모선(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모선]]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리고 적도 같은 스크린일 경우 적의 함선까지 다 치료된다(...). 주변 배경에서 나타나는 경우는 타이베리움 구덩이와 결정 주위에서 자그마한 이온 스톰을 볼 수 있다. [[레드 존]]에 가면 신나게 볼 수 있고, 낙뢰 외에 [[토네이도]]를 일으켜 타이베리움 파편을 빠른 속도로 흩날린다니 현실의 폭풍보다 위험하다. [[슬링샷]]은 이러한 이온 스톰에 견디는 [[호버크래프트]]라는 설정이 있다. 4에선 타이베리움을 폭파시켰을 시 나타나며 정말 한대 한대가 무진장 아프니 잘 쓰면 좋으나 피아식별이 없으니 주의하자. 4편의 인트로 동영상 중 케인이 GDI로 찾아갈 때 이온 스톰의 단면과 레드 존의 모습을 대략적으로 이미지화할 수 있다. [[분류: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움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