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이외수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한국갤럽 선정 한국인이 좋아하는 소설가)] ---- [include(틀:시사저널 '누가 한국을 움직이는가'/문화예술인/2010년대)]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0%, #000000 20%, #000000 80%, #000000)" '''{{{#ffffff {{{+1 이외수}}}[br]李外秀 | Lee Oi-so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외수2.jpg|width=100%]]}}} || ||<|2> '''출생''' ||[[1946년]] [[9월 10일]][* 음력 1946년 8월 15일] ||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함양)|수동면]] 상백리[* [[전주 이씨]] 집성촌이다. 초등학생 시절부터 [[강원도]] [[인제군]]에서 성장했다.] || ||<|2> '''사망''' ||[[2022년]] [[4월 25일]] (향년 75세) || ||[[강원도]] [[춘천시]] [[교동(춘천)|교동]] [[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 || || '''묘소'''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산면]] 군자리 산134-1[br]춘천안식원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거주지'''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상서면[* 상세 주소는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상서면 감성마을길 157 (다목리 792)] || || '''본관''' ||[[전주 이씨]] || || '''신체''' ||169cm, 50.4kg, [[A형#s-1]][* [[https://n.news.naver.com/article/047/0001986986|#]]] || ||<|2> '''가족''' ||배우자 전영자[* 1973 미스 강원 출신. 이외수와는 1976년 11월 29일 결혼했다. 2019년 4월 22일 결별했다고 밝혔으나 법률상 이혼에까지 나아가지는 않았고 [[졸혼]]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2020년 3월 22일 이외수가 뇌출혈로 쓰러지자 전영자가 다시 배우자로서 간호하기 시작하였고, 이외수가 사망할 때까지 그의 곁을 지켰다.] || ||장남 이한얼, 차남 이진얼, [[마젠타블랙|혼외자 오 모씨]][* 1987년생. 내연녀 오 씨(1957년생) 사이에서 얻은 아들이며 현역 웹툰작가다.] || || '''학력''' ||기린초등학교 {{{-2 (졸업)}}}[br]인제중학교 {{{-2 (졸업)}}}[br][[인제고등학교(강원)|인제고등학교]] {{{-2 (졸업)}}}[br][[춘천교육대학교|춘천교육대학]] {{{-2 (중퇴)}}} || || '''병역''' ||[[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 전역[* [[대한민국 육군본부]]에서 총무과 필경사로 복무를 마쳤다.] || || '''등단''' ||1972년 소설 '견습 어린이들' || || '''링크''' ||[[https://leeoisoo.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GNGS10omfhoWWnI_Z7Ezm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bWtLX4zW_1vpXIYRuOzpvA/video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존버채널^^[* 유튜브는 사실상 브이로그를 주 콘텐츠로 했다.]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oisoo, 크기=20)] | [[https://instagram.com/oisoo2|[[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oisooTM|[[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story.kakao.com/ch/oisoo/|[[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width=20]]]] | [[http://oisoo.tumblr.com|[[파일:텀블러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제가 생각하는 기인의 행동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예술|글이나 그림, 음악]]을 한다고 하면 다 말립니다. 춥고 배고프다 이거지요. 저는 30년 동안 글을 쓰면서 제 마누라와 자식들을 굶기지 않고 살아왔습니다. 이건 기인 중에 기인이지요."''' >---- > - 이외수, 예능 프로 [[무릎팍도사]]에 출연했을 때의 발언이다.[[https://youtu.be/SN_eOZblnpE?t=21|#]] 이외수가 저렇게 말했다고는 하지만, 정작 본인은 지역일간지 기자, 교생 시절, 등단 초창기부터 결혼 초기에 이르기까지만 해도 가난함에서 벗어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 삶을 살았다. >--[[어둠에다크에서 죽음의데스를 느끼며|아 씨바, 할 말을 잊었습니다]]-- [[대한민국]]의 [[작가]]. 방송 활동 및 [[하악하악]] 등의 에세이와 소설들로 유명하다. [[기인]], [[도인]]의 이미지, 시대에 뒤쳐지지 않는 원로 작가의 이미지가 있다. == 생애 == [[1946년]] [[9월 10일]]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상백리에서 출생했다. 외가에서 태어났다고 바깥 외(外)자와 항렬자인 빼어날 수(秀)를 합해서 이름이 이외수가 되었다.[* 전주 이씨 양녕대군 18세손(대수로 변환하면 17대손), 시조 41세손 秀자 항렬이다. [[https://news.v.daum.net/v/20080829033305758?f=o|#]] 아버지 성함은 양녕대군 17세손(대수로 변환하면 16대손) '승(承)' 자 항렬을 넣은 이승윤. 즉 [[이승만]]의 조카 뻘이자 [[이승기]]의 할아버지 뻘이 된다.] 어머니는 초등학교 교사였는데 그가 3살 때 질병으로 사망했다. 그의 아버지는 [[직업군인]]이었고 [[6.25 전쟁]]에 참전하여 화랑무공훈장을 받은 사람이다.[* 그래서 2007년 사망 후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아버지는 여러 곳에서 군복무를 하였고 이외수는 아버지를 따라 자주 학교를 전학다녔는데 고향인 [[경상남도]] [[함양군]] 상내백초등학교, [[대구삼덕초등학교]], [[강원도]] [[화천군]] 신풍초등학교, 강원도 [[양구군]] 양구초등학교, 강원도 [[인제군]] 기린초등학교 등을 거쳤다. 6학년 때는 아버지가 전역을 하고 교사가 되었는데 이외수의 담임을 맡기도 했다. 강원도 인제군 기린초등학교와 인제중학교를 거쳐 [[인제고등학교(강원)|인제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4년]] [[춘천교육대학교]]에 입학했다. [[1968년]] [[육군]]에 입대한 뒤 1971년 제대하고 1972년 춘천교육대학교를 중퇴했다. 어릴 적 꿈은 화가로 춘천교대 시절 미전에 입상한 경력도 있었지만 스스로 재능이 부족하다는 생각에 절망해서 소설을 쓰게 되었다고 한다. [[http://blog.naver.com/pom0308?Redirect=Log&logNo=19330724|#]] 이 해에 강원일보 [[신춘문예]]에 <견습 어린이들>이 당선되었으며 1973년엔 인제남초등학교 곗골(인제읍 남북리 일대)분교 소사로 잠시 근무하였다.[* 그가 담당하던 아이들은 그야말로 두메산골 아이들로 처음에는 소통하는 데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고 한다. 아니 '''마을 사람들 전체가 까막눈이었다.''' 그리고 그 시절의 경험은 그가 소설을 쓰는데 큰 영감을 받은 적이 있기도 하다.] 그에게 있어서 [[1970년대]]는 가난으로 찌든 절망의 세월이었다. [[춘천시|춘천]]에 살면서 구걸한 경험도 있고 하숙집 방세가 밀려서 쫓겨난 적도 있으며 [[크림빵]]으로 하루를 때운다거나 생라면 한 봉지로 며칠을 때운 경험도 있다. 심지어는 빈 쓰레기통이나 개집에 들어가서 하룻밤을 새기도 했다고 한다. 이렇게 절망스런 젊은 시절을 보낸 것에 본인도 한이 서리고 고생을 많이 해서 그런지[* '아, 돌아보면 눈물겨워라. 마음을 비우기 전에 내장이 먼저 비어 있었던 내 젊은 날'이라고 젊은 시절 경험을 회고했다.] 가끔씩 들어오는 "젊은 시절로 돌아간다면 뭘 하고 싶으신가?"라는 질문에 '''"내가 미쳤냐?"'''고 대답했다고 한다. 교육대학교 재학 시절에서는 당시 학장이 이외수의 생활 사정을 참작해 조금이나마 이외수의 생활을 도와줄 정도이기도 하였다.[* 산문 <그대에게 던지는 사랑의 그물>의 내용을 기초로 보충한다.] [[1975년]] <세대>지에 중편 <훈장>이 신인문학상을 수상함으로써 정식 등단해 생활에 숨통이 트이기 시작하였고 [[강원일보]]에 기자직으로서 잠시 근무하였다. [[1976년]] [[11월]] 전영자와 결혼하고 춘천 세종학원과 원주 원일학원에서 강사로 근무하였다. 장편 <꿈꾸는 식물>을 발표, 몇편의 단편을 발표하고 창작에만 전념키 위해 1979년 모든 직장을 포기하고 이후 전업 작가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초창기 창작 활동에서는 가난한 시절 가끔씩 사창가에 빌붙기도 하였는데[* 너무 굶고 살아서 미녀를 봐도 성욕이 돋궈지지 않았을 정도였다고 회고했다.] 이때의 경험이 <꿈꾸는 식물>을 집필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이후 창작집 <겨울나기>, 장편 <들개>, <칼>, <산목>, <벽오금학도> 등을 비롯해 [[에세이]] <내 잠속에 비 내리는데>, <말더듬이의 겨울수첩> 등을 간행하였다. 특히 초기 대표작으로 꼽히는 <꿈꾸는 식물>과 <장수하늘소> 등은 섬세한 감수성과 환상적 수법이 돋보이는 [[탐미주의]]적 소설로 신비체험과 초현실세계를 즐겨 다루는 이후의 작품 세계를 가늠하게 하는 중요 작품으로 평가된다. 1990년 나우 갤러리에서 '4인의 에로틱 아트전', 1994년 신세계미술관에서 선화(仙畵) 개인전을 개최하는 등 화가로서의 경력도 있다. === 투병 후 활동 === [[2014년]] [[10월]] 위출혈로 인해 진단을 받았더니 [[위암]] 2기 판정을 받아 일시적으로 모든 활동을 중단하고 1달 가까이 투병 생활을 하였다. [[https://twitter.com/oisoo/status/524529984417722370|#]][[https://twitter.com/oisoo/status/532007654919401472|#]] 위 절제 수술까지 수반해야 할 정도의 병세였고 수술은 성공적으로 마쳐서 고비는 넘겼지만 항암 치료는 지속적으로 받았고, [[2015년]] [[6월]]에 항암 치료를 마쳤다.[* [[아침마당]] [[2015년]] [[10월 12일]]자 방영분에서 암 투병 경험담을 술회했다. [[http://www.kbs.co.kr/1tv/sisa/amplaza/view/vod/index,1,1_list003,40.html?searchStatus=0&articleIndex=2&vosample=¤tUrl=http://www.kbs.co.kr/1tv/sisa/amplaza/view/vod/index,1,1_list003,40.html|#]].] [[2018년]] [[7월]] 뜬금없이 음악 [[단과대학]]인 남예종(남서울예술종합학교) 학장으로 취임했다. 2020년 3월 [[뇌출혈]]로 쓰러져 병원에서 입원 치료받았다고 한다. 2020년 9월 이외수의 아들이 이외수가 투병 중이라는 소식을 전했다고 기사가 나왔다. 2021년 7월 아들 이한얼이 이외수의 근황을 페이스북에 업로드하였다. [[https://www.facebook.com/oisooTM/posts/4137621326357557|#]] 7월 8일, 서투르게나마 말도 하고 조금씩 재활 중이라고 한다. [[https://www.khan.co.kr/people/people-general/article/202107081851001|#]] [[2022년]] [[1월]], [[제20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필문으로 [[이재명]] 지지 선언을 하였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10946246|#]] === 사망 === [[2022년]] 4월 25일, [[폐렴]] 투병 중 사망했다. 향년 75세.[[http://yna.kr/AKR20220425178200062|#]] 3월 중순부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후유증으로 인한 [[폐렴]]에 걸려 응급실에서 회복 중이었다. 이한얼이 회고하기를, 사망 순간은 가족이 지켜보면서 편히 영원한 잠에 빠지는듯한 호상이었다고 전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145485?sid=103|#]] 이외수의 빈소가 마련된 춘천 호반병원장례식장에는 26일 [[최문순]], 마임이스트이자 [[춘천마임축제]]를 기획한[* 2000년대까지 당 축제의 플래너 역할이기도 하였다. 실제로 축제가 그의 영향력에 있던 시기, 마임 축제 내에 이외수 팬미팅 코너를 주선한 적도 있다.] 유진규, [[조덕배]], [[이홍렬]], [[최양락]], 심지어 정치적 견해로는 상극인 [[김진태]][* 후술하겠지만, 이외수는 김진태의 [[촛불은 바람 불면 꺼진다|'촛불 발언']]을 강력하게 비판한 적이 있다.] 등 지역 정치인과 예술가, 시민들의 추모 발길이 이어졌다. 최문순은 “(고인은) 강원도의 감성을 대변하시던 분”이라며 “그런 분이 돌아가셔서 그 중심을 잃었다고 할까, 앞으로 저런 분을 다시 찾기는 상당히 힘들 것 같아 애통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고 했다. 빈소에서는 이외수가 생전에 알고 지내거나 돈독한 관계였던 지역 예술인들이 추모 공연을 하였다. 상술한 유진규, 前 [[철가방 프로젝트]] 리더 '녹우' 김성호, 시인 정현우, 화가 임근우, 대금연주자 한충은 등이 모였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139847?sid=102|#]] 발인 및 장례는 29일 춘천안식원에서 치뤄졌다. 화장 후 유족들은 이외수의 유골함을 든 채로 감성마을을 둘러본 다음 장지에 봉안하였다. == 작품과 평가 == [[김동리]], [[백낙청]][* 참여문학을 주장하며 <창작과 비평>을 창간한 한국문학의 거목]이 심사위원으로 있는 공모전에서 입상했고 [[김현(문학가)|김현]][* 순수문학을 주장하며 <문학과 지성>을 창간한 한국문학의 거목]에게서는 '이외수는 [[김승옥]], [[이청준]], [[조세희]], [[윤흥길]], [[황석영]][* 모두 당대에는 문학사를 이끌던 젊은 작가들이었다.] 같은 작가들이 그렇듯이 언어를 통해 세상과 투쟁하려고 하는 치열한 감수성의 흔적이 보인다'는 평을 얻기도 했다. 베스트셀러에도 여러 차례 올라간 적이 있다. 하지만 일부 팬들의 과도한 고평가는 기성문인뿐만이 아닌 일반인들에게도 거부감을 불러 일으키기도 한다. 폭넓은 독서를 하지 않고 작가의 트위터나 작품만을 접하고는 마치 그것만이 통념, 상식인 것처럼 인용하거나 정치적 성향을 가지고 [[이문열]] 등의 유명 문인과 비교하는 것이 그 예이다. 작가가 정치적 성향을 드러내는 행보를 하면서 이에 대한 호불호도 명확히 갈리기 때문에 평가에 관해서는 이견이 분분한 상태. 다만 부족한 필력에 관해서 많은 논란이 있다. 장외인간을 펴낸 이후로 6년간 에세이나 [[아포리즘]]집만 펴내다 [[2011년]] [[이금희]]의 특별한 만남 방송을 통해 신작을 집필중, 그리고 마지막으로 써낼 5권의 장편 소설 역시 기획중이라고 시사했다. 덧붙이자면 일종의 문학만능주의적 사상을 가진 듯하다. 이외수의 소설을 보면 항상 현대의 삭막함을 비판할 때 문학을 치유책으로 내세우며 주인공이나 주요 조연들 중 긍정적인 위치에 있는 캐릭터들은 항상 [[명문대]] 문학과를 가는 것으로 나온다. 근작인 완전변태에 수록된 마지막 단편인 <대지주>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있다. === 소설 === * [[훈장(소설)]] - 1975년 * 꿈꾸는 식물 - 1978년 실사 영화화와 [[TV 문학관]]으로 실사극화된 바 있다. 꽤나 [[현시창]]인 내용이지만 TV문학관판은 당시 방송 매체의 심의 문제로 인해 꽤나 순화되었다고 한다. 참고로 TV문학관판의 배우중에 [[김영철(배우)|김영철]]이 있다. * [[겨울나기]] - 1980년 * [[장수하늘소#s-2]] (소설) - 1981년 TV 문학관으로 실사극화된 바 있다. * [[들개]] - 1981년 * [[칼#s-2]] - 1982년 * 사부님싸부님 - 1983년 우화 소설이자 만화의 형식을 빌린 만화 소설이라는 특징이 있다. '[[개새끼|ILLHYHL]]'라는 단어가 나오고 온갖 사회 모순점을 풍자하는 등 [[대한민국 제5공화국|당시 시대상]]을 생각하면 매우 파격적인 내용의 소설이다. * 산목(상) - 1987년 * 벽오금학도 - 1992년 자신의 방에 철창을 치고 쓴 걸로 유명한 책이다. 단순히 철창만 친 게 아니라 방 자체를 감옥처럼 바꿔버렸고, 식사도 아내가 사식처럼 갖다주는 것으로 해결했다고 한다. 이외수의 최고작하면 흔히 꼽히는 작품으로 이 작품을 마지막으로 작가로서 전성기는 막을 내렸다. * 황금비늘 - 1997년 * [[괴물(한국 소설)]] - 2002년 * [[장외인간]] - 2005년 * 완전변태 外(중단편소설집) - 2014년 * 보복대행전문주식회사 - 2017년[* 2월 20일부터 [[카카오페이지]]에 선행 연재, 5월 30일 종이책으로 정식 발매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i-fMK9gIHk0|#]]. 스토리는 [[권선징악]]에 가까워졌지만, 주인공의 능력은 이외수 월드에서 역대 최강급이다.[* 식물과 [[텔레파시]]로 소통한다는데, 그게 그저 주변에 있는 나무뿐만 아니라 최소한 대한민국 전국의 모든 수목과 소통하고 모든 수목의 실시간 시야는 물론이고 기억까지 [[염사]]로 통해 공유할 수 있는 능력이다. 사실상 나무가 있다면 어디든지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정보력만큼은 능력자 수준이라는 것. 사실 전전작 [[괴물(한국 소설)|괴물]]에서도 메인 빌런이 세계를 말아먹을 수도 있는 잠재력이 있었지만, 좀더 큰 계획을 세운다면서 비범한 기생 한 명을 볼모로 잡을 궁리만 하다가 [[지나가던]] 시골 소년에게 발렸다.] 동물학대범, 학교일진, 여러 사회악들을 조지면서도, 대놓고 [[4대강]]을 까기로 한 건지 메인 빌런은 4대강을 찬양하는 가상의 교수와 중견 언론인[* 아마도 [[조갑제|이 사람]]과 [[서정갑|이 사람]]의 이름을 합친 듯한 느낌이다.], 그리고 배후에는 당연히[* 직접적으로 대통령이(었다)라고 명시한 건 아니다.] 아무리 봐도 그 사람을 연상케 하는 이니셜의 인물이 등장. * 영생시대 - [[미완성]] 2018년 5월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321846619209248&mediaCodeNo=257|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집필 중이라 언급했다. 그러나 2020년 급격한 건강 악화로 인해 언제 나올지는 불투명해졌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0425165400005|2022년 4월 25일 투병 중 사망하면서 미완성 유작이 되었다.]] === 시집 === * 풀꽃 술잔 나비 - 1987년 * 그리움도 화석이 된다 - 2000년 * 그대 이름 내 가슴에 숨쉴 때까지 - 2006년 === 에세이 === * 내 잠 속에 비 내리는데 - 1985년 * 말더듬이의 겨울수첩 - 1986년 * 감성사전 - 1994년 * 그대에게 던지는 사랑의 그물 - 1998년 * 날다 타조 - 2003년 * [[하악하악]] - 2008년 * 청춘불패 - 2009년 날다타조의 리메이크다. * 아불류시불류 - 2010년 * 절대강자 - 2012년 * 사랑외전 - 2012년 * 쓰러질 때마다 일어서면 그만 - 2014년[* 이 책에는 5종의 숫자 [[이스터에그]]가 숨겨져 있다. 공식적으로 밝힌 일례는 [[광복절|이런 날]]. [[https://twitter.com/oisoo/status/521688567626493952|#]]] * 뚝 - 2015년[* 시기와 표지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투병 중에 써낸 책이다.] * 자뻑은 나의 힘 - 2015년 * 먼지에서 우주까지 - 2016년 * 시간과 공간이 정지하는 방 - 2017년 === 기타 === * 감성사전 - 1994년 * 흐린세상 건너기 - 2002년 * 외뿔 - 2001년 * 내가 너를 향해 흔들리는 순간 - 2003년 * 뼈 - 2003년 * 글쓰기의 공중부양 - 2006년 * 여자도 여자를 모른다 - 2007년 * 마음에서 마음으로 - 2013년[* 소설가 하창수와 이외수의 대담집 형식.] == 활동 == 인터넷 [[서브컬처]]에서 이외수가 가지는 입지와 위상에 대한 부분을 설명한다. === 방송 === 이외수는 오래전부터 방송에서 일회성 출연을 하는 경우는 종종 있었으나 그 양적, 질적 비중이 커진 것은 2000년대 중반 이후(좀 더 자세히는 「장외인간」 출판을 전후로)의 일이다. 이 시기부터 텔레비전 광고도 찍고 [[시트콤]]에서 고정 배역도 맡아보고 심지어 자기 이름을 딴 라디오 프로그램까지 진행하는 등 활발한 행보를 보였고 자연스럽게 대중적인 인지도도 대폭 상승했다. * [[MBC]] 코미디닷컴 - [[알까기]]리그[* 당시 [[양택조]]와 대결을 했는데 이외수가 이겼다. 이후 9년이 지난 2010년에는 김태원과의 대결에서 승리했다.] * [[KBS 2TV]] [[해피선데이]] [[1박 2일]] 시즌1 - 강원도 화천군 편 * MBC 시트콤 [[크크섬의 비밀]] - 이선장 역 * MBC [[무릎팍도사]] * 광고 [[삼성그룹|하하하]] - 피겨 도전 편 * 광고 [[LG유플러스]] - 온가족yo가 편 * KBS 2TV 해피선데이 [[남자의 자격]] - 죽기 전에 해야할 101가지 * [[MBC 표준FM]] 이외수의 언중유쾌 * [[온게임넷]] - [[켠김에 왕까지]] ([[켠김에 왕까지/71~80회|73~74화]]) * [[KBS]] 프라임 이금희의 특별한 만남 * [[SBS]] 스페셜 - 이외수 ·김태원의 청춘을 위하여 편 * KBS [[개그콘서트]] - [[감수성(개그콘서트)|감수성]](2012년 7월 1일 방영분) * KBS 2TV [[살림하는 남자들]] 시즌 2 === 인터넷 === [include(틀:디시인사이드)] 이외수는 상당히 오래전부터 컴퓨터로 작품을 써왔는데 [[독수리 타법]]을 사용한다고 한다. 원래 바닥에 엎드린 채 베개 하나 껴안고서 펜으로 글을 쓰다보니 자세가 허리에 안 좋아 대안으로 컴퓨터를 쓰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타자에 적응하지 못해 작품이 뜻대로 써지지를 않으니까 굉장히 우울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타자에 적응하기 위해서 시작한 것이 바로 '''[[채팅]]이었다.''' 이외수가 컴퓨터를 시작한 건 인터넷이 보급되기 이전인 1990년대 초였기 때문에 [[PC통신]] [[하이텔]]의 대화방 등을 통해 채팅을 했다. PC통신은 고사하고 PC조차도 보급이 많이 되지 않았던 당시 기성 작가가 이러한 첨단 매체를 이용한다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도 화제가 되기에 충분했다. 그래서 [[마이컴]]과 같은 PC 전문 잡지에서 이외수를 인터뷰하는 일도 종종 있었고 여기서 이외수는 자기가 직접 창안한 각종 [[이모티콘]]을 자랑하기도 했다. 이러한 과거가 있었기에 오늘날 그가 문단 소설가 중 인터넷에서 가장 유명한 사람이 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닌 것이다. 이외수는 인터넷이 대중적으로 갓 보급되는 여명기부터 개인 홈페이지 [[http://www.oisoo.co.kr/|OISOO]]를 개설하고 방문객과 활발하게 소통했다. [[싸이월드]]가 뜨니까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16154918|미니홈피]] 또한 개설했으며 [[트위터]]가 뜨니까 [[http://twitter.com/oisoo|트위터]] 역시 재깍 만들어 단박에 수많은 팔로워를 보유한 인기 트위터리언이 되었다.[* 2011년 11월 3일 오후 3시 42분에 트위터 팔로워가 100만 명을 돌파했다. [[http://twitpic.com/7a83aj|이외수가 직접 캡쳐한 인증샷]].] [[환갑]]이 넘은 나이가 무색하게 인터넷의 각종 변화와 새로이 보급되는 문물에 대한 적응이 대단히 빠르다.[* 앞의 말이 반은 맞고 반은 틀린 것이 이외수는 항상 앞서 나갔다. 별로 유명하지 않은 [[플레이톡]], [[미투데이]]도 활용하였고 트위터도 지금처럼 페이스북과 트위터로 SNS가 양분하기 되기 전부터 이용하였다.] [[디시인사이드]]와는 이래저래 애증이 교차하는 관계. 행보나 이미지가 [[아햏햏]]과 상당히 잘 맞을 것 같은데 아햏햏 시대까지만 하더라도 인지도가 부족했는지 해당 문화적 코드와 엮여서 주목받는 일은 없었다. 양자 사이의 최초의 본격적인 접촉은 아마도 과거 [[디씨인사이드]]를 주름잡던 초특급 악플러 '''런던귀공자'''가 이외수에게 악플을 달기 시작한 것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런던귀공자의 악플에 시달리던 이외수는 그를 고소하고 실제로 재판까지 갔다. 훗날 이외수가 밝힌 바에 따르면 그는 재판에서 검사에게 처벌이 아니라 치료가 됐으면 좋겠으며 이 일로 인생을 전환할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외수와 디씨의 관계에서 하나의 전환점을 마련한 것은 바로 2007년 7월 [[디시뉴스]]와의 인터뷰. 바로 위에서 밝힌 런던귀공자와의 일화는 물론이고 평소에도 거의 모든 [[디시인사이드 갤러리]]를 [[눈팅]]한다고 밝히는 등 디씨에 대한 긍정적 관심을 보이면서 [[폐인]]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http://www.dcinside.com/webdc/dcnews/news/etc_list.php?code=succeed&id=7947&curPage=&s_title=1&s_body=1&s_name=&s_que=이외수&page=1|#]] 양자의 훈훈한 관계는 그로부터 한 달 뒤인 8월 '''[[이외수 갤러리]]'''를 개설하는 시점에서 정점을 찍었으나 이후의 상황에 대해서는 해당 [[이외수 갤러리|항목]] 참조. 그가 디씨에서 활동하면서 재조명된 대표적인 [[서브컬처]] 코드로 [[어둠에다크에서 죽음의데스를 느끼며]], [[유리코 오메가]] 등이 있다. 한편으로 2008년 에세이 [[하악하악]] 역시도 그가 디씨에서 활동하면서 얻은 영감의 산물이다. 여담이지만 이외수는 [[Apple|애플]] [[맥]]을 쓴다. [[블루스크린]] 때문에 쓰던 글이 날아가는 끔찍한 경험을 몇 번 한 뒤로 맥으로 갈아탔다고 한다. 2015년 이후로는 트위터보다는 페이스북 위주로 SNS 활동을 했다. 영세 커뮤니티 [[https://mbong.kr|엠봉]] 유저로 알려져 있다. 트위터에 간간이 엠봉 링크를 올려 엠봉 유저들 사이에서만 꽤 알려진 사실. 2016년 새해에 첫 인증글을 게시했다. === 논객 === 이외수는 오래전부터 개인 홈페이지를 통해서 심심치 않게 각종 시사적, 정치적 발언을 남겼는데 대중적 인지도가 오름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일종의 [[논객]]이 되었다. 전체적인 성향은 [[민족주의]]에 가깝고 [[진보]]적 성향을 가졌다. 수많은 사회적 논란과 물의를 빚어왔기 때문에 그런 그의 모습을 탐탁찮게 생각하는 사람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한다. ==== [[뉴라이트(대한민국)|뉴라이트]] 교과서 비판 ==== [[2008년]] 12월 자신의 홈페이지에 올린 [[http://www.oisoo.co.kr/oisoobbs/bbsVC.asp?t_class=0&sub_class=&NoticeIDX=&SeqNo=184611&nPage=1&rowcnt=20&Comment=&rowcnt=20&src_key=Name&src_str=%C0%CC%BF%DC%BC%F6|수정된 교과서-애국애족 대신 매국매족을?]]이라는 글에서 뉴라이트의 수정된 근현대사 교과서 내용을 찍은 두 장의 사진을 올리며 "김구 선생을 테러분자라고 가르치는 세상이 왔으니 머지않아 이순신 장군을 살인마라고 가르치는 세상도 오겠네"라는 글을 올렸다. 이 글로 [[김구]]=[[테러리스트]] 논란은 물론 뉴라이트 대안 교과서에 대한 [[http://blog.daum.net/paaranhome/16879941|찬성]] 또는 [[http://apostle5.egloos.com/5938636|반대]] 여부를 놓고 네티즌 사이에서 논쟁이 벌어졌다. [[http://jaeminara.egloos.com/4045404|후에 홈페이지에서 자신의 해명을 올렸다.]] ==== [[구로다 가쓰히로]] 발언 비판 ==== [[2009년]] [[12월 29일]] [[산케이신문]] 서울지국장 [[구로다 가쓰히로]]의 비빔밥에 관련된 망언에 [[http://www.tvdaily.co.kr/read.php3?aid=126206769536768002|"음식문화를 그런 식으로 말하자면 오히려 회나 스시가 원시상태음식"이라고 발언했다.]] ==== [[셧다운제]] 비판 ==== [[2011년]] [[셧다운제]]를 신랄하게 깠다. 트위터에서 몇 번 의견을 피력하였고 [[온게임넷]] [[켠김에 왕까지]] 출연 에피소드에서는 초기 취재진과의 대담에서도 역시 신랄하게 깠다. ==== [[이명박 정부]]에 대한 독설 ==== [[최시중(1937)|최시중]] 등 [[이명박 정부]]의 실세들의 비리가 연이어 터지자 '도덕적으로 완벽한 정권'이라며 자화자찬한 [[이명박]]의 말을 비꼬아 "[[도둑|도'''둑'''적으로 완벽한 정권임을 증명하시는 분들이 속출하고 있습니다]]"라며 이명박 정부에 독설을 날렸다. ==== [[김진태(정치인)|김진태]] [[촛불은 바람 불면 꺼진다|촛불 발언]] 비판 ==== 2016년 11월 [[김진태(정치인)|김진태]]의 민중총궐기 촛불 관련 발언에 대한 [[http://image.ytn.co.kr/general/jpg/2016/1118/201611181410091755_d.jpg|대답격 트윗]]. 이 영향으로 진짜 시위대들 사이에서 꽤 [[LED]] 촛불을 들었다. == [[이외수/사건사고 및 논란|논란 및 사건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외수/사건사고 및 논란)] == 기타 == * 특유의 콧수염과 장발 [[꽁지머리]]는 트레이드 마크다. 그가 장발 생활을 하게 된 계기는 특별한 거 없고, 20대 시절 워낙 가난하게 살아서 머리 관리할 여력도 없어서 봉두난발로 방치하다 보니 어쩌다 그리 된 듯하다. 이에 대해서는 자신의 수필에서 여러 번 피력한 적이 있다. 군 복무 이후 그가 머리를 깎은 때는 손에 꼽힐 정도였다. 일례로 2014년 투병할 때 그 장발을 잘랐다는 것은 그에게 있어서 예삿일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특히 말년에는 수염과 머리를 다 잘랐는데 딴 사람처럼 보일 정도. * 청년 시절 [[춘천]]의 [[다방]] DJ 생활을 하며 밥을 벌었던 그는 글도 쓰고 잠도 잤던 자신의 구석진 테이블에 처음 본 여성이 앉자 '내 자리'라고 말하다 가벼운 실랑이가 벌어졌고, 이를 계기로 그 여성과 연애하게 되었다고 한다. [[미스 강원]] 출신의 이 여성은 지금의 부인 전영자다. [[http://weekly.hankooki.com/lpage/coverstory/200902/wk20090205105011105450.htm|#]] * 몽환적이고 도가적인 독특한 작품 세계와 맞물려 작가 스스로도 여러가지 기행을 하였다. 흔히들 말하는 출판계 은어인 [[통조림(은어)|통조림]]을 [[http://blog.naver.com/yyac?Redirect=Log&logNo=20068930434|본인 '''스스로''' 하기도 하며]] 문학계의 [[http://blog.naver.com/polydragon?Redirect=Log&logNo=30067131238|기인으로 불렸다]]. * [[인사동길]]에 있는 카페 '[[귀천]]'은 [[천상병]]의 부인 목순옥이 운영해 자연스럽게 문인들의 아지트가 되었으며 특히 [[중광]], 천상병, 이외수는 [[http://www.jockeyclub.co.kr/new/community/community_list.asp?Gubn=freeboard&Mode=v&Seq=1386|이곳에서 주로 활동하면서 여러 일화를 남겼다]]. * 1990년대 그가 일약 입소문을 슬슬 타면서 성공 가도를 달리기 시작했을 때 [[부산광역시|부산]] 등에서는 '''그의 사칭이 등장했다고 한다'''. 사칭이 활개칠 때 당시 그는 상술한 통조림 모드에 들어가면서 집필 중이었는데 이외수 사칭이 여자들과 끼고 술 먹었다는 소식이 들리자 아내가 그에게 뭔 일이냐고 물어보기도 하였다. 2번째 사칭은 1번째 사칭보다 더 그럴싸했는데, 서명까지 쓰면서 이외수를 사칭했지만 서명의 이름이 Lee '''We'''Soo[* 이외수의 영문 서명은 Lee Oisoo다.]라서 사칭이라는 게 뻔히 드러나고 말았다.[* 출처는 그대에게 던지는 사랑의 그물이다.] * 춘천시에서 30여년을 살며 춘천 3수라 불리기도 했지만,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1&dir_id=110103&docid=2964032&qb=7J207Jm47IiYIOy2mOyynCAz7IiY&enc=utf8|참고]] 2006년에 이주, 현재 [[강원도]] [[화천군]] 상서면 다목리 감성마을에 거주했다. 2012년 8월 12일에는 문학관이 개장했는데, 지자체 단위에서 '''생존 작가'''에 대한 문학관을 건립한 것은 이외수 문학관이 국내 최초라고 했다. * 화천군에 있는 군부대 [[제7보병사단]], [[제27보병사단]], [[제15보병사단]] 병사들의 상담을 했으며[[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117960|#]][* [[제27보병사단]]의 상담은 얼마 지나지 않아 병영생활 전문 상담관 제도가 도입되면서 민간인에게 문제 병사를 상담시키지 않게 되어 중단했다.], 특히 그중에서도 가장 가까이 있는 15사단의 명예 홍보대사였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811141814495&code=100203|#]] * 그보다 세상을 먼저 떠난 가수 [[이남이]]가 생전에 그와 각별한 관계였다. 공교롭게도 둘 다 사망 원인이 폐 질환이다. * 춘천 지역 문화계에서 이외수의 영향력은 대단한 수준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춘천 지역 뮤지션들이 모여서 결성한 락밴드 [[철가방 프로젝트]]. 음악적 디렉션은 이남이가 하였고 이외수는 철가방 프로젝트의 정신적 지주쯤 되는 위치였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이 밴드는 이외수와 이남이의 콜라보레이션 기획이라고도 볼 수 있는 셈. * 잡기로 젓가락 던지기의 달인이기도 하다. 술집에서 막걸리 마시는데 주변에서 술꾼끼리 시비가 붙어 분위기 험악해지면 젓가락을 그쪽 벽에다 '''던져 꽂아''' 상황을 진압한 적도 있다고. 이런 점과 과거 '기인' 이미지 때문인지 영화 '[[아라한 장풍대작전]]'에서도 작중 인물의 회상씬에 등장하는 '백풍'이라는 이름의 [[카메오]]로 나왔다. 군부 독재 시절에 [[도술]]로 저항하기 위해 기를 모으다 [[최루탄]] 가스 마시고 죽는 역할이다. * 과거에 담배를 하루에 8갑씩 피웠으나 끊었다고 한다. 썰에 의하면, 금연 클리닉에 가서 "8갑쯤 피운다"고 했더니 의사가 "끊다가 죽을 수도 있으니 좀 줄이거나 단단히 각오를 하셔야 한다. 아니면 그냥 피우시라"고 했다고 한다. 8갑이면 160개피이고, 하나 피우는데 5분만 잡아도 하루 13시간을 담배만 물고 있어야 된다. 사실상 잠자고 밥먹는 시간을 제외하면 계속 피웠다는 소리다. * 무릎팍도사 출연 당시에 의하면 '죽는 데 별로 미련은 없는데 대표작 1개 정도는 있어야 하지 않겠느냐?'고 생각해서 4갑 피던 것을 하루 아침에 단방에 금연해 버렸다고 한다. 그리고 다음 날 당연히 병원에 입원. 그외 가난했던 시절에는 거의 [[알코올 의존증]]자 수준으로 술을 마셨다고 한다. 한적한 두메산골 분교의 객원 교사로 있으면서 손발이 오그라들 수준의 금단 증세와 유명해지기 전까지 따라다녔던 곤궁함을 겪으면서 알코올 중독에서 벗어난 경험을 자신의 수필 등으로 피력한 바가 있다. 이후에는 스트레스를 술 대신에 노래로 푼다고 한다. 저택에 아예 노래방 기계를 사다 놓고 하루에 두 시간씩 노래를 불렀다고. 실제로 [[1박 2일]] 촬영 당시 아침에 멤버들이 찾아갔는데 노래방 기계로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절대 설정 아니라는 자막은 덤이다. * 한때는 소설 집필을 위해 [[http://www.youtube.com/watch?v=DGlHFYjwESI&feature=youtube_gdata_player|요트를 장만했다고 한다.]] 완전변태에 수록된 <파로호> 집필 활동과 관련이 있는 듯하다. 소설 주제가 주제이니만큼(?) 호수 위에서 써야 소설이 술술 써질 것 같다는 느낌 때문에 요트를 하나 장만한 거라고 한다. * [[김세영(만화가)|김세영]]과 [[허영만]] 원작의 만화 '[[사랑해(만화)|사랑해]]'에선 작품에서 쓰레기가 되는 느낌을 알고 싶어서 스스로 쓰레기통에 들어가 한참을 지낸 적도 있다고 한다. '식객'에서 밝힌 일화에는 언 밥의 날카로움을 표현하기 위해 일부러 밥을 얼려 먹기도 했다고 한다. * 언젠가부터 [[DAW]]를 사용해 [[http://www.youtube.com/watch?v=ssvPuDJJLIs|자작곡 인스트루멘탈]]도 하는 듯하다. 단 작곡 같은 경우는 취미 삼아서 하는 듯. 주로 쓰는 DAW 프로그램은 [[Reason]]이라고 한다. 그가 작곡한 음원은 이외수 문학관 내의 BGM으로 나온다. [[정영진 최욱의 불금쇼]]에 출연하여 밝혔다.[* "그다음에 거기(문학관)에 나오는 배경음악, BGM 그건 제가 [[DAW|미디]]로 작업해서 만든 곡들입니다"(15'59)] * 2015년 후반기에 들어서는 [[동방 프로젝트]] 봇 계정들을 다수 팔로잉했다고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etc/3510/read?articleId=2261231&bbsId=G006&itemId=545&pageIndex=4|한다.]] * 2019년 4월 22일 아내와 결혼 44년 만에 결별하였다. [[https://news.nate.com/view/20190422n05554|#]] 아내는 이혼을 요구했으나 결국 [[졸혼]]으로 합의를 봤다고 한다. 다만, 갑자기 갈라선 건 아니고 결별 위기는 기사에도 나와있듯이 여러 번 있었다고 한다. [[https://www.smlounge.co.kr/woman/article/41798?smshare=twitter|우먼센스]]와 전 부인 전영자의 인터뷰. 이외수와의 삶에 대한 회고와 결별을 결심한 이유 등에 대해 쓰여있다. * 2011년경 [[켠김에 왕까지]]에 출연한 적이 있다.[* 부인 전영자와 장남 이한얼도 함께 출연하였다.] 그러나 바닥을 기는 저질스러운 게임 실력을 보여주였다. 처음 고른 게임 FIFA 11에서는 팀을 [[맨유]]를 선택했는데 중국과의 경기에서 무려 0-3으로 털리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결국 나중에는 [[Wii Music]]을 선택했는데 핸드벨 모드에서 초반에 박자를 제대로 맞추지 못하여 계속 0점이 나왔다. 그리고 [[셧다운제]]에 대한 비판을 했다. * [[윤형빈]]이 [[남자의 자격]] - 금연 편에서 이외수한테 '''"그 머리에서 냄새나게 생기신 분."'''이라고 독설을 했지만 곧장 사과했다. * [[배철수]]와 매우 닮았다. 그래서인지 어떤 팬이 배철수에게 가서 책 잘 읽고 있습니다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당시 배철수는 책을 한 권도 낸 적이 없었다. * 공교롭게도 태어난 날이 음력 8월 15일로 한가위다. * [[마젠타블랙]]이라는 필명의 혼외자가 존재한다. 현재 웹툰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분류:이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