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7대 국회의원/전국구)] [[파일:external/rokps.or.kr/947.jpg|width=150]] 李元榮 [[1910년]][* [[http://db.history.go.kr/id/im_108_31032|1967년 간행된 대한민국인물연감(제2편)]]에는 1911년생으로 등재되어 있다.] ~ [[1985년]] [[8월 12일]]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자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본관은 [[연안 이씨|연안]](延安)[* 전 [[홍익대학교]] 이사장인 [[이도영(1913)|이도영]]의 종친이다.]. == 생애 == 1910년 [[경기도]] [[광주시|광주군]](現 [[광주시]])에서 태어났다. [[휘문고등보통학교]]와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영문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경성일보]], [[매일신보]] 등에서 [[기자]]로 근무했고, 매일신보에서는 정경부장을 지냈다. [[일제강점기]] 말기 국민총력조선연맹 참사 겸 사무국 경제위원회 위원, 조선항공공업주식회사 총무과장 겸 조선항공사업사 지배인, 조선언론보국회 평의원 등으로 활동하며 친일반민족행위를 하였다. [[8.15 광복]] 이후 조선목재주식회사 전무이사, 적산가옥거주자협회 총무부장, 한국원양어업(韓國遠洋漁業)주식회사 대표이사, 남한제사(南韓製紙)주식회사 대표이사 등을 지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전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73년 사단법인 대한잠사회(大韓蠶絲會) 이사장이 되었다. 1985년 8월 12일 오전 1시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한보 [[미도아파트]] 자택에서 [[숙환]]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508120020921101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5-08-12&officeId=00020&pageNo=11&printNo=19649&publishType=00020|별세했다]]. 일제강점기 말기 친일반민족행위 경력으로 인해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의 언론/출판 부문,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선여부 || 비고 || || 1967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국회의원]]) || [[민주공화당]] || - || '''당선'''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원영, version=3)]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기자 출신 정치인]][[분류:연안 이씨]][[분류:광주시 출신 인물]][[분류:기자]][[분류:1910년 출생]][[분류:1985년 사망]][[분류:제7대 국회의원]][[분류:민주공화당(1963년) 국회의원]][[분류:휘문고등학교 출신]][[분류:경성제국대학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