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재원의 2023년 시즌, rd1=이재원(1999)/선수 경력/2023년)]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이자 SSG 랜더스 소속의 1988년생 이재원, rd1=이재원(1988))] [include(틀:LG 트윈스/간략(외야수))] ||
'''{{{#fff 이재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질롱 코리아/2019-20 시즌 엔트리)] ---- ||
'''{{{#fff 이재원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KBO 퓨처스리그 북부리그 홈런왕)]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106번}}}''' || || [[이우찬|이영재]][br](2017) || {{{+1 →}}} || '''이재원[br](2018~2019)''' || {{{+1 →}}} || [[유영찬]][br](2020) || ||<-5> '''{{{#fff [[질롱 코리아|{{{#ffffff 질롱 코리아}}}]] 등번호 25번}}}''' || || [[최준석]][br](2018-19) || {{{+1 →}}} || '''이재원[br](2019-20)''' || {{{+1 →}}} || 곽지민[br](2022-23)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24번}}}''' || || [[홍창기]][br](2019) || {{{+1 →}}} || '''이재원[br](2020)''' || {{{+1 →}}} || [[이천웅]][br](2021)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52번}}}''' || || [[백청훈]][br](2020) || {{{+1 →}}} || '''이재원[br](2021~)''' || {{{+1 →}}} || 현역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재원 프로필 LG.png|width=100%]]}}} || ||<-2> '''LG 트윈스 No.52''' || ||<-2> '''{{{+2 이재원}}}[br]李栽源 | Lee Jae-Won''' || ||<|2> '''출생''' ||[[1999년]] [[7월 17일]] ([age(1999-07-17)]세) || ||[[인천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청주석교초[* 제주남초(1~3년) - 옥산초(4~5년)에서 전학] - [[경원중학교(서울)|서울경원중]][* 중3때 충북 청주중에서 전학] - [[서울고등학교 야구부|서울고]] || || '''신체''' ||192cm, 105kg, AB형 || ||<|2> '''포지션''' ||[[좌익수]], [[우익수]][* [[염경엽]] 감독이 2023 시즌부터는 이재원을 1루수로 기용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오스틴이 기대 이상으로 1루에서 좋은 활약을 보여서 다시 코너 외야수를 맡게 되었다.], [[지명타자]] || ||[[1루수]]||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KBO 리그/2018년/신인드래프트#s-3.2|2018년 2차 2라운드]] (전체 17번, [[LG 트윈스|LG]]) || || '''소속팀''' ||'''[[LG 트윈스]] (2018~)''' ---- [[질롱 코리아]] (2019/20) || || '''연봉''' ||2023 / 8,500만원 {{{-2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000,#fff 63.5%↑ }}}}}}}}} || ||<|2> '''등장곡''' ||[[The Score]] - 《The Champions》 (2023~) || ||{{{#gray,#ffffff {{{-2 {{{#!folding [ 이전 등장곡 보기 ] [[(여자)아이들]] - 《[[TOMBOY((여자)아이들)|TOMBOY]]》 (2023) [[WINNER]] - 《[[REALLY REALLY]]》 (2021~2022) }}}}}}}}}|| || '''응원가''' ||구단 자작곡[*가사 잠실의 빅보이 LG의 이재원 승리를 위하여 날!려!버!려!이!재!원! 잠실의 빅보이 LG의 이재원 승리를 위하여 무!적!L!G!이!재!원!] || ||<-2>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가족''' ||[[부모님]], [[누나]] 이한솔, 이예솔 || || '''종교''' ||[[개신교]][* 엘튜브에서 밝혔다. 더그아웃 매거진에서도 가족이 다 기독교 신자라 따로 믿는 미신이나 징크스가 없다고 인터뷰했다.] || || '''MBTI''' ||[[INTJ]] || }}}}}}}}} || ||<-2> [[https://www.lgtwins.com/web/team/player/view/159|[[파일:LG 트윈스 심볼.svg|width=24]]]] [[https://www.instagram.com/jwon52._/|[[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LG 트윈스]] 소속 [[우투우타]] 내야수. 원래 포지션은 외야수지만 2022시즌의 [[채은성]]처럼 내야로 포지션을 전향했다. == [[이재원(1999)/선수 경력|선수 경력]] == ||<-3> '''통합 선수 경력: [[이재원(1999)/선수 경력]]''' || ||<-3>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10]] || || [[이재원(1999)/선수 경력#s-3.1|'''{{{#white 2018년}}}''']] || [[이재원(1999)/선수 경력#s-3.2|'''{{{#white 2019년}}}''']] || [[이재원(1999)/선수 경력#s-3.3|'''{{{#white 2020년}}}''']] || || [[이재원(1999)/선수 경력#s-3.4|'''{{{#white 2021년}}}''']] || [[이재원(1999)/선수 경력/2022년|'''{{{#white 2022년}}}''']] || [[이재원(1999)/선수 경력/2023년|'''{{{#white 2023년}}}''']] || ||<-3> [[이재원(1999)/선수 경력#s-2|'''{{{#white 아마추어 시절}}}''']] || == 플레이 스타일 == === 타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재원 타격폼.gif|width=100%]]}}}|| || 이재원의 타격폼[* 2021년 10월 14일 롯데전 투런홈런.] || LG의 몇 없는 우타 거포로 성장할 가능성이 큰 선수. 정타만 나왔다 하면 타구속도가 170km/h을 넘어가고 130m 이상의 홈런을 때려낼 정도의 파워를 갖추고 있다. 그래서인지 코치나 팬들이 무조건 공을 풀파워로 때릴 필요가 없다고 이야기를 한다. 스윙이 클 수밖에 없는 거포 특성상 볼삼비가 좋지 않지만 그래도 선구안이 괜찮은 편이라 볼넷을 골라 걸어나가는 모습도 보여준다.[* 즉, 오지환처럼 볼넷도 많은데 삼진은 더 많아서 볼삼비가 좋지 않아보이는 느낌을 주는 선수다.] 포텐이 터지기 시작한 2022년 기준으로 리그 내 안타당 홈런 개수 2위다.[* 1위는 [[박병호]].] 실제로 2021년에 뜬금포로 가끔 주목을 받는 데에 그쳤지만 대대적으로 타격폼을 수정한 2022년부터 맹타를 휘두르더니 홈런을 뻥뻥 때려내며 LG의 아픈 손가락이고도 히어로즈에 가서 꽃을 피운 '''[[박병호]]'''마저 LG 시절 달성하지 못했던 한 시즌 10홈런의 쾌거를 달성했으며, 본래 서슴없이 유인구에 나오던 스윙도 2022년 점점 경험을 쌓아가면서 참을 수 있는 모습이 보이고 있다. [[박용택]]이 인터뷰에서 자신이 본 한국 타자 중에 가장 먼 타구 비거리를 가졌다고 했다. [[LG 트윈스 2군]] [[황병일]] 감독이 [[허구연]] 해설위원과의 인터뷰에서 박병호의 신인시절도 같이 했지만 이재원의 비거리가 박병호 못지 않다고 증언했다. 보고 있으면 정말 와~~~ 소리가 절로 나온다고. [[서울고등학교 야구부|서울고 야구부]] 시절 배트 끝에 맞아 다른 타자라면 넘어가기 힘든 타구가 가장 먼 담장인 가운데 담장을 넘어 전광판에 맞은 적이 있을 정도. 이는 프로에서도 마찬가지 인데 좋은 파워 때문에 다른 타자라면 외야 플라이 정도로 아웃될 타구가 그대로 담장을 넘겨버린다. 대표적인 사례로 2022년 5월 29일 경기에선 당연히 뜬공이라고 생각했던 40도 이상의 각도로 날아간 타구가 담장을 넘었고 6월 28일 경기에선 비와 거센 바람을 뚫고 비거리 '''135M'''의 대형 홈런도 때린 바 있다. 비바람이 아니였으면 잠실구장의 전광판을 때렸을수도 있다는것. 아직 신인답게 변화구 대처능력은 다소 떨어지지만 자신만의 존과 스윙을 설정한 후 다듬어가는 과정을 거쳐가면서 삼진을 두려워하지 않는 타자로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2022년 현재까지 스트라이크 존 밑으로 향하는 유인구 대부분에는 볼카운트 상관없이 모조리 스윙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공갈포|최악의 선구안을 보여주고 있다.]] 단점을 보완한다면 [[지안카를로 스탠튼]]의 KBO 버전도 기대할 수 있는 선수. === 주루 === 둔해보이는 외모나 덩치 때문에 겉보기에는 100m를 20초에도 못 들어올 것 같아 보이지만[* 참고로 이대호가 한창 잘 하면서 체격을 왕창 불렸을 때도 본인 입으로 100m를 15초에 뛴다고 말했다. 현재 한국 100m 신기록이 10초07 이고, KBO 내에서 100m 기록이 가장 빠를 것으로 추정되는 [[신민재(1996)|신민재]]가 10초 8대를 뛰기 때문에 아마 12초 후반~13초 초중반 언저리를 뛸 것으로 보인다. 사실 아무리 체구가 크더라도 운동선수들은 일반인보다는 무조건 빠르게 달릴 수 있다. 당장 은퇴하고 몇년 지난 최준석의 주력이 2,30대 성인 남성보다 빠른 수준.(다만 최준석도 아마추어 시절에는 호타준족이었다.) 거구일수록 주력을 유지하거나 가속력을 붙이는 데 한계가 있어 오래 달리지 못할 뿐.] 체격 대비 주력이 상당하다.[* [[김동엽(1990)|김동엽]]과 [[나성범]] 등이 전례이다.] 최상위급 주력을 갖추지는 못했지만 체구에 비하면 상당히 빠른 편으로 민훈기 해설위원은 저 체구에서 나올 수 있는 최고의 주력이라고 평가하였다. 나름 주루 센스도 좋은 편. === 수비 === 수비는 그저 그렇지만 [[이병규(1983)|이병규]]처럼 어깨는 좋다. 대충 던지는 것 같은데 담장에서 노바운드 송구로 2루까지 던질 수 있는 수준. 포지션은 주로 좌익수로 출전하나, 2022시즌까지는 우익수 출전 비율도 제법 높았다. 그리고 비상시에는 중견수 수비도 소화 가능하다. === 총평 === 종합하자면 [[이병규(1983)|이병규]]에서 선구안을 크게 덜어내고 장타력을 크게 보완한 거포 유망주.[* 다만 [[이병규(1983)|이병규]] 같은 경우는 선구안이 좋아도 루킹 삼진을 많이 당하는 편이라 이재원과 볼삼비는 그닥 차이가 안난...다기엔 볼삼비는 거의 1:1 수준이다.] 준수한 주력을 겸비한 거구의 우타거포 자체로만 보면 [[김동엽(1990)|김동엽]]과 유사하나 수비나 어깨 힘은 김동엽에 비하면 양호하다. [[https://m.dcinside.com/board/lgtwins_new/7479246|이재원의 질롱코리아, 퓨처스리그 시절 파워]] 아쉬운점은 풍채만 보면 [[탱크]]도 맨손으로 찢어버릴거 같은 무시무시한 하드웨어에 걸맞지 않게 2023년 시즌부터 [[유리몸]] 기질을 보이기 시작했다는점. 전훈 막판에 옆구리 근육 부상과 시범경기때 또다시 재발했다는점. 그리고 5월에 간신히 복귀해서 괜찮게 활약했으나 2023년 5월 24일 SSG전에서 홈런을 때리는 등 좋은 활약을 하다가 이번엔 다리쪽 근육 부상으로 교체되며 잦은 잔부상을 겪고 있다. 2023 시즌 반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벌써 부상으로 3번째 말소를 당했다. 아무래도 상무까지 취소해가며 기회를 잡은지라 본인의 오버트레이닝 문제도 있고 [[오재일]], [[정상호]], [[아도니스 가르시아]]처럼 지나치게 근육량이 많아 오히려 근육부상이 잦은 게 아니냐는 말도 있다. == 여담 == * [[SK 와이번스]]-[[SSG 랜더스]]의 [[이재원(1988)|이재원]]과 동명이인이다. 그러나 한자 표기는 다르다.[* 이 탓에 22시즌 올스타게임 팬 투표에서 후보에 오르지 못한 이재원 대신 LG 팬들이 SSG의 이재원을 투표해서 한을 푸는 해프닝이 일어났다.] 그리고 [[이재원(1988)|이재원]]과 출신지가 같다. 포수 이재원은 인천의 로컬보이로 성장했으나, 이 문서의 주인공 이재원은 전학을 많이 다녔다.[* 전학을 굉장히 많이 다녔다. 무려 6개의 학교를 거쳤다. '''제주 제주남초(입학) - 대구 옥산초(전학) - 충북 석교초(졸업) - 충북 청주중(입학) - 서울 경원중(전학) - 서울고(졸업)'''] * [[연쇄사인마]]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108&aid=0003054457|이다.]] 참고로 상술한 SSG 소속의 이재원도 유명한 연쇄사인마이다. * 누나가 2명이 있는데 두 명 모두 [[KLPGA]] 소속 프로골퍼다. * 지명 당시 입단 포부에서 '''LG는 잘하는 팀이지 않나. 가장 원하던 LG에 지명받게 돼 정말 기분 좋다'''고 말하였다. * 같은 팀에 지명된 [[김영준(야구선수)|김영준]]과 [[성동현]], [[최현준(타자)|최현준]]이 [[WBSC U-18 야구 월드컵]]에 참가 중이어서 드래프트 현장에 나오지 못해 유일하게 인터뷰 세례를 받았다고 한다. * 롤모델은 (LG 트윈스에 몸 담은 적 있던) [[kt wiz]]의 [[박병호]]라고 한다. * [[kt wiz]]의 [[강백호(야구선수)|강백호]], 같은 팀의 [[정우영(야구선수)|정우영]]과 함께 서울고 출신에 99년생 친구라 친하다고 한다. 특히 강백호와는 서울고 동기로 클린업 트리오로 활약하면서 엄청 친하다고 한다. 다만, 정우영은 유급 경력이 있어 졸업을 강백호, 이재원보다 1년 늦게 하였다. 정우영은 프로에서도 1년 선후배로 같은 2라운드에 지명되면서 같은 팀에서 만나게 되었다. * 별명으로는 '잠실의 빅보이'[* 이 별명은 응원가에도 반영되었을 정도로 가장 인지도가 높은 별명인데 반대로 이재원이 삽질을 하면 '''빅[[보어]]'''가 되어버린다. 이 별명은 '제2의 이승엽' 김석환과 함께 대표적인 억지 별명으로 불리고 있다.], '왕크왕귀'[* '''왕 크'''니까 '''왕 귀'''엽다]가 있다. 둘 다 좋지만, 자신은 멋있어 보이고 싶다고 한다. * 스포티비와 궁합이 좋다. 커리어 첫 홈런도 스포티비에서 중계했으며 2022 시즌 첫 홈런도 5월 14일 잠실 KIA전, 스포티비가 중계했다. * 명언을 좋아한다. 그가 꼽은 명언으로는: ''' “będzie dobrze” (벵제 도브제): “결국에는 다 잘 될것이다.”''',''' “명성을 쌓는데에는 20년이라는 세월이 걸리며, 명성을 무너 뜨리는 데는 채 5분도 걸리지 않는다.” ''', ''' “꿈이 있는 거북이는 지치지 않는다.” '''[* 사실 이 문장은 방송인 [[김병만]]의 자기계발서의 제목이다. ], ''' “꿈에 눈이 멀어라 시시한 현실따위 보이지 않도록.” '''[* 이 문구는 직접 종이에 적어 숙소 벽면에 붙여놓기도 했다.] 등이 있다. * 99년생으로 더이상 막내라고 부르기 애매한 연차임에도[* 심지어 고졸이라서 동갑 대졸 선수에 비해 연차가 더더욱 높다. 2살위인 [[문성주]]하고 입단 동기이다.(다만 문성주도 2년제 대학 졸업자라 타 대졸 선수에 비해 데뷔를 빨리 한 편이긴 하다.)] 덕아웃 최고의 놀림감이다. 직접 “이재원을 가장 많이 놀린다.”고 밝힌 [[박해민]]을 선두로 항상 타격폼을 따라하며 놀리는 [[김현수(1988)|김현수]]까지… * [[김헌곤 유니버스]]로 인해 빅곤이라고 붙혀졌다 * 192cm/105kg이라는 거구에 알맞게 입는 유니폼의 치수도 '''어마무시하게 크다.''' 치수는 '''무려 150'''이다. 이는 슈렉과 맞먹는 수준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LG 트윈스 샵에서 판매하는 유니폼들의 최대 사이즈가 120이니. 이는 출처 불분명한 소문으로 본인도 처음 듣는다고 한다. 사복 사이즈는 115~120정도를 입는다고 * 어린 시절 야구 선수가 되겠다는 꿈 자체에 집중했지 특정 야구팀의 팬은 아니었다고 한다. * [[내셔널 풋볼 리그|NFL]] [[캔자스시티 치프스]] 팬이라고 한다. 스프링 캠프 도중 [[슈퍼볼 LVII]]에 치프스가 진출하자 인스타에 시청 인증샷을 올렸다. 그 중 [[패트릭 마홈스]]의 팬으로 마홈스의 번호가 새겨진 자켓도 보유하고 있다. * 야구 시뮬레이션 게임 [[OOTP]]에서는 라이센스가 없어 '''우지민''' 이라는 가명으로 나온다. === 트레이드 절대 불가? === [[차명석]] 단장이 말하길 이재원은 몇 없는 거포라서 진작에 트레이드 불가' 자원으로 점 찍었다고 한다. 2022 시즌 초반에 [[임기영]]과의 트레이드 카드로 맞춰진 거 아니냐는 루머가 돌았는데 차명석 단장이 "이재원 트레이드는 절대 없다."라고 못 박았다.[* 그리고 이 선택은 2022년 LG 트윈스의 가을야구 조기 탈락에 결정적 영향을 끼쳤다. 이재원은 장타자로서의 두각을 드러낸 순간이 몇 있었으나, 확실한 포텐이 터지지 않았다. 막판 순위 싸움이나 [[키움 히어로즈]]와의 [[KBO 플레이오프/2022년|플레이오프]]서는 특별히 활약하지 못했다. 반면, 트레이드 루머의 이유였던 국내 투수진은 부실함을 여지없이 드러냈다. 후반기 절정의 활약을 펼친 [[김윤식(야구선수)|김윤식]]은 플옵에서도 쾌투했으나, 그가 내려가자마자 키움의 뒷심이 경기를 장악했다. 선발 자원인 [[임찬규]]와 [[이민호(2001) ]]는 ‘가을 선발 불가’ 판정을 받는 수모를 겪었다.] 단장뿐 아니라 LG팬들 또한 이재원에 대한 기대치가 워낙 컸다. 동글동글하고 웃는상인 얼굴과 함께[* 성격 또한 방방거리고 몸에 애교가 밴 지라 더욱 그런 듯하다.] 팬서비스가 매우 좋고 성적까지 받쳐주면서 특히 2022시즌 전반기 인기가 치솟았기 때문. 특히나 ‘그렇게 바라던 우타거포’ 라는 점 때문에 팬들은 아무리 이재원이 타석에서 삼진을 당하고, 잔루를 남겨도 다른 선수들에 비하면 보살급으로 관대해졌다.[* 무려 만루 기회를 두 번씩이나 삭제시켜도 관중석에선 아쉬운 탄식도 잠시 이를 악 물고 파이팅을 외치는 팬들이 있었다.] "[[세금]]'이다."하고 염불을 외며 유망주의 성장을 지켜보았다. 이렇듯 잠실을 홈으로 쓰며 거포 유망주들의 무덤이라 불리는 LG에서 LG가 홈런타자를 키워낼 수 있을지 기대되는 부분이었다. 그러나 군입대까지 미루고 [[염경엽|새로운 감독]]이 밀어준다 천명한 2023시즌 3번의 부상과 함께 찾아온 공수주에서의 극도의 부진으로 인해 욕을 먹는 일이 조금 늘었고, 또 팬들 중 일각에서는 우승에 목말라있는 팀이 유망주 하나 키운다고 시즌을 망칠 일 있냐며 차라리 틀드 매물로 내놓자는 의견이 스멀스멀 나왔다. LG에게 놀랍게도 [[최원태]]를 내주면서 트레이드 시장에 뛰어든 키움의 선택은 이재원이 아닌 [[이주형(2001)|이주형]]이었다. 이재원보다 나이도 어리고, 군 문제도 해결했으며, 결정적으로 이재원은 이미 100타석 넘게 먹여서 가치가 어느 정도 드러났다는 게 키움의 판단이었다. 이주형은 키움 이적 후 114타석 동안 타율 3할 2푼, 4홈런, 22타점, 장타율 5할 등 절정의 타격감을 과시했다. 반면 비슷하게 110타석을 소화한 2023년 이재원의 성적은 이주형보다 밀렸다. 비율 스탯인 타율과 장타율은 제외하더라도, 누적 스탯인 3홈런과 17타점이 뼈아팠다. 세이버 스탯은 더 심각했다. 이재원은 wRC+ 75.6에 WAR* 0.06인 반면, 이주형은 wRC+ 142.7에 WAR* 1.31이었다. 물론 20대 중후반에 대폭발한 [[박병호]], [[한유섬]]의 사례도 있듯 2023년 현재 이재원에게 ‘낙제점’을 부여[* [[김상현]], [[박병호]], [[정의윤]], [[양석환]] 트라우마가 있는 LG 팬덤에서 종종 제기되는 주장이다. 물론 까이기 일수.]하는 것은 시기상조다. 야수는 육성에 있어서 투수보다 오랜 시간이 걸리며, 특히 장타력을 갖춘 야수는 더욱 까다롭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재원이 보여준 능력은 과연 그가 ‘트레이드 절대 불가’라고 거론될 정도인지는 의구심을 들게 한다. 1999년생이면 슬슬 주전으로서 자리를 잡거나, 일발 장타 요원으로 눈도장을 찍어야 하는 나이다. 2023년 현재 LG의 뎁스는 10개 구단 중 독보적으로 탄탄하다. V3을 노리는 2023 LG에게 이재원은 계륵 같은 존재다. 그럼에도, 아니 그러니까 LG팬은 그가 하마평에 걸맞는 활약을 보여주길 기대한다. ‘잠실의 빅보이’는 누구도 가져갈 수 없는 이재원만의 응원가 가사이자 별명이다. 이재원이 어디까지 성장하느냐에 따라 2020년대 LG의 명운이 갈릴 수 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99년 출생]][[분류:2020년 데뷔]][[분류:인천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서울고등학교 출신]][[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LG 트윈스/현역]][[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