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타드 드 랭스/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E2136 0%, #263164 30%, #263164 70%, #1E2136)" {{{#ffffff '''이토 준야의 수상 이력'''}}}}}}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A|[[파일:벨기에 프로 리그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3399; font-size: 0.7em"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A|{{{#fff '''2021-22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A 도움왕'''}}}]]}}}||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벨기에 프로 리그|[[파일:벨기에 프로 리그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3399; font-size: 0.7em" [[벨기에 프로 리그|{{{#fff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A 올해의 팀'''}}}]]}}}||<-3>2020-21 · 2021-22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9196(JI39)(22-23).jpg|width=100%]]}}} || ||<-3> '''스타드 드 랭스 No. 7''' || ||<-3> '''{{{#ec0000 {{{+1 이토 준야}}} [br] [ruby(伊東 純也, ruby=いとう じゅんや)] | Junya Itō}}}''' || ||<-2><|2> '''출생''' ||[[1993년]] [[3월 9일]] ([age(1993-03-09)]세) || ||[[일본]] [[가나가와현]] [[요코스카시]] || ||<-2>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2> '''신체''' ||[[키(신체)|키]] 176cm / [[체중]] 66kg[* [[https://www.jfa.jp/samuraiblue/member/ito_junya.html|일본 축구 협회 공식 프로필]]] || ||<-2> '''포지션''' ||'''[[윙어]]''', [[윙백]] || ||<-2> '''주발''' ||오른발 || ||<|2> '''소속''' || '''유스''' ||가모이 축구 클럽 (1999~2004) [br] 요코스카 시걸즈 (2005~2007) [br] 즈요고등학교 (2008~2010) [br] [[가나가와대학]] (2011~2014) || || '''프로''' ||[[방포레 고후]] (2015) [br] '''[[가시와 레이솔]] (2016~2020)''' [br] '''{{{-1 → [[KRC 헹크]] (2019~2020 / ^^임대^^)}}}''' [br] '''[[KRC 헹크]] (2020~2022)''' [br] '''[[스타드 드 랭스]] (2022~ )''' || ||<-2> '''국가대표''' ||47경기 12골[* 2023년 9월 13일 기준]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 2017~ )^^ || ||<-2>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itoujky, 크기=28)] | [[https://www.instagram.com/1409juny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8]]]]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역대 등번호'''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대표팀]] - '''14번''' [br] [[방포레 고후]] - '''15번''' [br] [[가시와 레이솔]] - '''14번''' [br] [[KRC 헹크]] - '''7번''' [br] [[스타드 드 랭스]] - '''7번''', 39번 || ||<-2> '''후원사''' ||[[푸마(브랜드)|푸마]]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스타드 드 랭스]] 소속 [[축구 선수]]. 주 포지션은 [[윙어]]이다. == [[이토 준야/클럽 경력|클럽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토 준야/클럽 경력)] == 국가대표 경력 == [[파일:ito_junya_JFA.jpg]] 2016년 [[리우 올림픽]] 대표팀(U-23) 예비 멤버로 뽑히면서 평가전에도 출전했지만, 올림픽 최종 명단에는 들지 못했다. [[2017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서 성인 대표팀에 처음 소집되어,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북한]]전에서 A매치 데뷔전을 가졌다. 이어 [[도쿄 대첩(2017)|대한민국전]]에서도 선발로 출전해 페널티 박스 안에서 [[장현수]]한테 파울을 얻어내어 선제골이 된 페널티킥을 만들었으나, 이후 팀은 내리 4실점하며 '''1:4''' 참패했고, 이날 경기에서 자국에서 많은 비난을 받은 일본 선수 중 하나였지만 그래도 그나마 눈에 띄는 활약을 펼쳤다. 2018년 9월 [[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코스타리카]]와의 평가전에서 국가대표 소집 이후 첫골을 기록하더니 10월 [[파나마 축구 국가대표팀|파나마]]와의 평가전에서도 골을 성공시키며 존재감을 과시했다. 동아시안컵 대한민국전과 월드컵 이후 평가전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며 [[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일본대표팀에도 발탁되었다. 2019년 아시안컵에서 주전과 벤치스타트를 병행하며 빠른 돌파와 날카로운 크로스를 보여줬다. 2021년 [[미사키공원 구기장]]에서 열린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세르비아]]와의 경기에서 코너킥 상황 [[타니구치 쇼고]]가 흘러준 볼을 헤딩으로 밀어 넣으며 선제골을 넣었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아시아 최종예선 2차전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중국]]과의 경기에서도 전매특허인 엄청난 속도의 치달로 중국 왼쪽 측면수비를 허문뒤 어시스트를 기록하였다. 이후 5차전 베트남 원정과 6차전 오만 원정에서 2경기 연속 결승골을 기록하며 수렁에 빠질 뻔한 일본 대표팀을 순식간에 조 2위로 끌어올렸다. 7차전 중국전에서도 [[오사코 유야]]의 선제골로 연결 된 PK를 얻어낸 뒤, 후반 16분경 헤더로 팀의 2번째 골을 기록하며 2:0 완승을 이끌었다. 사우디와의 8차전에서도 1골 1어시스트로 월드컵최종예선 4경기 연속 골을 기록하며 이번 최종예선 초반 부진했던 일본 대표팀이 수렁에서 탈출 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최종적으로는 한국의 [[손흥민]], 중국의 [[우레이]], 이란의 [[메흐디 타레미]]와 [[알리레자 자한바크슈]], 사우디 아라비아의 [[살레 알셰흐리]]와 함께 아시아 최종예선 공동 득점왕에 올랐고 일본 대표팀도 카타르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이후 월드컵 본선 32강 조별리그에서 일본이 스페인-독일-코스타리카라는 정신이 아득해지는 대진을 받아서 이토 준야의 어깨가 더욱 무거워진 상황이다.[* 그간 공격진을 이끌어왔던 나카지마 쇼야는 포르투 이적 후 제대로 뛰지도 못하고 먹튀로 전락한지 오래고, 미나미노 역시 리버풀 이적 후 제대로 뛰지 못하면서 제 기량이 나오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E조|2022 카타르 월드컵 32강 E조]] 3경기에 모두 선발 출전하여 팀의 16강행을 이끌었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E조/독일 vs 일본|독일전]]에서는 공격포인트를 기록하지 못했으나 후반에는 윙백으로도 기용되는 등 공수 양면에서 왕성하게 활동해 승리에 공헌했다. 코스타리카전에서는 별 다른 활약을 못한 채 [[도안 리츠]]와 교체되었으나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E조/일본 vs 스페인|스페인전]]에서는 도안의 동점골을 어시스트해 팀의 16강행을 이끌었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16강|카타르 월드컵 16강]] 크로아티아전에서 전반전에는 엄청난 활약을 펼치며 크로아티아 왼쪽 수비진을 휘저었다. 그러나 후반전부터 익숙치 않은 왼쪽으로 기용되는 모리야스 감독의 알 수 없는 용병술로 반대로 크로아티아 수비진에게 지워졌고 팀은 패하며 9위로 월드컵을 마무리했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월드컵]] 이후 첫 A매치인 2023년 3월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와의 경기에서도 우루과이의 좌측면을 허문 뒤 [[니시무라 타쿠마]]의 동점골을 돕는 어시스트를 기록했다. 당시 일본인 해외파 중에서는 [[미토마 카오루]][* 다음 경기인 [[콜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콜롬비아]]전에서 선제골을 기록했다.]가 독보적이기는 하지만 아직까지 일본 국가대표의 에이스는 여전히 이토 준야임을 증명한 장면이라고 볼 수 있다. 6월 A매치 [[페루 축구 국가대표팀|페루]]전에서 팀의 3번째 골을 기록하여 4:1 승리에 기여했다. 9월 A매치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전에서 전반 10분 선제골과 전반 21분 [[우에다 아야세]]의 골을 어시스트 하며 1골 1어시스트를 기록해 팀의 4:1 승리를 이끌었다. 이후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튀르키예]]전[* 튀르키예전이 열린 경기장이 벨기에 헹크의 [[세게카 아레나]]인데, 이토 준야의 친정팀인 [[KRC 헹크]]의 홈구장이다. 그래서 구단에서도 SNS를 통해 헹크에서 맹활약한 이토를 환영하는 [[https://x.com/KRCGenkofficial/status/1701245647586816475?s=20|글]]을 게시했다.]에서도 교체로 출전해 후반 32분 엄청난 스피드로 상대에게 파울을 유도해 PK를 얻어냈고 본인이 얻은 PK를 성공해 팀의 4번째 골을 기록했다. == 플레이 스타일 == 이토 준야의 최대 장점은 준족이 많은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도 최강의 스피드를 자랑하는 '''압도적인 주력'''. 50m를 약 5초에 주파하는 주력으로서 측면을 흔들 수 있는 솔로 플레이에 능한 크랙으로, 공이 없을 때의 직선적인 달리기뿐만 아니라 드리블 중에도 가속력이 죽지 않는다. 축구선수가 달리기 빠른게 당연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토 준야처럼 공을 단 상태로도 압도적으로 빠르다면 다른 이야기가 된다.[* 일본 국가대표 새내기이던 2017년 동아시안컵 한일전에서 비록 팀은 대패했지만 나름 신태용호의 주전이던 [[장현수]]에게 굴욕을 선사하며 PK를 얻어낸 장면과 카타르 월드컵 최종예선 2차전 중국전 어시스트 장면이 이토 준야의 어마무시한 주력을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장면이다.] 빠른 발 하나만으로도 우측면을 혼자서 붕괴시킬만큼 위협적이지만, 개인 기술도 갖추고 있어 테크니컬한 플레이에도 능하다. 빠른 발을 이용한 치달에 개인기술까지 겸비해 드리블을 시도하기에 상대 수비수 입장에서는 굉장히 막기 까다롭다. 드리블 돌파 후에는 주발인 오른발로 우측면에서 위협적인 크로스나 컷백을 올려주는데, 높게 띄워주는 얼리 크로스는 물론, 낮게 깔리는 스루패스나 컷백까지 공격 시 다양한 마무리 패스를 통한 양질의 공격 지원이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들을 바탕으로 카타르 월드컵 최종예선 동안에는 예선 초반 나락에 떨어진 일본 대표팀을 혼자서 살려내며 2022년 일본 국가대표팀의 숨겨진 에이스 역할을 했다. 확실한 툴을 가진 선수인 만큼 단점도 분명하게 가지고 있는데, 우선 빠른 발을 이용한 역습을 자주 펼치는 만큼 오프사이드 라인에 자주 걸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수비 시 빠른 발을 통해 본래 진영으로 복귀하는데, 수비 가담보다는 전방 압박을 선호하는 편이라 위험한 수비로 카드를 받기도 한다. 2023년에는 그의 장점이 더욱 폭발하여 매우 정확한 포지셔닝과 볼터치, 패싱 능력으로 월드 클래스급의 수비도 뚫을 수 있는 확실한 크랙이 되었으며, 90분 내내 공수 양면에서 모두 엄청난 활동량을 보여줌에도 지치지 않는 경이적인 체력까지 겸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모리야스 재팬]]의 실질적인 에이스이자 없어서는 안될 핵심 선수로 자리잡았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KRC 헹크]] (2019~2022) * [[벨기에 프로 리그|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A]]: 2018-19 * [[크로키컵|벨기에 컵]]: 2020-21 * 벨기에 슈퍼컵: 2019 === 개인 수상 === * [[J리그]] 우수 선수: 2017 * [[벨기에 프로 리그|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A]] 올해의 팀: 2020-21, 2021-22 * [[벨기에 프로 리그|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A]] 도움왕: 2021-22 * [[벨기에 프로 리그|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A]] 올해의 골: 2021-22 * 일본프로축구협회 어워즈 베스트 11: 2022 == 여담 == == 같이 보기 == [include(틀:스타드 드 랭스)] [include(틀:현역 일본인 축구 유럽파 선수)] [include(틀: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include(틀: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2022 카타르 월드컵))] [각주] [[분류:1993년 출생]][[분류:2015년 데뷔]][[분류:요코스카시 출신 인물]][[분류:가나가와대학 출신]][[분류:일본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공격수]][[분류:윙어]][[분류:방포레 고후/은퇴, 이적]][[분류:가시와 레이솔/은퇴, 이적]][[분류:KRC 헹크/은퇴, 이적]][[분류:스타드 드 랭스/현역]][[분류:일본의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참가 선수]][[분류:일본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