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1 인 더 하이츠}}}''' (2021)[br]''In the Heights''}}}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하이츠에서.jpg|width=100%]]}}} || || '''장르''' ||[[뮤지컬]], [[드라마]]|| || '''감독''' ||[[존 추]]|| || '''각본''' ||퀴아라 알레그리아 후데스|| || '''원작''' ||퀴아라 알레그리아 후데스와 [[린 마누엘 미란다]]의 뮤지컬 《[[인 더 하이츠]]》|| || '''제작''' ||퀴아라 알레그리아 후데스[br][[린 마누엘 미란다]][br]스콧 샌더스[br]앤서니 브레그먼[br]마라 제이콥스|| || '''주연''' ||[[앤서니 라모스]][br]코리 호킨스|| || '''촬영''' ||앨리스 브룩스|| || '''편집''' ||마이런 커스틴|| || '''음악''' ||[[린 마누엘 미란다]][br]알렉스 라카모어[br]빌 셔먼|| ||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린 마누엘 미란다|5000 브로드웨이 프로덕션]][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Barrio Grrrl! 프로덕션[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라이클리 스토리[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SGS 픽처스[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엔데버 콘텐트|| ||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워너 브라더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1년]] [[6월 1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1년]] [[6월 30일]] || || '''상영 시간''' ||143분|| || '''제작비''' ||5,500만 달러|| || '''월드 박스오피스''' ||$45,135,827|| || '''북미 박스오피스''' ||$29,975,167|| || '''대한민국 총 관객수''' ||52,028명|| || '''스트리밍''' ||[[HBO 맥스|[[파일:HBO Max 로고.svg|width=90]]]]|| || '''[[영상물 등급 제도|{{{#ffffff 상영 등급}}}]]''' ||[[12세 관람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000000,#dddddd 12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뮤지컬 [[인 더 하이츠]] 원작의 2021년작 영화. == 제작 == 2008년 [[유니버설 픽처스]]는 2011년에 인 더 하이츠 영화를 개봉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나 계획은 무산되었다. 이후 린-마누엘 미란다는 영화화 논의는 무산되지 않았다고 전했으며, [[하비 와인스틴]]과의 공동 제작을 발표했다. 그러나 와인스틴의 [[하비 와인스틴 성범죄 파문|성폭행 논란]]으로 인해 와인스틴은 하차했으며, 판권 또한 [[와인스틴 컴퍼니]]에서 [[워너 브라더스]]로 옮겨졌다. 이 후 [[존 추]]가 감독을 맡게 되었다. 2020년 8월 7일 개봉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개봉이 2021년 6월 18일로 미루어졌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vGto0Pvqyg)]}}}|| || '''{{{#233540 공식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0yZEgWgAuM)]}}}|| || '''{{{#233540 2차 공식 예고편}}}''' || == 시놉시스 == ||꿈을 향해 더 크게 소리 질러! ‘우스나비’는 가족들과 이민 온 워싱턴 하이츠에서 잡화점을 하고 있지만 늘 고향 도미니카 해변에 있는 아버지의 상점을 다시 열고 싶은 꿈이 있다. 어느덧 서른, 돈도 모았고 계획한 날짜도 다가오지만 왠지 망설여진다. 어린 시절부터 좋아한 친구 바네사에게 아직 고백 한번 못 했는데… 우린 애초에 인연이 아니었던 걸까? ‘바네사’는 동네 미용실에서 일하면서도 늘 패션 디자이너가 되고픈 꿈을 위해 도시로 나가고 싶지만 많은 돈이 필요하다. 게다가 예기치 않은 사랑에 빠져 생각한 것보다 떠나기가 쉽지 않다. ‘니나’는 스탠포드 대학에 진학한 자신에게 거는 가족과 마을 사람들의 기대가 부담스럽기만 하고, ‘베니’는 자신의 직장 상사이자, 연인인 니나의 아버지가 평생을 걸쳐 이룬 운수회사를 학비 때문에 팔려고 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하이츠에 찾아온 무더운 여름과 함께 우스나비의 가게에서 판매된 복권이 당첨됐다는 소식이 전해오고, 주인공은 바로 쿠바를 떠나와 수십 년간 동네 사람들의 할머니가 되어주었던 클라우디아였던 것! 그러나 하이츠 전역에 그들의 삶을 뒤바꿀 정전이 일어나던 날, 클라우디아가 이 작은 동네를 떠날 기쁨을 누릴 새도 없이 모두와의 뜻하지 않은 이별을 준비해야만 하는데… || == 등장인물 == * [[앤서니 라모스]] - 우스나비 데 라 베가 역 * 멜리사 바레라 - 바네사 모랄레스 역 * 코리 호킨스 - 베니 역 * [[레슬리 그레이스]] - 니나 로사리오 역 * 그레고리 디아즈 4세 - 소니 데 라 베가 역 * 올가 메레디즈 - 클라우디아 역 * 다프네 루빈베가 - 다니엘라 역 * [[스테파니 베아트리즈]] - 칼라 역 * 다샤 폴란코 - 쿠카 역 * 지미 스미스 - 케빈 로사리오 역 * [[린 마누엘 미란다]] - 피라구에로 역 * 노아 카탈라 - [[그래피티]] 피트 역 * 크리스토퍼 잭슨 - 미스터 소프티 아이스크림 역 * 마테오 고메즈 - 알레한드로 역 * 올리비아 페리즈 - 아이리스 역 {{{#!folding [ 그 이외의 단역 펼치기ㆍ접기 ] * 페트릭 페이지 - 파이크 필립스(세탁소 주인) 역 * 딘 스콧 바스퀘즈 - 세도 역 * 마크 앤토니 - 가포 역 * 아날리아 고메즈 - 로사 역 * 메이슨 바스퀘즈 - 미기 역 * 델리라 라모스- 크랭키 비에하 역 * 수잔 포파 - 한나 헤더웨이 역 * 마리아 히노조사 - 시위 주동자 역 * 라이언 우들 - 활동가 역 * 도린 몬탈보 - 이웃 여성 역 * 제시카 카스트로 - 제시카(미용실) 역 * 예시 가르시아 - 로비의 여성 역 * 조나단 아라나, 랩소디 제임스 - 미용실 고객 역 * 제니퍼 에르난데스 - 거친 소녀 역 * 앰프 잉게른렁루앙로이 - 힙스터 역 * 바이람 리자이, 라비니아 존스 라이트 - 어린 커플 역 * 알렉산드로 캄포스 - 자동차 서비스 디스패쳐 역 * 아리아나. S. 고메즈, [[아리아나 그린블랫]] - 어린 니나 역 * 휴 M 존스 3세 - 세차하는 남자 역 * 루이스 미란다[*uncredited] - 워싱턴 하이츠의 한 주민 역}}} [[황주민]] ※ 뮤지컬 [[해밀턴]]에서 존 로렌스/필립 해밀턴 역을 맡았던 [[앤서니 라모스]]가 주인공 우스나비로 출연하며, 오리지널 우스나비였던 린마누엘 미란다는 피라구아 아저씨로 출연한다. 또한 [[렌트]]의 오리지널 미미였던 다프네 루빈베가가 다니엘라로 출연하며 원작의 오리지널 베니이자 [[해밀턴]]에서 [[조지 워싱턴]] 역을 분한 크리스토퍼 잭슨이 미스터 소프티 아이스크림 장사꾼으로 출연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브로드웨이 뮤지컬 [[하데스타운]]에서 하데스 역을 맡았던 패트릭 페이지가 로사리오 운수회사 옆 세탁소 주인으로 등장하고, [[렌트]] 라이브에서 앤젤 역을 맡은 발렌티나, [[린 마누엘 미란다]]와 그의 아버지인 루이스 미란다 또한 카메오로 출연한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in-the-heights, critic=85, user=7.3)]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in_the_heights_2021, tomato=95, popcorn=94)] [include(틀:평가/IMDb, code=tt1321510, user=7.9)]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in-the-heights, user=4.0)]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영화 코드>, presse=<전문가 평점>, spectateurs=<관람객 평점>)]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왓챠,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78829, light=87.5)]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영화 코드>, expert=<전문가 평점>, audience=<관람객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영화 코드>, expert=<전문가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CGV, code=84631, egg=89)]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A)] > '''철저하게 낙관적이고 완벽하게 흥겹다''' > [br] 흥겨움과 열정을 빈틈없이 채웠다. 모든 장면이 어깨를 들썩이게 한다. 러닝타임 내내 화려한 축제를 보고 있는 기분이다. 라틴 리듬과 흑인 음악 등 다양한 장르와 문화를 혼합하고 버무린 솜씨도 일품이다. 모든 것이 낙관적으로 보일 만큼 완벽하게 즐겁다. 야심 차게 드러낸 인종 차별, 이민자 배척, 지역 임대료 상승 등의 사회 문제가 화려함 뒤에 가려 의미가 반감된 점은 아쉽다. >---- > - 심규한 (★★★☆) > '''직관적으로 즐겁고 지속적으로 흥겹다''' > - 남선우 (★★★☆) > '''코로나 블루를 떨쳐버릴 수 있는 단 하나의 처방!''' > - 임수연 (★★★☆) > '''라틴의 열정과 여름의 열기로 가득한 뮤지컬, 그러나 한계도 분명한''' > - [[이용철(평론가)|이용철]] (★★★☆) > '''넋을 빼는 떼춤, 번거롭게 겉도는 플롯''' > - [[박평식]] (★★★) > '''군무에 ‘들썩’, 이야기 전개에 살짝 ‘시들’''' > [br] 기분 전환이 필요할 때 보면 ‘딱’인 군무들이 즐비하다. 힙합, 살사, R&B, 등의 음악도 기막히게 잘 썼다. 반면 인물 간 갈등 해결이 갑작스럽고, 라틴계 이민자들이 품은 여러 고민도 '깊게' 보다 '넓고 얕게' 펼쳐내는 데 그치면서 후반부 긴장감이 충분히 쌓이지 못한다. 여러 인물을 품으려는 욕심을 버리고, 이야기 흐름 연결을 조금 더 매만졌으면 어땠을까. 하지만 이 영화의 장점은 단점보다 크다. 특히 대규모 정전이 안긴 무기력함을 이겨내려는 후반부 서사가 지금의 펜데믹 시대를 관통하는 지점이 있어 더 어깨 들썩이게 된다. >---- > - 정시우 (★★★☆) 춤과 노래는 모두 훌륭하지만 스토리가 아쉬웠다는 평이 많다. == 수상 및 후보 == * [[골든 글로브]] 뮤지컬/코미디 남우주연상([[앤서니 라모스]]) 후보 == 흥행 == === [[대한민국]] === ||<-7>
'''{{{#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 '''{{{#ffffff 주차}}}''' || '''{{{#ffffff 날짜}}}''' || '''{{{#ffffff 일일 관람 인원}}}''' || '''{{{#ffffff 주간 합계 인원}}}''' || '''{{{#ffffff 순위}}}''' || '''{{{#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ffffff 개봉 전}}} ||<:> ||<:> 6,024명 ||<:> 6,024명 ||<:> 미집계 ||<:> 64,270,940원 ||<:> 64,270,940원 || ||<|7> {{{#ffffff 1주차}}} ||2021-06-30. 1일차(수) ||<:> 14,677명 ||<:><|7> -명 ||<:> 6위 ||<:> 98,383,750원 ||<:><|7> -원 || ||2021-07-01. 2일차(목) ||<:> 4,215명 ||<:> 6위 ||<:> 40,436,520원 || ||2021-07-02. 3일차(금) ||<:> 4,579명 ||<:> 7위 ||<:> 48,173,220원 || ||2021-07-03. 4일차(토) ||<:> 7,680명 ||<:> 7위 ||<:> 81,030,010원 || ||2021-07-04. 5일차(일) ||<:> -명 ||<:> -위 ||<:> -원 || ||2021-07-05. 6일차(월) ||<:> -명 ||<:> -위 ||<:> -원 || ||2021-07-06. 7일차(화) ||<:> -명 ||<:> -위 ||<:> -원 || ||<|7> {{{#ffffff 2주차}}} ||2021-07-07. 8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1-07-08. 9일차(목) ||<:> -명 ||<:> -위 ||<:> -원 || ||2021-07-09. 10일차(금) ||<:>-명 ||<:> -위 ||<:> -원 || ||2021-07-10. 11일차(토) ||<:> -명 ||<:> -위 ||<:> -원 || ||2021-07-11. 12일차(일) ||<:> -명 ||<:> -위 ||<:> -원 || ||2021-07-12. 13일차(월) ||<:> -명 ||<:> -위 ||<:> -원 || ||2021-07-13. 14일차(화) ||<:> -명 ||<:> -위 ||<:> -원 || ||<|7> {{{#ffffff 3주차}}} ||2021-07-14. 15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1-07-15. 16일차(목) ||<:> -명 ||<:> -위 ||<:> -원 || ||2021-07-16. 17일차(금) ||<:> -명 ||<:> -위 ||<:> -원 || ||2021-07-17. 18일차(토) ||<:> -명 ||<:> -위 ||<:> -원 || ||2021-07-18. 19일차(일) ||<:> -명 ||<:> -위 ||<:> -원 || ||2021-07-19 20일차(월) ||<:> -명 ||<:> -위 ||<:> -원 || ||2021-07-20. 21일차(화) ||<:> -명 ||<:> -위 ||<:> -원 || ||<|7> {{{#ffffff 4주차}}} ||2021-07-21. 22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1-07-22. 23일차(목) ||<:> -명 ||<:> -위 ||<:> -원 || ||2021-07-23. 24일차(금) ||<:> -명 ||<:> -위 ||<:> -원 || ||2021-07-24. 25일차(토) ||<:> -명 ||<:> -위 ||<:> -원 || ||2021-07-25. 26일차(일) ||<:> -명 ||<:> -위 ||<:> -원 || ||2021-07-26.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21-07-27.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ffffff 합계}}}''' ||<:><-6> '''누적관객수 37,175명, 누적매출액 332,294,440원'''[* ~ 2021/07/03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를 적용해 주세요. ## 날짜는 개봉 일정에 맞게 변경해 주세요. === [[북미]] === 흥행이 예상보다 저조하다. 1300만 달러의 낮은 오프닝 성적을 기록했으며, [[HBO 맥스]]와 동시 공개임을 감안해도 흥행이 다른 워너 작품들에 못 미치고 있다. [[포브스]]에서는 스타 배우가 없고 인상적인 캐릭터나 넘버가 없는 등 흥행에 실패한 8가지 이유를 분석했다. [[https://www.forbes.com/sites/scottmendelson/2021/06/13/8-reasons-in-the-heights-stumbled-at-the-box-office/?sh=618480907302|#]] == 뮤지컬과의 차이점 == * 음악의 상당수가 편곡되었다. 캐릭터별로 캐릭터에 걸맞는 장르가 부여되었다. * 니나의 어머니인 카밀라 로사리오가 등장하지 않는 대신 쿠카라는 새로운 캐릭터가 추가되었다. --비중은 없다.-- * 니나의 부모가 니나와 베니의 관계를 인정하지 않는 것으로 갈등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니나의 아버지가 운수 사업을 접으려고 하는 것에 열심히 일하던 베니가 일자리를 잃을 수 있는 것에 반발하는 것으로 갈등 관계가 발생한다. * 전반적으로 넘버 순서가 바뀌었다. * 뮤지컬에서는 Paciencia y Fe가 1막에서 우스나비의 할머니 클라우디아가 복권 당첨 사실을 알았을 때 나왔는데, 영화에서는 사망 직전에 나온다. * 뮤지컬에서는 Carnaval del Barrio가 정전 직후에 나오는데, 영화에서는 클라우디아 사후에 나온다. 영화에서는 해가 떠있을 때 노래를 부르는 반면 가사는 바뀌지 않아서 살짝 괴리가 있다. * 클라우디아가 복권에 당첨된 것으로 밝혀지는 장면이 뮤지컬과 달리 클라우디아 사후인 것으로 표현된다. * 뮤지컬에서는 클라우디아가 당첨금을 1/3씩 소니와 우스나비에게 나눠주는데, 영화에서는 클라우디아 사후에 복권 당첨 사실이 알려지며 우스나비가 변호사에게 전액을 소니의 영주권 신청과 양육에 쓰게 해달라고 부탁하는 것으로 표현된다. * 뮤지컬에서는 우스나비를 하이츠에 남게 하는 결정적 이유가 클라우디아의 모습을 담은 그래피티였던 것과 다르게 영화에서는 벽에 쓰인 'Paciencia y Fe'만이 클라우디아를 떠올리게 한다. * 넘버 '96000'의 가사 "Donald Trump and I on the links and he's my caddy"가 Tiger Woods로 바뀌었다.[* 뮤지컬이 브로드웨이에 진출한 2008년에는 기업가를 꿈꾸는 베니가 트럼프를 언급하는 게 자연스러웠으나 이제는 다른 의미로 해석되는지라...] == 기타 == * 자막의 상태가 좋지 못한 편이다. 랩 부분의 가사 자막을 억지 라임을 맞춘다고 의미의 절반을 날려먹었을 뿐만 아니라 “We are powerless” 나 “I’m home”같은 대사들을 “우린 파워리스”와 “아엠 홈” 따위로 소리나는 대로 자막을 적어놓은 것을 볼 수 있다. 오역도 심각한 수준이다. 영어를 엄청 잘하지 못해도 금방 알 수 있는 예시로, 클라우디아의 넘버 Paciencia y fe의 가사 "playing with my friends in the summer rain"을 여름비를 기도(pray)한다고 번역하여 전혀 다른 문장을 만들었다. 영어와 스페인어가 혼용되는 장면에서도 각 단어의 느낌을 적절히 살리지 못했으며 한 자막에 희석되면서 의미가 많이 퇴색되었다. ----대부분의 스페인어 표현은 자막에서 생략되기도 했다.---- * [[Roblox]]와 콜라보 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오리지널 티켓)] [include(틀:시그니처 아트카드)]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의 기타 문단, title=인 더 하이츠, version=19, paragraph=1)] [[분류:미국의 뮤지컬 영화]][[분류:2021년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워너 브라더스]][[분류:뮤지컬 원작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