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5 {{{+5 {{{+5 {{{+5 {{{+5 인}}}}}}}}}}}}}}} || || {{{-1 '''[[유니코드]]'''}}} || U+C778 || || {{{-1 '''[[완성형]][br]수록 여부'''}}} || O || || {{{-1 '''구성'''}}} || [[ㅇ]]+[[ㅣ]]+[[ㄴ]] || || {{{-1 '''[[두벌식]][br]{{{-1 ([[QWERTY]])}}}'''}}} || dls || || {{{-1 '''{{{-1 [[세벌식]] 최종}}}[br]{{{-1 (QWERTY)}}}'''}}} || jds || || {{{-1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법|{{{-1 현행 로마자}}} 표기법]]'''}}} || in || || {{{-1 '''[[매큔-라이샤워 표기법|{{{-2 매큔-라이샤워}}}[br]표기법]]'''}}} || in || [목차] [clearfix] == 1자 한자어 == === [[인(원소)|인]](燐), 원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인(원소))] === [[인(생물학)|인]](仁), 세포 구조에서 핵 내의 물질([[핵소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인(생물학))] === 인(人), 민법 용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자연인)] [[민법]] 제1편 총칙 제2장에서 등장하는 용어. [[민법]]에서 규정하는 법률상 권리와 의무의 주체를 말한다. 인은 좁게 보면 생물학적 인간인 [[자연인]]만을 의미하며, 넓게 보면 [[자연인]]과 법으로 만들어진 인격체인 [[법인]]으로 나누어진다. === 인([[印]]), 인장 도장 === 개인, 단체, 관청의 표지(標識). 나무나 상아, 뿔, 수정, 돌 따위에 글자나 그림들을 새겨서 문서나 물건에 찍어 증거로 삼는다. == [[한자]] == [include(틀:주요 한국 한자음/11~106)] [[교육용 한자]] 1800자 중 '인'이라 읽는 글자는 아래 9자이다. * [[人]] (사람 인) * [[仁]] (어질 인): [[공자]]가 주장한 [[유교]]의 도덕 이념, 또는 정치이념. 오상의 하나로 모든 덕의 기초로서 공자는 이것을 극기 복례라고 설명하고 일반적으로 사랑 또는 박애가 그 내용이다. 천도가 발현하여 인이 되고, 이를 실천하면 만사 모두 조화ㆍ발전된다는 사상이다. 다만 박애라고는 해도 현대의 박애와는 차이점이 조금 있다. 공자는 인(仁)이 진정한 인간다움이며,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라고 하였지만, 또한 극기복례하며 존비친소의 차별적 사랑을 하라고도 얘기하였다. 극기복례란 자신의 욕심을 누르고 예의범절을 따르는 것이고, 존비친소는 구별적 사랑을 의미한다. 즉, 모든 사람을 사랑하긴 하되, 생판 처음보는 사람과 부모님 중에서는 부모님을 더 사랑하라는 얘기. 진정한 박애는 묵자의 겸애설에 더 가깝다. * [[印]] (도장 인): [[도장(도구)|도장]]을 뜻하는 글자이다. * [[因]] (인할 인) * [[寅]] (동방 인): [[십이지]] 중 3번째에 해당한다. * [[引]] (끌 인) * [[忍]] (참을 인): 이거 3개면 [[살인]]도 면한다고 한다. 참고로 [[닌자]]의 닌이나 [[시노비]]에 쓰이는 한자와 같다. 忍 자에는 '참다' 말고도 '''잔인하다''' 라는 뜻도 있다. 형태를 풀어보자면 심장(心) 위에 칼(刀)이 있고 그 중간에 핏방울 내지는 피 튀기는 것을 형상화한 것처럼 보이는 한 획의 점이 보이는데 이 때문에 '고통을 참다'와 '잔인하다'가 같이 나오는 것이다. [[나루토]]에서는 오로치마루가 '[[인술]]'을 사용하는게 닌자라고 정의를 내린 반면 지라이야는 '참고 견디는 자'가 닌자라고 정의를 내린 바가 있다. * [[認]] (알 인) * [[姻]] (혼인 인) 일본 [[상용한자표]]에는 한국에서 안 쓰는 [[刃]](칼날 인)과 함께 [[인후염]](咽喉炎)에 쓰이는 [[咽]](목구멍 인)이 더 들어가있으며 [[寅]]이 없다. 그밖에 '인'으로 읽는 글자는 '[[증거인멸]]'(證擧湮滅)에 쓰이는 [[湮]](잠길 인), [[인대]](靭帶)의 [[靭]](질길 인)이 있다. '[[린]]'이라 읽는 글자도 어두에서는 [[두음법칙]]에 의해 '인'이 되며, 교육용 한자에서 '린'이라 읽는 글자는 [[隣]](이웃 린)뿐이다. [[기린]](麒麟)에 쓰이는 麟은 거의 어두에 오지 않으며 지명에서 [[인제군]](麟蹄郡) 정도의 예가 있을 뿐이다. 燐(도깨비불 린)은 위 1자 한자어 문단에서 보듯 근래에 물질 이름으로 자주 쓰이기에 '인'으로 읽는 경우가 제법 많아졌다. == 영어 == * in: [[안]]을 뜻하는 단어이다. [[인서울]] 같은 단어의 '인'도 영어의 in을 가져와 쓴 것이다. [[미국]]의 햄버거 체인 중 [[인앤아웃버거]](IN-N-OUT BURGER)가 유명하다. * inn: [[여관]]을 뜻하는 단어이다. [[선술집#s-2|Tavern(태번)]]과 거의 같은 의미이나 어째서인지 tavern은 [[선술집]]으로 번역되는 경우가 많다. == 지명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Inn River, rd1=인강(유럽))] == 인명 == === [[인(성씨)|인씨]](印), 성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인(성씨))] === 가상 인물 === * [[DARKER THAN BLACK]] - [[인(DARKER THAN BLACK)]] * [[꼭두각시 서커스]] - [[바이 인]] * [[월야환담 시리즈]] - [[인(월야환담 시리즈)]] * [[영웅전설7]] - [[인(궤적 시리즈)]] * [[언더클래스 히어로]] - [[인(언더클래스 히어로)]] * [[파라곤: 디 오버프라임]] - [[인(파라곤: 디 오버프라임)]] == [[얼음과 불의 노래]]의 등장 지역 == === Yin === [[파일:xrnf.png|width=500]] [[이티(얼음과 불의 노래)|이티]] 제국의 수도. 남쪽 [[비취해]]로 흘러가는 강변에 위치해 있는 항구도시다. 이티가 [[중국]]이 모델이니 여기는 [[시안시]]나 [[베이징]]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겠다. 현재는 청색의 황조의 황제 부가이가 다스리고 있다. [[얼음과 불의 세계]]에 의하면 이곳에 있는 궁전은 황금으로 만들어졌고 [[킹스 랜딩]]보다도 크다고 한다. 다만 어디까지나 먼 곳에서 들은 얘기이니 걸려서 듣자. === Yeen === [[파일:external/awoiaf.westeros.org/400px-Yeen.png]] [[파일:sven-sauer-yeen.jpg|height=200]] [[소토리오스]] 대륙의 자모이오스 강에 세워진 기원을 알 수 없는 도시. 남쪽에는 [[녹색 지옥]]이 있다. [[바실리스크 군도]]에 있는 두꺼비의 섬의 두꺼비 우상처럼 이 곳의 건물들은 전부 [[검은 돌]]로 만들어졌다. 건물을 이루는 바위들은 매우 거대해서 열댓 마리의 코끼리들로 겨우 운반 할 수 있다. 정글 속에서 수천년 동안 폐허로 존재했다. 더욱 미스터리한 것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물이 이곳에 자라지 않고 정글에 파묻히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도시를 재건하려는 시도는 전부 처참하게 실패했다. 전사 여왕 [[니메리아]]가 로인인 피난민을 태운 [[1만 척의 배]]를 이끌고 소토리오스에 닿았을 때 몇몇은 이곳에 정착했지만 소토리오스의 원주민인 소토리들과 접촉했고 자주 공격을 받았다. 그럼에도 로인인들이 포기하지 않고 자메타르에서 배를 타고 인으로 갔지만 '''[[로어노크 식민지|모든 남자, 여자, 아이들이 도시에서 사라진 상태였다.]]''' 로인인들은 이걸 보고 소토리오스를 떠났다. [각주] [[분류:동음이의어]][[분류:동명이인]][[분류:유교]][[분류:얼음과 불의 노래/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