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수권 - 강)] ||<-2> {{{+2 '''일리 강'''}}} [br] '''Ile | Или'''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C764177-9ECD-4EA1-8497-BCFAABCD2E4C.png|width=100%]]}}}|| [목차] == 개요 ==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의 [[알마티]]주와 [[위구르인]]들이 거주하는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있는 일리 강 유역 및 그 지역. 일리 강은 [[텐산 산맥]]에서 [[발하슈 호]]까지 흐르는 강이다. 신장 지역 북부인 [[중가리아]] 지역에 해당된다. [[중국어]]로는 이리로 불린다. 이란-아프간의 [[헬만드 강]]과 함께 세계의 주요 내륙강[* 하구가 바다가 아닌 내륙의 호수에 있는 강] 중 하나이다. == 상세 == [[카자흐스탄]] 동남부 혹은 [[동투르키스탄]](위구르) 북서쪽에 걸쳐있으며 신장 위구르 차지구의 [[일리 카자흐 자치주]](伊犁哈萨克自治州)나 카자흐스탄의 알마티 주 일리(Yili)군이 있다. 강의 유역은 '일곱 개의 강'이란 뜻의 제티수(Жетісу)로 불리며, 이를 [[러시아어]]로 옮긴 세미레치예(Семиречье)란 표현도 과거에 쓰였다. 강의 유역에 위치한 주요 도시로는 [[쿨자시]]와 본류와 접하는 도시는 아니지만 [[알마티]]가 대표적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이리,version=80)] == 역사 == 682년, 아사나차박이 궁월성을 포위하자 [[당나라]]의 안서사진의 쇄엽성 다시말해 현재의 [[이식쿨 호|이식쿨 호수]]로 흘러 들어가는 [[추 강]] 유역에 있는 [[키르키즈스탄]] 령에 있는 토크마크 시에 진을 치고 있던 [[안서도호부|안서도호]] [[왕방익]]이 군을 이끌고 궁월성을 구원하고 이려수[* 이려하라고도 하며 현재의 일리강]에서 [[서돌궐]] 제부들을 격파하였다. > 우리는 [[카라 키타이]]가 살고 있는 산으로 들어갔습니다. 거기에서 [[일리 강|큰 강]]을 발견했고 그 강을 배로 건너야 했습니다. 강을 건넌 후 우리는 어떤 계곡으로 들어섰는데, 그곳에서 어떤 무너진 성을 보았습니다. 성벽은 오로지 진흙으로 만들어져 있고, 땅은 경작되고 있었습니다. 그 후 우리는 “이키 [[오우즈]]”라는 어떤 훌륭한 도시를 발견했는데, [[페르시아]]에서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페르시아어]]를 쓰는 [[타지크인]]들이 살고 있었습니다. > > 남쪽에 산맥을 넘자 우리는 아주 아름다운 평원에 다다랐습니다. 오른쪽에는 높은 산이, 왼쪽에는 [[발하슈호|거대한 호수]]가 있었습니다. 이 평원은 산에서 흘러 내려와 호수로 흘러드는 물로 관개가 아주 잘 되어 있었습니다. 이 평원에는 작은 도시가 많이 있었지만, 그곳의 목초지를 차지하고자 했던 몽골인들에 의해 대부분 파괴되었습니다. 우리는 그곳에서 카얄리크라는 상인들이 왕래하는 도시를 발견하였습니다. 이곳의 이교도들은 사원에 우리와 비슷한 큰 종이 있습니다. 이교도 사제들은 초하루에 사원을 개방하고 [[토가]] 비슷한 옷을 입고 향을 올립니다. 등을 올리고 사람들이 가져온 빵이나 과일 등의 헌물을 바칩니다. > > 그곳 근처에서 [[네스토리우스파|기독교인]]들이 사는 마을을 발견하였습니다. 교회로 들어가서 우리는 기쁨에 차서 찬송가를 목청껏 불렀습니다. 오랜만에 교회를 보았던 것입니다. > > - 1253년 [[기욤 드 뤼브룩]]의 여행 일지에서 해당 기록을 보면 13세기 무렵에도 일리 강 유역에서 다양한 종교와 여러 민족들이 공존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티무르]]의 정복과 파괴로 [[네스토리우스파]]는 사멸하였으며 [[이슬람]]이 주 종교가 되었다. 17세기 이 지역은 [[준가르 칸국]]의 영토가 되었다. 1755년 [[청나라]]가 준가르 칸국을 토벌하고 [[쿨자시|쿨자]]에 만주족 군영를 건설하면서 일리 강 동부 유역을 중심으로 청나라의 영토가 되어 [[카자흐 칸국]]과 접경하게 되었다. 청은 일리 지역을 북강(천산북로:준가리아)에서 남강(천산남로:카쉬가리아) 즉 신강 전체를 통제할 수 있는 중추지로써 중히 여겨 이리장군부를 설치하였다. 이후 카자흐 칸국을 점령한 [[러시아 제국]]은 1864년 신장 지역에서 [[무슬림]] 봉기가 일어나 [[야쿱 벡]]의 [[알티샤르]] 칸국이 득세하고 [[좌종당]]이 토벌하는 틈을 타서 1871년 [[카자흐인]]들이 많던 일리 지역을 [[둥간족|돈칸]] [[먹튀|반란로부터 지켜주겠다는 구실로 정복하고 신강을 재정복한 청나라가 반환을 요구하자 거절하였다.]] 당시 [[일본 제국]]이 [[대만]]을 침공하고 있었기 때문에 해방파 [[이홍장]]은 신강포기론을 제기했으나 좌종당을 비롯한 새방파가 신강회복을 주장하여 신강을 토벌한 뒤에 청조는 러시아로부터 이리반환을 요구하기 위하여 1879년 [[도찰원]] 좌도어사 숭후를 전권대사로 러시아에 파견하였다. 8개월간 협상을 한 숭후는 [[호구|리바디아에서 이리를 반환받았지만 호르고스강과 테케스강을 경계로 이리의 7/10은 러시아에게 양보하였으며 거액의 금액까지 러시아에 지불해야 했다.]] 청 조정은 체결불가를 명하였지만 숭후는 [[사망 플래그|그의 전권으로 1879년 리바디아 조약에 조인하였다.]][* [[야사]]에 의하면 숭후는 빨리 돌아가지 않으면 자신이 처형된다는 예언을 맹신하여 협상을 대충 마무리지었다고 한다.] 격노한 청 조정에서는 [[자기실현적 예언|숭후의 처형을 결정하고]](...) 영토할양은 불가하다는 원칙을 확정하고 러시아측에 재협상을 요구하여 양국간에 긴장이 고조되어 전쟁이 임박한 듯 보였으나 1881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을 통해 영토할양의 범위가 대폭 축소되어 이리 전지역이 청조에 회수되고 단지 청조에 귀속하기를 원치 않았던 회교도들이 거주하고 있는 서부의 일부 마을만이 제외되어 '''[[한반도]]'''만큼 [[크고 아름다운]] 영토를 공식적으로 할양받았다. 이 지역의 영유권을 확정하면서, 결국 러시아, [[소련]]을 거쳐 현재는 일리 강 유역의 절반은 [[투르키스탄]] 카자흐스탄의 지역이 되었다. == 주요 도시 == * [[쿨자시]] [[분류:국제하천]][[분류:카자흐스탄의 강]][[분류:중국의 강]][[분류:신장 위구르 자치구]][[분류:아시아의 지명]][[분류:중가리아]][[분류:중국-카자흐스탄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