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日省錄 == [include(틀:한국의 전근대 역사서)] [include(틀:대한민국의 국보)] [include(틀:대한민국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3> '''[[유네스코|{{{#ffffff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ffffff 세계기록유산}}}]]''' || ||<-3> [[파일: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로고.svg]] || ||<|3> '''이름''' || '''한국어''' ||일성록(日省錄) || || '''영어''' ||Ilseongnok: Records of Daily Reflections || || '''프랑스어''' ||Ilseongnok: Recueil de pensées quotidiennes || ||<-2> '''국가·위치''' ||[[대한민국]] [[서울]] || ||<-2> '''소장·관리''' ||[[서울대학교 규장각]] || ||<-2> '''등재 유형''' ||기록유산 || ||<-2> '''등재 연도''' ||[[2011년]] || ||<-2> '''제작 시기''' ||1752년 ~ 1910년 || ||<-2>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국보|{{{#f39100 대한민국 국보 제153호}}}]]''' || ||<-2> {{{#fff {{{+1 '''일성록'''}}}[br]{{{-1 日省錄}}}}}}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103동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신림동,서울대학교) || || '''{{{#fff 분류}}}''' ||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 등록류 || || '''{{{#fff 수량/면적}}}''' || 2329책 || || '''{{{#fff 지정연도}}}''' || 1973년 12월 31일 || || '''{{{#fff 제작시기}}}''' || [[조선시대]] 후기(1760∼1910) || [[파일:일성록.png|width=600&align=center]]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jtDAEekhF_I, start=61)]}}}|| === 개요 === [[조선]] 왕조 시기 만들어진 왕의 [[일기]]. 1760년([[영조]] 36년) 당시 [[왕세손]]이었던 [[정조(조선)|정조]]가 처음 시작하여 1910년([[순종(대한제국)|융희 4년]])까지 약 151년간 저술되었다. 총 2329책. [[대한민국의 국보|국보 제 153호]]이며, 2011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었다. === 내용 === 정조는 어린 시절 [[논어]] 학이편에 나오는 [[증자(인물)|증자]](曾子)의 一日三省(일일삼성) 혹은 三省吾身(삼성오신), 즉 "나는 매일 세 번 스스로를 반성한다(吾日三省吾身)"는 말에 큰 감명을 받아 자신을 반성하는 자료로 삼기 위하여 매일 일기를 썼다. 이것이 존현각일기(尊賢閣日記)로, 이후 정조가 왕이 된 후 개인 일기에서 국정 일기로 성격이 변화하면서 존현각일기는 일성록이 되어 조선의 공식 국가 기록으로 편입되었다. 1827년(순조 27년) 유본예(柳本藝)[* [[발해고]]를 지은 실학자 [[유득공]]의 둘째 아들.]가 일성록범례(日省錄凡例)를 만들어 일성록의 내용을 크게 천문류(天文類), 제향류(祭享類), 임어소견류(臨御召見類), 반사은전류(頒賜恩典類), 제배체해류(除拜遞解類), 소차류(疏箚類), 계사류(啓辭類), 초기서계별단류(草記書啓別單類), 장계류(狀啓類), 과시류(科試類), 형옥류(刑獄類) 등으로 분류하였다. [[승정원일기]]에는 실리지 않은 예조의 의주(儀注), 관찰사의 장계, 환급(還給)한 상소, 의금부와 형조의 죄수에 대한 심문 기록인 수공안(囚供案) 및 살옥안(殺獄案), [[격쟁]] 등의 상언(上言), 사대와 교린의 외교 문서, 암행어사나 사신의 별단(別單)과 같은 자료들이 많이 실려 있다. 또한 하루 하루 매일의 일을 바로 기록한 것이므로, 사초를 기초로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편찬자나 집권 세력의 입장에 따라 상당한 정도의 취사선택과 첨삭이 이루어졌던 [[조선왕조실록]]에 비하여 더욱 근본적인 사료로 통한다. 또한 같은 일록 형식의 승정원일기에 비해 내용이 요점 중심으로 정리되고 기사마다 표제가 붙어 있어 이용하기에 편리할 뿐만 아니라 승정원일기에 수록되지 않은 자료들도 많이 실렸다. 특히 고종 순종 실록은 국권을 빼앗긴 뒤 일본제국의 조선총독부 주도 하에 편찬되었기 때문에 [[검열|일제에 의해 불리한 내용은 누락되거나 왜곡되어]] 공식 실록에서 제외되었고, 사실 세도정치 이후 순조시대 당시부터 철종시대까지의 실록의 질적 양적 기록이 대폭 저하 및 누락되었기 때문에 수많은 신하들이 확인하고 왕이 직접 참여, 매일 관리했던 일성록 승정원 일기와 더불어 조선 후기 역사를 알아보는 사료로서 가치가 매우 높다.[* 고종이 1881년 개화승 [[이동인]]을 시켜 군함과 서양 총기를 수입하려 했다는 기록도 일성록에서 발견된 내용이다.] 정조 676책, 순조 637책, 헌종 199책, 철종 220책, 고종 562책, 순종 33책으로 이루어졌고, 1827년(순조 27년)부터 1830년까지 [[효명세자]]가 [[대리청정]]할 때의 3년간의 일기는 일성록이 아닌 세자의 국정 처리 내용을 담는 익종대청시일록(翼宗代聽時日錄)에 따로 기록했다. 일성록은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와 함께 조선 왕조 3대 [[연대기]]로 꼽힌다. 여기에 [[비변사등록]]을 더해 조선 4대 사서(史書)로도 불린다. === 기타 === * [[일득록]]과 비슷해보이지만 다른 책이다. * 세자들의 일기는 [[동궁일기]] 문서로. *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사이트에 원문이 등록되어 있다.[[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 * 현재 영조 시대부터 정조 시대까지 번역본은 [[https://db.itkc.or.kr/dir/item?itemId=IT#/dir/list?itemId=IT&gubun=book|한국고전종합DB]]에서 볼 수 있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일성록 정조.jpg|width=100%]]}}}|| || 총 185책으로 번역된 정조시대 일성록 번역본 중 55책까지의 모습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정조대 일성록.jpg|width=100%]]}}}|| 2015년 12월 3일, 총 2천329책 중 정조가 쓴 부분에 해당되는 677책이 번역 완료되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8029203|##]] 전체 완역에는 21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 외부 링크 === * [[https://ko.wikipedia.org/wiki/일성록|한국어 위키백과 : 일성록]]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37181&cid=46622&categoryId=46622|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일성록]]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19205&cid=62047&categoryId=62047|한국고중세사사전 : 일성록]]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979682&cid=62349&categoryId=62598|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 『일성록』]]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36702&cid=40942&categoryId=34709|두산백과 : 일성록]]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1,01530000,11&pageNo=5_1_1_0|문화재청 홈페이지 : 일성록 (日省錄)]] >1760년(영조 36) 1월부터 1910년(융희 4) 8월까지 조선후기 151년간의 국정에 관한 제반 사항들이 기록되어 있는 일기체의 연대기이다. > >『일성록』의 모태가 된 것은 정조(正祖)는 세손(世孫) 시절부터 직접 자신의 언행과 학문을 기록한 일기인 『존현각일기』였다. 정조는 『논어(論語)』에서 증자(曾子)가 말한 “나는 날마다 세 가지 기준을 가지고 스스로에 대해 반성한다”에 깊은 감명을 받아 일찍부터 자신을 반성하는 자료로 삼기 위해 일기를 작성하였다. > >1776년 즉위 후에도 직접 일기를 작성하던 정조는 직접 처결할 국정 업무가 점차 늘어나 일기 작성이 어려워지자 1783년(정조 7)부터 규장각 관원들이 시정(施政)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일기를 작성하고, 작성된 일기를 5일마다 왕에게 올려 재가를 받도록 하였다. 이로써 『일성록』은 국왕의 개인 일기에서 공식적인 국정 일기로 전환되었다. > >『일성록』이 현재와 같은 체재를 갖춘 것은 1785년(정조 9)경이다. 정조는 규장각에 명하여 자신이 탄생한 후부터 『존현각일기』에 이르기까지 기간의 일기 및 자신이 즉위한 이후에 기록된 『승정원일기』등을 기본 자료로 하여 일목요연한 체재를 갖춘 일기를 편찬하도록 명하였고, 책의 제목은 ‘일성록(日省錄)’으로 하였다. 그 결과 1760년(영조 36) 1월부터의 일기가 일정한 체제에 맞추어 정리되었다. > >『일성록』은 『조선왕조실록』·『승정원일기』·『비변사등록』과 함께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관찬 연대기라는 점, 다른 연대기에는 수록되어 있지 않은 정치적 사건이나 사회 상황 등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크다. 2011년 5월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 의의 ==== 일성록은 세계기록유산임과 동시에 국보 제153호로 지정되어 있다. 일성록은 조선왕조 시기 만들어진 왕의 일기로, 1760년(영조 36년) 당시 왕세손이었던 정조가 처음 시작하여 1910년(융희 4년)까지 약 151년간 총 2329책의 분량으로 저술되었다. 일성록은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비변사등록과 함께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관찬 연대기라는 점과 다른 연대기에는 수록되어 있지 않은 당시의 정치적 사건이나 사회 상황, 동서양의 정치 및 문화교류 등이 상세히 수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크다. == 日星錄 == 조선 말 [[최익현]]이 [[위정척사파]]의 확고한 입장과 강경책에 대해 모아놓은 글을 조우식이 엮은 책. 총 5권 2책.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7182&cid=46649&categoryId=46649|기타 자세한 내용(네이버 지식백과)]] [[분류:대한민국의 세계기록유산]][[분류:한국의 역사책]][[분류:대한민국의 국보]][[분류:조선의 일기]][[분류:규장각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