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도로에서의 입체 교차, rd1=입체교차로)] [목차] == 개요 == [youtube(yeTnAF2xIOw)] 입체교차([[立]][[體]][[交]][[叉]], grade-separation)는 열차의 충돌이나 진로 방해를 방지하기 위해 두 개의 철도 노선이 입체적으로 교차하는 방식을 말한다. 통행량이 많지 않은 곳에서는 굳이 돈을 더 들여가면서까지 입체 교차를 만들 필요 없이 [[평면교차]]로도 충분하지만, [[구로역]] 같이 각 방면 열차들로 북적대는 곳에 평면교차를 했다간 온종일 [[병목현상]]으로 몸살을 앓을 것이다. 이외에도 두 노선의 통행 방식이 서로 달라 중간에 [[꽈배기굴]]을 만드는 경우[* [[수도권 전철 4호선]]의 [[남태령역]] ~ [[선바위역]]이 그 예시.]나 복복선에서 선로별 복복선과 방향별 복복선 사이의 전환을 위하여[* [[철도의 선로 구성 방식]] 문서 참고.] 입체 교차를 짓는다. == 예시 == === 전철 === * [[수도권 전철 1호선]] [[구로역]] ~ [[구일역]], [[가산디지털단지역]] ||<:> [[파일:attachment/jiulao_peixiantu_big.gif|width=100%]] || 2019년 12월 30일부터 경부선 급행은 위 그림의 완행 승강장을 사용한다. [[구로역]] 인근의 입체 교차.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구로역]] ~ [[구일역]], [[가산디지털단지역]]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입체 교차이다. [[경부선]]과 [[경인선]] 완행, 급행선이 교각을 통해 입체교차한다. 한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철도 입체교차이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동묘앞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설동역]][* 통행방식의 문제로 [[꽈배기굴]]이 형성되어 있다. [[신설동역#s-4|신설동역]] 문서 참고.] * [[수도권 전철 1호선]], [[병점기지선]] [[병점역]]: 1호선 경부선 계통 배차간격을 줄인 일등공신이다.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도림역]] : 지선이 본선 아래를 터널로 입체 교차한다. *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역]] : 지선이 본선 아래를 교각 아래로 입체 교차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금정역]] : [[안산선]]이 1호선 위를 [[산본역]] 방향으로, [[과천선]]이 1호선 아래를 [[범계역]] 방향으로 입체 교차한다. * [[천안직결선]] : [[경부선]](정확히는 경부2선) [[두정역]]에서 [[장항선]] [[천안역]]을 서로 연결한다. * [[수도권 전철 4호선]] [[남태령역]]~[[선바위역]] : 열차의 통행방식과 전력공급방식을 바꾸기위해 입체교차하면서 '''절연구간'''[* [[꽈배기굴/과천선|꽈배기굴]]이라고 부른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이 생겼다. * [[수도권 전철 5호선]] [[강동역]] : [[마천지선]]이 본선 아래를 터널로 입체 교차한다. *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한대앞역]]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수인·분당선]]이 [[안산선]] 아래를 [[사리역]] 방향으로 입체교차한다. 안산선을 지을 때 한대앞역과 [[상록수역]] 사이에 입체교차를 위한 박스 구조물을 미리 만들어놓았지만, [[IMF 외환위기]]로 인해 공사가 전혀 진척되지 않아 30여년간 애물단지가 되었으나, 2020년 수인선 3차 오이도~수원 구간이 완공되어 입체교차가 이루어졌다. * [[야마노테선]]과 [[케이힌토호쿠선]] [[타카나와게이트웨이역]]에서 [[타마치역(도쿄)|타마치역]]구간 : 야마노테선과 케이힌토호쿠선이 [[철도역 승강장의 유형 #s-3.2.1.1|선로별 복복선]]에서 [[철도역 승강장의 유형 #s-3.2.1.2|방향별 복복선]]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케이힌토호쿠선의 북행[* [[오미야역(사이타마)|오미야]]방면을 말한다. 왜 상.하행이 아니라 북.남행인지는 [[케이힌토호쿠선 #s-4|당사자]]의 입장을 들어보자.]선이 야마노테선의 두 선로 위로 입체교차한다. [[https://youtu.be/B3wrXWD0WQ8?t=49m22s]]참조. === 일반철도 === * [[미전선]] : [[경부선]] [[미전신호소]]와 [[경전선]] [[낙동강역]]을 연결한다. [[창원시|창원]], [[마산회원구|마산]], [[진주시|진주]]에서 [[서울역|서울]]로 가는 열차는 모두 이 노선을 경유하는 중요한 노선이다. * [[경의선]] [[강매역]] ~ [[화전역]] 구간: 경의선이 [[방향별 복복선]]에서 [[선로별 복복선]]으로 전환되는 시설이 입체교차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 더해 [[행신역]]에서 출발하는 [[KTX]]까지 있어서 다소 복잡한 편이다. * [[수색연결선]]: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에서 경의선으로 합류하는 연결선이 경의선 선로들 사이로 올라온다. *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의 [[오송역]] * [[경부고속선]] [[경주역]] : [[동해선]]과 [[경부고속선]]의 삼각 입체교차가 이루어진다. 경부고속선 동대구 - 신경주 사이에서 동해선 포항 방면으로 합류하는 입체교차, 동해선이 신경주역을 경유한 뒤 다시 포항역으로 가는 입체교차. * [[용산선]] [[효창공원앞역]] ~ [[용산역]] : [[경부선]] 위를 고가로 가로지른다. 34.5퍼밀의 급[[구배]]는 덤. * 경부선 [[서울역]] ~ [[경원선]] [[용산역]] : 경원선과 경부선을 잇는 선로로 위의 용산선 고가 옆으로 지나가 경원선 쪽 용산역과 만난다. 이런 --시대를 앞서간-- 설계 덕분에 [[강릉선 KTX]]가 서울역으로 진입이 가능하다. 서울역 쪽 기준에서 고가 진입시에는 단선으로 진입하지만 고가 초반부터 복선이 되는데 이중 오른쪽 선로(경원2선)는 강릉선 KTX용, 왼쪽 선로(경원1선)는 [[ITX 청춘]]열차와 [[경의중앙선]] 열차의 [[인상선]]으로 쓰인다. * [[호남선]]과 [[전라선]] [[익산역]] 남쪽 구간: 익산역 남쪽에는 전라선과 호남선이 서로 입체하여 분기하는데 1990년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입체교차가 아닌 [[평면교차]]로 해서 호남선과 전라선이 분기되었다. * [[충북선]] [[봉양역]]: 중앙선 [[서원주역|서원주]] ~ [[제천역|제천]] 구간 복선전철화 공사를 하면서 충북선이 중앙선과 입체교차하도록 같이 공사했다. * [[태백선]] [[제천역]] ~ [[입석리역]]: 해당 구간을 이설하는 과정에서 태백선이 중앙선과 입체교차하도록 시공되었다. * [[경부선]], 호남선의 [[대전조차장역]] == 여담 == *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과거 ~~어거지로라도~~ 평면교차를 통해 용산~왕십리~성북행[* 현재의 [[광운대역]]] 열차를 [[회기역]]에서 처리하다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개통하면서 아예 용산~왕십리~회기쪽 노선을 중앙선으로 분리개통한 것은 회기역에 입체교차 시설을 만들만한 자리가 없었기 때문이다. == 관련 문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평면교차)] [[분류: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