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시적 넘겨주기, other1=해당 인물의 최근 활약상, rd1=자말 무시알라/클럽 경력)] [include(틀:FC 바이에른 뮌헨/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82828 0%, #333333 20%, #333333 80%, #282828)" {{{#e0c9a5 '''자말 무시알라의 수상 이력'''}}}}}}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틀:FC 바이에른 뮌헨 올해의 선수(2020년대)|[[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height=4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dd0129; font-size: 0.9em" [[틀:FC 바이에른 뮌헨 올해의 선수(2020년대)|{{{#ffffff '''2022-23 바이에른 올해의 선수'''}}}]]}}}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Kicker 올해의 팀|[[파일:Kicker 로고.svg|height=4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0.9em" [[Kicker 올해의 팀|{{{#ffffff '''Kicker 올해의 팀'''}}}]]}}} ||<-3>[[틀:2021-22 Kicker 올해의 팀|2021-22]] · [[틀:2022-23 Kicker 올해의 팀|2022-23]] || || [[틀:2022-23 VDV 올해의 팀|[[파일:VDV로고.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5aaa; font-size: 0.9em;" [[틀:2022-23 VDV 올해의 팀|{{{#ffffff '''2022-23 VDV 11'''}}}]]}}} || || || || ---- ||<-3> '''{{{#white,#191919 2021 Trophée Kopa}}}''' || || 수상 [br] [[페드리]] || 2위 [br] [[주드 벨링엄]] || 3위 [br] '''자말 무시알라''' || ||<-3> '''{{{#white,#191919 2022 Trophée Kopa}}}''' || || 수상 [br] [[가비(2004)|가비]] || 2위 [br] [[에두아르도 카마빙가]] || 3위 [br] '''자말 무시알라''' || ||<-3> '''{{{#white 2023 Kopa Trophy }}}''' || || 수상[br][[주드 벨링엄]] || 2위[br]'''자말 무시알라''' || 3위[br][[페드리]]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amal Musiala(23-24).png|width=100%]]}}} || ||<-3> '''{{{#fff FC 바이에른 뮌헨 No. 42}}}''' || ||<-3><#fff> '''{{{#dc052d {{{+1 자말 무시알라}}}[br]Jamal Musiala}}}''' || ||<-2><|2> {{{#fff '''출생'''}}} ||[[2003년]] [[2월 26일]] ([age(2003-02-26)]세) || ||{{{-2 [[바덴뷔르템베르크|바덴뷔르템베르크주]] [[슈투트가르트 현|슈투트가르트현]] [[슈투트가르트]]}}} || ||<-2> {{{#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include(틀:국기, 국명=잉글랜드)])[* 독일은 2000년생부터는 독일 출생이면서 부모 중 한 명이 독일 영주권자이거나, 영주권자가 아닌 경우 독일에서 8년 이상 비자를 받아 체류했다면 자녀가 독일 국적을 받을 수 있다. 다만 무시알라의 경우 어머니가 독일인에 독일 출생이기 때문에 선천적으로 독일 국적을 가진 케이스에 해당되며, 영국도 [[속인주의]]에 해당되기 때문에 아버지가 영국 국적이여서 [[잉글랜드]] 국적까지 동시에 보유한 경우. 무시알라의 경우 선천적으로 독일 국적을 보유한 것과 함께 [[유럽연합|EU]] 시민권자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기 때문에 복수국적이 인정된 케이스로 보이는데, [[트랜스퍼마크트]]에도 무시알라는 독일을 선택한 이후에도 복수국적으로 기록되어있다.] || ||<-2> {{{#fff '''신체'''[* [[https://fcbayern.com/en/teams/first-team/jamal-musiala|FC 바이에른 뮌헨 공식 프로필]]]}}} ||[[키(신체)|키]] 184cm / [[체중]] 72kg || ||<-2> {{{#fff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윙어]] || ||<-2> {{{#fff '''주발'''}}} ||오른발 || ||<|2> {{{#fff '''소속'''}}} || {{{#fff '''유스'''}}} ||TSV 레네르츠 (2008~2010)[br][[사우스햄튼 FC]] (2010~2011)[br][[첼시 FC]] (2011~2019)[br][[FC 바이에른 뮌헨]] (2019~2020) || || {{{#fff '''선수'''}}} ||[[FC 바이에른 뮌헨 II]] (2020)[br]'''[[FC 바이에른 뮌헨]] (2020~ )''' || ||<-2> {{{#fff '''국가대표'''}}} ||25경기 2골[* 2023년 10월 18일 기준]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 2021~ )^^ || ||<-2> {{{#fff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amalMusiala, 크기=28)]|[[https://www.instagram.com/jamalmusiala10/|[[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8]]]]|[[https://www.facebook.com/Jamal-Musiala-108727274757829|[[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8]]]] || ||<-3> '''정보 더 보기'''[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 {{{#fff '''등번호'''}}}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 14번[br][[FC 바이에른 뮌헨]] - '''42번'''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일]] 국적의 [[FC 바이에른 뮌헨]]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공격형 미드필더]]. 레네르츠, [[사우스햄튼 FC|사우스햄튼]], [[첼시 FC|첼시]]를 거쳐 [[FC 바이에른 뮌헨|바이에른 뮌헨]]에 입성했고 19-20 시즌 프로 무대에 데뷔하였다. 이후 서서히 출전시간을 늘려갔고, 22-23 시즌부터는 팀의 확고한 주전으로 자리잡았다. 간결하면서도 파괴적인 발기술[* 특히 고난이도 개인기인 [[라크로케타]]는 무시알라의 전매특허 개인기가 된 만큼 그 완성도가 높다.]을 보여주는 동시에 나이에 어울리지 않는 노련함을 겸비한 선수. == 선수 경력 == === [[/클럽 경력|클럽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자말 무시알라/클럽 경력)]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자말 무시알라/국가대표 경력)] == [[/플레이 스타일|플레이 스타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자말 무시알라/플레이 스타일)] == 기록 == === 대회 기록 === * [[FC 바이에른 뮌헨]] (2020~ ) * [[분데스리가]]: 2019-20, 2020-21, 2021-22, 2022-23 * [[DFL-슈퍼컵]]: 2020, 2021, 2022 * [[UEFA 챔피언스 리그]]: 2019-20 * [[UEFA 슈퍼컵]]: 2020 * [[FIFA 클럽 월드컵]]: 2020 === 개인 수상 === * [[골든보이]] 3위: 2021 * [[트로페 코파]] 2위: 2023; 3위: 2021, 2022 * [[분데스리가]] 올해의 팀: 2022-23 * 분데스리가 이달의 루키: 2021년 4월 * [[VDV 11]]: 2022-23 * [[Kicker 올해의 팀|키커 올해의 팀]]: 2021-22, 2022-23 * 독일 올해의 국가대표 선수: 2022 * IFFHS 월드 유스팀: 2021 * 바이에른 뮌헨 올해의 선수: 2022-23 === 무시알라에 대한 언사 === > '''무시알라는 발에 자석이 달린 것처럼 플레이한다'''. > ---- > [[율리안 나겔스만]] > '''모든 선수는 다르지만 무시알라는 정말 독특하다. 그가 움직이는 방식, 우아한 드리블을 보았을 때 나는 즉시 [[카카]]가 생각났다. 그가 그렇게 어린 나이에 여러 포지션에서 뛰어난 수준으로 뛰고 있다는 사실은 그의 재능을 보여준다. ''' > ---- > [[오언 하그리브스]] > '''나는 바이에른 뮌헨의 무시알라를 정말 좋아한다. 매우 훌륭한 재능이고 똑똑하며 결단력이 뛰어나다.''' > ---- > [[세스크 파브레가스]] > '''그는 특출하고 정말 특출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는 휼륭한 드리블러입니다. 그의 드리블은 믿을 수 없습니다.''' > ---- > [[마이클 오언]] == 여담 == * 아버지는 나이지리아계 영국인이고 어머니는 [[폴란드계 독일인]]이다. * 팀 내에서는 막내라인인 것과는 다르게 집에서는 첫째다. 밑으로 여동생과 남동생이 하나씩 있다. 특히 남동생과는 나이차이가 많이 난다. * [[독일어]]와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다중언어]] 구사자이다. SNS에서는 국제적으로 범용성이 더 큰 영어를 사용한다. * [[밤비]]라는 별명이 있다. 축구선수치고는 마른 몸으로 경기장을 뛰어 다니는 모습이 마치 [[사슴]] 같다는 뜻. 실제로 벌크업한 선수들이 많은 바이에른에서 호리호리한 모습을 보여주는 몇 안되는 선수다. 이 별명의 원조는 팀의 대선배인 [[토마스 뮐러]]였으나, 이젠 무시알라가 그 별명을 이어 받았다. --그런데 실제로 밤비랑 닮은 듯-- 라치오전이 끝난 후 트위터에 기억에 남을 밤이었다고 트윗을 남기자 팀동료인 [[르로이 사네]]가 축하해, 밤비라고 남기더니 이제는 모든 팀동료들이 밤비라고 부른다.[* 이 별명은 사네가 지어줬다고 한다. 정작 무시알라 본인은 좀 부끄러워 하는 별명이다.] * 런던에서 [[https://www.bild.de/sport/fussball/nationalmannschaft/jamal-musiala-koreanischer-kampfsport-macht-den-bayern-star-so-stark-77584290.bild.html|학교를 다니던 시절 [[합기도]]를 배운적이 있다고 한다.]][* 기사내에서 정확히 '''koreanische Kampfsportart Hapkido'''라고 언급이 되어있다.] * 고등학교를 다니고 있고 부지런한 학생이라고 한다. 무시알라는 과거에 런던 휘트기프트 사립학교에서 체육과 과학 과목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장학금까지 받았다고 한다.[[https://twitter.com/GabrielStachPL/status/1364949040505511936?s=20|출처]] * 밤비라는 별명, 우수한 성적이 증명하는 똑똑한 모습이 [[토마스 뮐러]]를 연상케 한다. 게다가 바이에른 유스에서 콜업된 선수라서 더더욱 뮐러가 연상되는지라 바이에른 팬들은 무시알라에게 큰 기대를 걸고 있다. * 위처럼 뮐러를 연상하게 하는 모습과 더불어 무시알라를 잘 챙겨주는 뮐러 때문인지 바이언 팬들 사이에서는 사실상 유사 부자관계로 둘을 보고 있다. * 아직 면허를 딸 나이가 안돼서 운전면허가 없어 항상 어머니가 구장이나 훈련장으로 데려다 준다고 한다. 참고로 독일의 운전면허 시험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유명하다. 2023년 4월, 드디어 면허를 땄는지 혼자 운전하는 모습이 찍혔다. * [[첼시 FC]] 출신이라 그런지 첼시 유스 출신 선수들과 친한 모습이다. 특히 [[칼럼 허드슨오도이]]와는 절친으로 보인다. 에이전트가 허드슨오도이의 형이다. 자신의 동생이 첼시에서 자리를 못 잡을까봐 무시알라를 바이에른 유스 팀으로 이적시켰는데 결과적으로 바이에른과 무시알라 모두에게 큰 이득이 되었다.[* 이 때문인지 무시알라가 큰 활약을 했다는 얘기만 나오면 첼시 팬들은 형도이를 얘기하면서 이를 간다. 형도이가 보낸 무시알라는 뮌헨에서 뛰어난 활약을 하고 있는데 정작 오도이는 첼시에서 부진하고 있으니...] 다만 이 이야기 외에도 숨은 비화가 있는데, 당시 [[독일 축구 연맹]]에서도 만 14세의 무시알라의 재능을 높게 평가해서 이 시기부터 적극적으로 독일 대표팀에 편입시키려는 목적으로 선수와 가족들을 설득했었고, 이 설득에 응한 무시알라와 가족들이 모두 독일 축구 연맹의 시스템에 빨리 적응하는 것을 원해서 때마침 적극적으로 구애를 한 바이언에 합류하는 형식으로 귀국을 결정했었다고 한다.[* 다만 이 당시 가족들이 모두 독일로의 귀국을 결정하게 된 또다른 이유가 있었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바로 [[브렉시트]]였다고 한다. 브렉시트의 여파로 무시알라의 부모가 영국 취업비자를 갱신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기 때문인데, FIFA의 유소년 규정상 이 당시 무시알라의 어머니가 축구와는 무관한 경제적인 문제로 독일로의 귀국을 결정한 것에 해당되었기 때문에 무시알라는 FIFA의 유소년 보호 규정의 적용을 받지 않고 만 16세에 이적을 할 수 있었다. 부모가 축구와 무관한 사유로 해당 국가로 이주했을 경우./선수의 나이가 16~18세일 때 이적이 유럽 연합 내에서 이루어질 경우 혹은 선수의 거주지가 해당 클럽의 국경선으로부터 50km 내에 있을 때./선수가 속한 국가의 축구 협회가 해당 클럽의 국가 국경선으로부터 50km 내에 있는 경우. 이 세 가지 중 하나라도 조건을 충족할 때에만 FIFA의 유소년 규정의 적용을 받지 않는데, 당시 만 16세였던 무시알라는 이 세 가지 중 두 번째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사유에 모두 해당되었던 경우였기 때문이다. 참고로 이 당시의 무시알라는 만 18세가 지나기 전이기 때문에, 거취 결정권을 무시알라의 대리인 자격으로 부모님이 가지고 있기도 했다.] 어찌됐든 이후 코밤 최고의 재능이라던 허드슨오도이는 장기부상으로 성장이 정체되면서 23-24 시즌에 헐값에 팔려나갔고 지예흐, 풀리식 같은 즉전감, 미하일로 무드리크 같이 거액에 구매한 유망주도 실패에 가까워지는 와중에 뮌헨 2선에서 폭발적인 활약을 보여주고 있는 무시알라를 보고 있는 첼시 팬들 입장에선 그야말로 배가 아파 미칠 노릇. * 앞서 서술한 국적 변경때문에 종종 잉글랜드인들에게 비아냥을 듣기도 한다.[* 이런 글도 보인다. "클럽 이적? 안돼. 국적 변경? 당연히 해야지!"] 사실 잉글랜드는 유소년도 잉글랜드에서 뛴 미래 최고 유망주 미드필더를 얻을뻔 했다가 정작 라이벌인 독일한테 빼앗긴거니 배가 아플수밖에 없다.[* 이런 잉글랜드인의 반응들이 독일에서도 꽤 유명한듯 하다. [[토마스 뮐러]]는 ‘우리가 무시알라를 뺏어갔다고? 내가 알기로는 걔한테 잉글랜드인의 유전자는 없어!’ 라고 말한 적도 있다.] * 잉글랜드 연령별 대표팀을 뛰던 시절부터 [[주드 벨링엄]]과 친하다. 이후 무시알라는 독일 대표팀을 선택하면서 둘이 같은 잉글랜드 유니폼을 입고 뛰는 모습을 볼 수는 없다. 데어 클라시커나 대표팀 경기가 끝나면 둘이 인사하면서 얘기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첼시 유스와 잉글랜드 연령별 대표팀에서 같이 뛰던 [[리바이 콜윌]]과도 친하다. 서로를 응원하는 댓글을 인스타그램에 달아주고 있다.[* 공교롭게도 둘은 2003년 2월 26일, 같은 날에 태어났다.] * 19-20 시즌 도중 코로나로 인해 시즌이 중단되었을 시기에 굉장한 벌크업을 한 [[레온 고레츠카]]에게 벌크업과 관련된 조언을 받고있다고 한다. 고레츠카가 대놓고 무시알라를 벌크업 시키겠다고 말한 인터뷰도 있다. * 예전 바이에른 소속이였던 [[정우영(1999년생 축구선수)|정우영]]과는 서로 인스타그램 댓글을 주고 받을 정도로 친한 사이다. 정우영의 [[FC 바이에른 뮌헨 II]] 임대 시절에 동료로 뛰며 친분을 쌓은 것으로 보인다. * 분데스리가 21-22 시즌 18라운드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전에서 본인 이름 대신 [[코랑탱 톨리소]]의 이름이 마킹된 유니폼을 입고 경기를 뛰었다. 아마 톨리소의 등번호 24번과 무시알라의 등번호 42번을 혼동하여 발생한 일로 추측된다.[* 이에 나겔스만 감독 왈: "마킹하시는 분이 톨리소 팬이신가 보지..."] * [[파울 바너]]가 1군 계약을 하기 전까진 뮌헨 1군 스쿼드에서 제일 어린 선수 중 하나였다. 그래서 그런지 형들에게 예쁨 받는 막내의 모습을 자주 보여준다. 그리고 막내 전담 업무인 훈련중 공 셔틀(..)도 했었다. 주장인 [[마누엘 노이어]]보다 17살이나 어리다. * 바이에른 뮌헨 팀원인 [[알폰소 데이비스]]와 매우 친하다. 2022년 들어 더욱 친해진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세리머니를 같이 하고, 두 선수 모두 농구를 좋아하여 농구를 보러가는 등 매우 친한 듯 하다.[* 2022년 발롱도르 시상식에서 무시알라가 코파 트로피를 받지 못하자 폰지가 SNS에 “코파 트로피는 못 받았지만 넌 미래에 발롱도르를 받을거야”라는 응원의 메세지를 남겼다.] 둘만 다니는 것은 아니고 같은 캄푸스 출신인 [[요시프 스타니시치]]를 포함해서 셋이 다닐때도 있다. * 이러한 재능으로 인해 양 국가에서도 무시알라가 어느 대표팀을 선택할지 큰 관심을 모았는데, 성씨도 어머니의 성씨를 따랐을 정도로 모계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인지 최종적으로는 어머니의 나라인 독일 국적을 선택했다. 실제로 독일로 귀국을 결정한 것도 어머니의 영향을 크게 받았을 정도로 어머니의 나라를 위해 뛰고 싶은 마음이 강했던 것으로 보인다. === [[골 세리머니|셀리브레이션]] === [[중지]]와 [[넷째 손가락|약지]]를 꼬는 특이한 세리머니를 한다.[* 한번에 꼬진 못해서 항상 반대쪽 손으로 꼰다.] 이 세리머니는 무시알라의 첫글자 ''''M'''' 모양을 만든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가끔씩 다른 세레모니도 보여주지만 뭔가 어설프다.--귀여워--[* 그게 매력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다.~~[[토마스 뮐러|어?]]~~][* 한번은 세레머니 하는걸 잊어버렸는데 폰지가 세레머니 하라고 알려주자 그제서야 세레머니를 하기도 했다.] 22-23 시즌부터는 [[알폰소 데이비스]]와 맞춘 듯한 세레머니를 선보이고 있는데 꽤 귀엽다. === [[플로리안 비르츠]]와의 라이벌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irtz-musiala-web.jpg|width=100%]]}}}|| '''[[바이어 04 레버쿠젠]]의 [[플로리안 비르츠]]'''와 여러 부분에서 비슷한 점을 나타내며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우선 두 선수 모두 '''2003년생'''이며, 전차군단 유망주들 중에서도 가장 뛰어난 활약을 펼쳐보이며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두 선수의 주포지션 또한 공격형 미드필더 혹은 그 근처 포지션이고, 두 선수 모두 공격형 미드필더 외에 윙어 포지션 또한 소화 가능하다. 다만 세부적인 각 선수의 강점 및 스타일로 볼때 무시알라는 뛰어난 온더볼 능력과 속도, 그리고 특유의 기술로 주로 활약하는 드리블러에 가깝고 비르츠는 간결한 드리블 돌파와 정확한 패스 능력, 정교한 마무리를 통해 경기를 풀어가는 플레이메이커 성향을 가진 선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usiwirtz.jpg|width=100%]]}}} || 그렇다면 장기적으로 이들은 어떻게 '''공존'''할 수 있을까? 최근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국가대표팀]] 경기에서 플릭 감독은 무시알라를 왼쪽 측면, 비르츠를 중앙에 위치 시키고 있다. 특히 한국시간 2021년 9월 6일에 펼쳐진 아르메니아와의 경기에서는 후반 60분 쯤에 둘의 시너지를 확인할 수 있는 장면이 나왔다. 무시알라가 센스 있는 터치로 압박을 벗겨낸 뒤 상대 수비수를 끌어낸 그 뒷공간으로 비르츠가 침투 움직임을 가져가며 아데예미의 골의 출발점이 되었다. 이번 시즌 각 소속팀에서 굉장히 좋은 활약을 펼치고 있어 두 선수의 가치가 폭등하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두 선수는 나란히 [[골든보이|2021 골든보이]] 최종 20명에 당당히 이름을 올렸다. 이 명단에는 독일의 또 다른 신성 [[카림 아데예미]]도 포함되어 있다. === [[주드 벨링엄]]과의 라이벌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ude-bellingham-and-jamal-musiala-oct-2022.jpg|width=100%]]}}} || 분데스리가를 대표하는 선수로 성장한 동갑내기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주드 벨링엄]]'''과도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플로리안 비르츠]]와 마찬가지로 벨링엄 또한 '''2003년생'''으로 잉글랜드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무시알라와는 어릴적부터 친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잉글랜드 연령별 대표팀도 함께 거치며 같이 성장하였다. 이후 벨링엄은 2020년에 도르트문트로 넘어와 곧바로 주전으로 자리잡아 활약하기 시작하였고, 무시알라 또한 독일에 완전히 정착하여 뮌헨에서 커리어를 시작하며 두 라이벌 구도가 형성되었다.[* 다만, 주드 벨링엄이 근래에 들어 뛰어난 활약상으로 레알 마드리드로 이적함에 따라 분데스리가에서는 이 라이벌 구도를 볼 수 없게 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g jjjjjua.jpg|width=100%]]}}} || 벨링엄은 무시알라보다 한 타이밍 빨리 도르트문트 중원에서 없어서는 안될 핵심 선수로 자리를 잡았고, 이후 22-23 시즌 들어서는 무시알라도 바이에른 뮌헨을 대표하는 선수로 성장하며 두 선수의 엄청난 성장세를 지켜보는 것이 분데스리가를 보는 한 재미요소가 되었다. 22-23 시즌 중 펼쳐진 월드컵에서도 무시알라는 독일, 벨링엄은 잉글랜드을 대표하여 나란히 활약하였다. 2023년 여름 이적시장을 통해 벨링엄이 [[레알 마드리드 CF]]로 이적하면서 유럽 대항전과 국가대표 경기가 아니면 마주칠 일이 없게 되었다.[* 그러나 종종 인스타 사진에 하트를 누르거나 인터뷰를 통해 서로를 응원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2023년 벨링엄이 코파 트로피를 타게 되면서 자말 무시알라가 보내는 영상편지가 화제가 되었다. >'''안녕 주드, 다가오는 경기때문에 오늘 밤 파리에 가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너의 업적을 축하하고 싶었어. 너는 충분히 받을 만해. 얼마 전까지만 해도 우리는 잉글랜드에서 룸메이트였는데 지금은 너는 레알마드리드, 나는 바이에른 뮌헨에서 뛰고 있네. 생각해보면 정말 신기한 것 같아. 곧 다시 만나기를 바라며 즐거운 저녁보내.''' >---- >벨링엄에게 축하의 말을 전하는 '''[[자말 무시알라]]''' >'''자말은 정말 멋진 친구에요. 그가 축하를 보내주고 행운을 빌어줘서 정말 기쁩니다. 그리고 저도 자말에게 항상 행운이 함께하길 바라요. 제가 그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또 얼마나 존경하는지 그도 알고 있을거에요. 잉글랜드에서 룸메이트로 지낸 지 시간이 조금 지났지만 그가 제 축구 인생에서 가장 친한 친구 중 한 명이라서 정말 자랑스러워요. 저는 항상 자말과 소통하며 그가 어떻게 지내고 있는지 어떤 새로운 점이 생겼는지 알려고 노력해요. 무시알라는 정말 훌륭한 청년이자 훌륭한 선수입니다.''' >---- >무시알라의 축하에 대한 '''[[주드 벨링엄]]'''의 답 == 같이 보기 == [include(틀:FC 바이에른 뮌헨)] [include(틀: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include(틀:2021 골닷컴 선정 NXGN 유망주 50인)] [include(틀:2022 골닷컴 선정 NXGN 유망주 50인)] [각주] [[분류:자말 무시알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