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주 UN 북한 대사]] [[분류:주 영국 북한 대사]] [[분류:13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분류:1954년 출생]] [[분류:희귀성씨인 인물]] [[파일:다운로드파일_20231115_190200.jpg]] [목차] == 개요 == 북한의 외교관. == 생애 == 1954년 3월 28일에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제관계대학을 졸업했다고 한다. [[김정일]] 시대에 공개석상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2000년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 공사로 부임, 2005년 10월, 외무성 군축평화연구소 소장 대리를 맡다가 2007년 2월, [[리용호]]의 뒤를 이어 주영 북한대사로 부임하였다. 이후 아일랜드, 벨기에 대사 등을 겸임하였다. 2011년 주영 대사에서 해임되면서 아일랜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대사 등에서도 차례로 물러나게 되었다. 후임 주영대사로 2011년 12월, [[현학봉]]이 임명되었다. 이후 외무성 국장 겸 군축평화연구소장으로 일하다가 2014년 2월, [[신선호]]의 후임으로 유엔 대사에 임명되었다. 2014년 3월, 최고인민회의 13기 대의원에 선출되었으며 2016년, [[류경식당 종업원 집단탈북]] 당시에 [[안토니우 구테흐스]] 총장에게 서한을 보내서 개입을 요청하였다. 2018년 즈음에 해임되어 [[김성(북한)|김성]]에게 자리를 물려주었으며 이후 동정보도는 없다. 2019년 3월, 14기 최고인민회의에서도 재선되지 못했다. == 참고문헌 == * 통일부 정세분석국 정치군사분석과, 『2021 북한 주요인사 인물정보』(서울: 통일부,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