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철학]] 용어 == [[철학]]에서 "자연주의"란 크게 다음 두 가지 입장을 가리킨다. * '''[[방법론적 자연주의]]''': [[인식론]]적 입장 가운데 하나. [[자연]] 세계를 설명하는데 초자연적인 것을 끌어올 필요가 없다는 입장. 예를 들어 [[지적설계]]는 그 '[[신|설계자]]'가 초자연적인 것이라고 가정하는 한 방법론적 자연주의에서 어긋난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 '''철학적/존재론적 자연주의''': [[형이상학]]적 입장 가운데 하나. 자연 세계를 넘는 '''초자연적'''인 것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입장. [[자연과학]]이 자연 세계를 온전히 설명한다고 가정하는 한, 곧 '__자연 과학에서 말하는 것 외엔 아무 것도 없다__'는 논제로 이해될 수 있다. * [[신]]이 초자연적이라고 가정하는 한 [[무신론]]을 함축한다. * [[도덕]], [[미학|아름다움]] 등 또한 엄밀히 말해선 없거나, 최소한 자연적인 것으로 [[환원]]된다는 함축을 갖는다. * 일반적으로 '''[[유물론]]'''과 같거나 밀접한 관계를 갖는 형이상학적 입장으로 여겨진다. * [[자연주의의 오류]] * [[자연주의에 대한 진화론적 반론]] == 예술 용어 == 자연대상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는데 중점을 둔 예술 사조이다. == 문학 용어 == [include(틀:한국의 현대문학)] 自然主義 / naturalism 19세기 말 프랑스의 [[에밀 졸라]]를 중심으로 일어난 극단적인 [[사실주의]]의 한 갈래. [[낭만주의]]에 반발한 작가들이 많이 참여했다. 사실주의가 현실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면, 자연주의는 여기서 더 나아가 [[과학적 방법론]]에 따라 그 상황을 분석, 관찰, 실험, 검토한 객관적인 상황을 묘사하려 하였다. 우리나라에는 1920년대 사실주의와 자연주의가 혼용되어 들어왔으며, [[염상섭]]을 대표적인 자연주의 문학의 인물로 꼽는다. [[김동인]]이나 [[현진건]]의 작품 또한 자연주의 작품으로 본다. == 정치사상 용어 == [include(틀:생태주의)] 자연을 자연 그대로 두어야 한다는 사상 내지 자연에 대해 낭만적으로 숭상하는 생태 낭만주의의 일종으로 심층생태주의의 고전적 사상이다. 하단 이마트 자연주의 역시 해당 용어에서 가져왔다. == [[이마트]]의 [[이마트 자연주의|PB브랜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마트 자연주의)] == 관련 문서 == * [[생태주의]] * [[채식주의]]: 생식-채식주의, 과일주의처럼 자연 그대로의 식물을 가공처리 하지 않고 먹는 경우도 있고 환경적인 사유로 채식위주 식사를 하는 경우도 있다. * [[나체족]]: 나체족의 이념은 자연주의에서 나왔다. * [[조장(장례)|조장]]: 사람이 죽은 후 시체 처리를 자연 야생동물들에 맡긴다. [[분류:철학]][[분류:사상]][[분류:환경주의/분파]][[분류:리얼리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