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라이닝겐 후작부인 & 켄트와 스트래선 공작부인[br]{{{+1 마리 루이제 빅토리아 }}}[br]Prinzessin Victoire von Sachsen-Coburg-Saalfeld'''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Victoria_of_Saxe-Coburg-Saalfeld_-_Rothwell_1832.jpg|width=100%]]}}} || ||<|2> '''이름''' || 독일어 ||마리 루이제 빅토리아[br](Marie Louise Victoire)|| || 영어 ||메리 루이즈 빅토리아[br](Mary Louise Victoria)|| || '''출생''' ||<-2>[[1786년]] [[8월 17일]][br][[신성 로마 제국]] 작센코부르크잘펠트 코부르크|| || '''사망''' ||<-2>[[1861년]] [[3월 16일]] (향년 74세)[br][[영국]] 윈저 버크셔 프로그모어 하우스|| ||<|2> '''배우자''' ||<-2>제2대 라이닝겐 후작 에미히 카를[br],,(1803년 결혼 / 1814년 사망),,|| ||<-2>[[에드워드 어거스터스|켄트와 스트래선 공작 에드워드 왕자]][br],,(1818년 결혼 / 1820년 사망),,|| || '''자녀''' ||<-2>카를, 페오도라[* [[빌헬름 2세]]의 황후 [[아우구스테 빅토리아]]의 외조모이다. 따라서 페오도라는 [[콘스탄티노스 2세]], [[펠리페 6세]], [[칼 16세 구스타프]]의 모계 조상이 된다. 페오도라의 외손녀 아우구스테 빅토리아의 외손녀 [[프리데리케 루이제|프리데리케]]의 친아들이 콘스탄티노스 2세이고 외손자가 펠리페 6세이며, 페오도라의 또다른 외손녀 카롤리네 마틸데의 딸 빅토리아 아델하이트([[카를 에두아르트]]의 아내)의 외손자가 칼 16세 구스타프이기 때문.], [[빅토리아 여왕]]|| || '''아버지''' ||<-2>[[프란츠 폰 작센코부르크잘펠트|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 프란츠]]|| || '''어머니''' ||<-2>로이스에베르스도르프의 아우구스테 여백작|| || '''형제''' ||<-2>조피, 안토이네테, [[율리아네 헨리에테 울리케|율리아네]][* [[콘스탄틴 파블로비치 로마노프|콘스탄틴 대공]]([[파벨 1세]]의 차남)의 아내였지만 1820년에 이혼했다.], [[에른스트 1세]], 페르디난트[* [[포르투갈 왕국|포르투갈]] 국왕 [[페르난두 2세]]의 아버지이자, [[불가리아 왕국]]의 [[차르]] [[페르디난트 1세(불가리아)|페르디난트 1세]]의 할아버지이다.], [[레오폴드 1세]]|| || '''서명''' ||<-2>[[파일:Victoria_of_Saxe-Coburg-Saalfeld's_signature.svg.png|width=150]]|| [목차] [clearfix] == 개요 == 작센코부르크잘펠트의 공녀이자 [[영국]] [[빅토리아 여왕]]의 어머니. [[페르난두 2세]], [[에른스트 2세]], [[앨버트 공]], [[레오폴드 2세]], [[벨기에의 샤를로트|멕시코의 황후 카를로타]]의 고모이다. == 생애 == [[프란츠 폰 작센코부르크잘펠트|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 프란츠]]와 로이스에베르스도르프의 아우구스테 여백작의 3남 4녀 중 4녀로 태어났다. 오빠 [[에른스트 1세]]는 사위 [[앨버트 공]]의 아버지이고, 남동생 [[레오폴드 1세]]는 시조카 [[샬럿 어거스타]] 공주의 남편이자 [[벨기에]]의 초대 국왕이다. 1803년 이모부인[* 에미히 카를의 전처 헨리에테가 빅토리아의 이모이다. 전처 소생의 외아들 프리드리히는 요절했기에, 라이닝겐 후작 자리는 빅토리아 소생의 아들인 카를이 이어받있다.] 제 2대 라이닝겐 후작 에미히 카를과 결혼하여 1남 1녀를 낳는다. 1814년 남편이 사망한 후 어린 아들을 대신하여 섭정했다. 4년 뒤인 1818년 [[조지 3세]]의 4남 [[에드워드 어거스터스|켄트와 스트래선 공작 에드워드 왕자]]와 재혼한다. 결혼 직후 가진 아이가 바로 [[빅토리아 여왕]]인데, 당시 왕위를 계승하기 어려운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에드워드 왕자의 형 [[조지 4세]], [[윌리엄 4세]]의 후사가 없었기 때문에 차기 왕위 계승자가 되었다. 하지만 빅토리아 공주를 낳은 이후 남편 에드워드 왕자는 채 1년이 되기도 전에 사망한다. [[영국]]에서의 생활에 적응하지 못했던 빅토리아는 남편의 시종인 [[https://en.wikipedia.org/wiki/John_Conroy?wprov=sfla1|존 콘로이]] 경에게 의지하게 되고, 장차 여왕이 될 [[빅토리아 여왕|빅토리아 공주]]를 압박했다. 결국 빅토리아 공주는 어머니를 싫어하게 되었고, 1837년 왕위에 올랐을 때는 그 갈등이 극에 달해 있었다. 두 사람의 사이가 좋아지기 시작한 것은 [[빅토리아 여왕]]이 1840년 11월 21일에 첫 딸 [[빅토리아 애들레이드 메리 루이자|빅토리아 공주]]를 낳은 이후라고 한다. 한편 [[윌리엄 4세]]와도 관계가 나빴는데, 윌리엄은 마리 루이제 빅토리아가 너무 노골적으로 빅토리아 공주의 후견인을 자처하며 간섭하는 모습을 불편하게 여겼기 때문이다. 게다가 윌리엄 4세와 [[작센마이닝겐의 아델하이트|애들레이드 왕비]]는 빅토리아 공주를 친딸처럼 매우 아꼈는데, 마리 루이제는 빅토리아가 다른 왕족들과 만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 윌리엄 4세 부부와도 잘 만나게 하지 않았다. 결국 윌리엄의 생일 만찬 때 이 반감이 폭발해서 윌리엄 4세는 "나는 빅토리아 공주가 성인이 될 때까지 살 테니까 당신들(빅토리아와 존 콘로이)은 [[섭정]] 따위는 꿈도 꾸지 마시오!"라고 일갈했을 지경이었다. 아니나다를까, 실제로 윌리엄 4세는 빅토리아 공주가 법적 성인인 만 18세가 된 지 26일 뒤 사망했다. 1861년 3월 16일 딸 [[빅토리아 여왕]]의 옆에서 눈을 감았다. 여왕은 생전 어머니를 미워하기도 했으나 그녀가 사망한 후 슬퍼했다고 한다. == 자녀 == || [[파일:Emich_Carl_2nd_prince_of_Leiningen.jpg|width=100%]] || || 첫번째 남편 제2대 라이닝겐 후작 에미히 카를[br]([[1763년]] [[9월 27일]] ~ [[1814년]] [[7월 4일]])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 '''1남''' || 제3대 라이닝겐 후작 카를[br]{{{-2 (Carl, 3rd Prince of Leiningen)}}} || [[1804년]] [[9월 12일]] || [[1856년]] [[11월 13일]] || 마리아 클레벨스부르크 백작부인[br]슬하 2남 || || '''1녀''' || 호엔로에랑엔부르크의 공자비 페오도라[br]{{{-2 (Feodora, Princess of Hohenlohe-Langenburg)}}} || [[1807년]] [[12월 7일]] || [[1872년]] [[9월 23일]] || 호엔로에랑엔부르크의 공자 에른스트 1세[br]슬하 3남 3녀[* 그 중 차녀 아델하이트가 [[빌헬름 2세]]의 황후 [[아우구스테 빅토리아]]의 어머니이다.] || || [[파일:1280px-Edward,_Duke_of_Kent_and_Strathearn_by_Sir_William_Beechey.jpg|width=100%]] || || 두번째 남편 [[에드워드 어거스터스|켄트와 스트래선 공작 에드워드 왕자]][br]([[1767년]] [[11월 2일]] ~ [[1820년]] [[1월 23일]])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 '''2녀''' || [[빅토리아 여왕]][br]{{{-2 (Queen Victoria)}}} || [[1819년]] [[5월 24일]] || [[1901년]] [[1월 22일]] || [[작센코부르크고타]]의 공자 [[앨버트 공|앨버트]][br]슬하 4남 5녀[* [[빅토리아 애들레이드 메리 루이자|독일 제국의 빅토리아 황후]], [[에드워드 7세]], [[앨리스 모드 메리|헤센의 대공비 앨리스]], [[알프레드 어니스트 앨버트|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알프레드]], [[헬레나 어거스타 빅토리아|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크리스티안 공자비 헬레나]], [[아서 윌리엄 패트릭 앨버트|코넛과 스트래선 공작 아서]], [[레오폴드 조지 덩컨 앨버트|올버니 공작 레오폴드]], [[베아트리스 메리 빅토리아 페오도라|바텐베르크의 하인리히 공자비 베아트리스]]] || [[분류:영국의 왕자비]][[분류:하노버의 왕자비]][[분류:작센코부르크잘펠트 가문]][[분류:작센코부르크고타 가문]][[분류:하노버 가문]][[분류:1786년 출생]][[분류:1861년 사망]][[분류:코부르크 출신 인물]][[분류:프로그모어 안장자]][[분류:유럽의 섭정]]